천연염료의 종류

DH 교육용 위키
Lee960410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2월 2일 (수) 18:1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동물성 염료

동물성 염료란

동물의 피, 조개류의 분비물, 오징어 먹물, 붉나무에 기생하는 벌레집 오배자, 선인장에 기생하는 벌레 등에서 얻을 수 있는 염료이다.
염료의 대부분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지 않고 주로 따뜻한 남방국에서 생산이 된다. 우리나라에서 유밀하게 많이 생산되는 염료가 오배자이다.
동물의 피는 흔하게 구할 수 있으나 색이 쉽게 변하고, 색이 잘 빠지는 단점 때문에 많이 쓰지 않는다.

뿔고둥,두드럭고둥

파일:두드럭고둥.jpg
동양에서는 식물성인 자초나 소목으로 자주색을 얻었는데, 그리스와 로마 등 서양에서는 "뮤렉스(Murex)"라는 뿔고둥과 "푸르푸라(Purpura)"두드럭고둥으로 자주색을 얻었다.
지중해 연안, 남태평양, 니카라과(Nica-ragua)와 멕시코 부근의 대서양과 태평양 연안의 바위나 암초, 바닷가 등에 서식한다.
우리나라의 소라와 외형이 비슷하며, 내장과 호흡기 사이에 있는 자주색 선의 유백색 액체를 염료로 쓴다.
따라서, 채취하려면 준설기로 바닷가 바닥을 긁어 채집한 후 천을 받치고 뿔고둥을 깨뜨려 머리 뒤에 자주색 선 부위를 벤다.
그러면 유백색의 즙이 나오는데 한 마리에서 한 방울 정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죽인 후 채취하므로 중세시대에는 거의 멸종되어 뿔고둥을 이용한 염색이 없어지게 되었다.
반면 멕시코와 니카라과에서 서식하는 두드럭고둥은 바위에서 붙어 생활하므로 채집하여 염액의 분비물을 짜내고, 물 속에 다시 놓아 줄 수 있었다.

코치닐

파일:코치닐벌레.jpg

패각충과(貝殼虫科)에 속하는 작은 곤충으로 연지충이라고도 한다.
약 3,500년 전부터 멕시코, 중남부 아메리카, 이집트, 지중해, 인도에서 주로 이용을 하였다.
노팔 선인장(nopal), 부채 선인장(Opuntia), 백년초 선인장(Prickly pear,Cactus)에서 기생한다.
원산지 멕시코를 비롯하여 중앙아메리카에서는 선인장에 붙어 있는 코치닐 암컷을 산란 전에 채취하여 쪄서 말린 뒤 그 몸체를 홍자색의 염료로 사용하였다.
채취 시기는 암컷이 산란하기 전에 희끗희끗한 액을 선인장 표면에 분비할 때가 염료로 가장 적당하다. 파일:코치닐희끗희끗액.jpg
암컷은 수컷보다 300배 정도 많고, 수컷은 교미 후 바로 죽는다. 수태 후 몸이 2배로 커져 성숙하면 염료가 되는 암컷을 선인장에서 떼어 내어 뜨거운 물에 담근다.
혹은 자루에 넣어 밀폐하고 솥에 넣어 죽인 뒤 햇볕에 말리거나 건조실에 넣는다.
코치닐을 생산하는 벌레는 야생이든 사육한 것이든 모두 좋은 색상을 만들어 낸다. 하지만 야생 품종은 1/4만을 염료로 사용할 수 있다.

락충

파일:락충.jpg

락(Lac)은 티베트, 인도, 중국, 동남아 일대에서 대추나무, 참나무 등의 가지에 서식하는 깍지 진딧물이다.
락이란 말은 힌두어로 10만이라는 뜻이며 수없이 많다는 의미이다.
락(Lac)은 이미 운동 기능을 잃은 암컷이 일부의 수컷과 함께 식물에 기생하여 수지(樹脂) 즉 단백질 성분의 분비물을 준비하고 자신의 신체를 덮는다.
그 분비물로 덮여 있는 패각충은 적색 색소를 가지고 있어 채집하여 염료와 약초로 사용한다.
산란기 때 가지에 알을 낳아 소시지처럼 뭉툭하게 붙어 있다. 부화하면 어린 나뭇가지에 붙어 수액을 빨아 먹으면서 자라는데 나무인지 벌레인지 잘 알 수 없다.
끈적끈적한 액을 분비하면서 다시 거기에다 작은 포자의 알을 분비한다. 이때 나뭇가지와 함께 잘라 염료로 사용한다.
3월쯤으로 나뭇가지 전체가 붉은색으로 변한다.

커미즈

락충처럼 나뭇가지의 수액을 먹고 분비하거나 번식하는 벌레로서 적색을 내는 염료이다.
암컷에 커미즈산이라는 적색 색소가 들어 있다.
『성서』에도 기록되어 있듯이 염료로서 오랜 역사를 지니며, 예로부터 페르시아나 지중해에서 시용된 중요한 염료이다.
떡갈나무, 참나무, 가시나무등에서 서식한다.
자충은 자신이 죽는 일이 있더라도 나뭇가지를 떠나지 않고,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으며 자란다.
5~6월에 지름 6~7cm 적다색 둥근 포자(알맹이)가 생기면서 산란기를 기다린다. 백색으로 변하면서 알을 낳는데, 수천 개의 알이 유리가루처럼 반짝일 때가 있다.
유충이 되어 한꺼번에 어미 몸에서 옮겨 앉으면서 다시 새로운 알맹이 같은 열매 모양을 만들 때 나무껍질을 벗기고 건조하여 염료로 사용한다.

오배자

파일:오배자.jpg

옻나무과의 작은 낙엽관목인 붉나무에 기생하는 벌레집이다.
오배자란 배로 부풀어오른다고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부자(附子)라고도 한다.
주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 전역의 산골짜기, 산기슭 등에서 자란다.

광물성 염료

광물성 염료란

대개 안료로 쓰이는 색소가 함유된 돌이나 흙, 혹 금속으로부터 원료를 얻는다.
황토, 흑토, 적토, 백토, 청토, 자토, 동록 등 주로 회화의 재료인 석채(石彩)로 사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황토, 흑토, 적토, 백토, 자토만을 생산하며, 녹색인 공작석과 청색인 청금석*남동석, 노란색의 석웅황, 붉은색 주사는 중국이나 페르시아, 인도, 티베트 등지에서만 생산한다
그래서 삼국시대부터 수입하여 사용하였다.
광물성 염료는 식물성 염료와는 달리 물에 잘 녹지 않고, 섬유 표면에 정착되지 않는다.
주로 채색 재료로 쓰는데, 섬유에 염색할 때는 풀이나 아교 같은 접착 성분의 매염제를 넣어서 염색하였다.
천연 채색 재료는 크게 안료와 염료로 나뉜다.
안료는 용매제에 녹지 않고 분말 상태로 존재하므로 적찹제나 수지(樹脂) 혹 식물성 기름을 섞어야 물체의 표면에 착색이 잘 된다.
무생물에서 얻는 무기 안료와 살아 있는 생명체에서 얻는 유기 안료로 나뉜다.
무기 안료란 색깔 있는 흙이나 돌, 금속에서 채취해 만든 것으로 광물성 안료라고도 한다.
광물성 염료를 색채별로 나누면 녹색계, 청색계, 적색계, 황색계, 흑색계, 백색계로 구분할 수 있다.

녹색계 안료

청색계 안료

적색계 안료

황색계 안료

흑색계 안료

연필심의 원료인 천연 흑연과 나무나 기름을 태워 나오는 그을음을 이용하였다.
불을 지피거나 실내를 밝게 하기 위해 사용한 등불 혹 음식물을 만들기 위해 불을 사용함에 따라 동굴이나 천장 등에 쌓인 그을음을 긁어모아 채색 재료로 쓰기 시작하였다.
이후 소나무나 기름 등을 연소시켜 질 좋은 그을음을 얻었고, 이러한 그을음을 모아 아교물과 섞어 굳힌 것이 요즘 많이 쓰는 먹(墨)이다.
먹(墨): 소나무를 태워 얻은 그을음을 모아 만든 송연묵(松煙墨), 식물성 기름을 태워 만든 유연묵(油煙墨), 그을음과 쪽에서 추출한 청색 안료를 섞어 만든 청화묵(靑花墨)이 있다.
그 외에 포도나무나 버드나무의 가는 가지를 태워서 만든 숯을 목탄이라고 한다.

백색계 안료

식물성 염료

음양오행에 따른 염료의 색채별 염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