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우

DH 교육용 위키
정현우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5월 19일 (화) 13:54 판

(비교) ← 이전 판 | 최신판 (비교) | 다음 판 → (비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학력

  • 동국대학교 사학과 재학

관심사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

화약무기의 발달과정과 그 영향

  • 타겟 대상 : 사극을 좋아하는 사람들
  • 타겟 메시지 : 화약 무기는 전쟁이라는 한정된 부분에서만 아니라 사회구조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 왔을 만큼 파급력이 컸던 발명품이고, 역사콘텐츠에도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어떻게 발전해왔고 작동했는지 여러 사람들이 알면 유익하겠다는 생각에서
  • 시대별 분류

-전장식(前裝式) : 총구 앞쪽에서 화약과 총알을 집어넣어 장전하는 구조를 가진 총으로 총기가 출현하기 시작한 15세기 무렵부터 19세기까지 사용됨. 매치락(matchlock, 火繩式)총 : 휠락(wheellock, 齒輪式)총 : 플린트락(flintlock, 燧石式=부싯돌) : 뇌관식 총 -후미장전식(後尾裝塡式) : 총구 뒤쪽으로 화약과 총알을 집어넣어 장전하는 구조를 가진 총으로 19세기 무렵부터 현대까지 사용되고 있는 총. 탄피(彈皮) 소총 :

  • 화약 무기가 가져온 건축물에서의 변화 : 화약 무기 발전 이전에는 영주들의 성이 높고 직각으로 건축되었지만, 화약 무기의 발전으로 인해 점점 포탄의 충격력에도 비교적 잘 견딜 수 있는 큰 돌로 완만하게 들여쌓는 방식으로 요새나 군사용 건물들의 형태가 변화함. 이러한 건축에서의 변화는 문무왕 시기에 주장성이라는 이름으로 축조되었다가 그 이후에 유적을 따라 재축조된 남한산성에서 잘 나타남. 화약 무기가 없던 시대였던 병자호란 이전에 축조된 성벽은 비교적 작은 성돌로 가지런하게 높게 쌓여있지만, 병자호란 이후 축조된 성벽은 바위처럼 큰 돌들로 쌓고 그 큰 돌들 사이에 작은 돌들을 끼워 넣어 돌끼리 서로 지탱하는 방식으로 축조됨.
  • 화약 무기가 가져온 사회 변화 :

1. 화약 무기의 발전 이전에는, 고가의 판금 갑옷과 말을 소유한 기사들이 전장의 주도권을 잡았었다. 그러나 판금 갑옷도 관통하는 화약 무기가 발전하면서 육성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엘리트 기사가 비교적 단기간의 훈련과 총만을 보유한 병사에게 패배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이는 중세 사회가 근대 사회로 변화하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 2. 발사 속도가 빠르고, 장전 시 필요한 사수의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닌 총기를 만들려는 노력이 정밀 기계의 발전에도 영향을 줌. 3...

수업정보

  • 담당교수 : 최엽 교수님
  • 수업시간 : 월요일 16:30~18:00, 수요일 14:00~15:30
  • 강의실 : 학술/문화관 K342
  • 강의개요 : 이 강의는 우리나라의 각 시대를 대표하는 그림들을 조형적 아름다움과 함께 작품이 제작된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살펴본다. 또한 동아시아 주변국과의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함께 파악해 본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옛그림에 대한 관심을 고양시키고, 수강자의 인식의 폭과 깊이를 확장시키는데 주안점을 둔다. 더불어 박물관과 미술관을 즐기고 작품을 감상, 향유하는 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강의목표 :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교양으로서 대표적인 우리나라의 옛 그림들의 의미와 아름다움, 역사문화적 배경에 대해 알아본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들을 동아시아의 보편성과 우리나라만의 특수성, 그리고 더 넓게는 동서의 미술이 어떻게 다른지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세상을 보는 사야와 인식을 넓고 깊게 하며, 미술품을 감상, 향유하며 박물관과 미술관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불화

1.고려 불화의 특징.
2.고려 시대 불교의 경향.
3.조선 불화의 특징.
4.다른 동아시아 국가 불화.

네트워크 그래프

중근세 동아시아 불화.lst

표 만들기

장전 방식 작동 방식 관련문서
전장식 매치락, 휠락, 플린트락, 뇌관식 총 매치락(matchlock), 휠락(wheellock), 플린트락(flintlock),
후미장전식 탄피 소총 탄피 소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