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투리
DH 교육용 위키
목차
정의
어느 한 지방에서만 쓰는, 표준어가 아닌 말 (≒방언)
내용
사투리와 방언
사투리는 어느 한 지방에서만 쓰는, 표준어가 아닌 말을 이르지만, 방언은 사투리의 개념을 포함하면서 한 언어에서 사용 지역 또는 사회 계층에 따라 분화된 말의 체계를 이르는 것이므로, ‘사투리’보다 ‘방언’의 개념이 포괄적이다. 언어학에서는 ‘방언’을 그 자체로 독립된 체계를 가지고 있는 한 언어의 변종으로 보며, 표준말과 달리 그 지방에서만 사용하는 말은 ‘사투리’라 하여 그 둘을 구별하고 있다. 더 나아가, 방언은 자체로 독립적 체계를 가지고 있는 한 언어의 변종을 뜻한다. 즉, 방언은 표준어와 사투리를 아우르는 말이다.[1]
사투리(방언)의 종류
- 동북 방언 - 함경남·북도, 관북방언
- 서북 방언 - 평안남·북도, 관서방언
- 동남 방언 - 경상남·북도, 영남방언
- 서남 방언 - 전라남·북도, 호남방언
- 제주 방언 - 제주도, 탐라방언 또는 제주어
- 중부 방언 - 나머지 지역(경기·강원·충청·황해도), 경기 방언과 충청방언
사투리를 쓰면 교양이 없는건가요?
사투리의 예시
표준어 | 사투리 |
---|---|
개구리 | 맥재기, 메구락지, 개고리, 개고락지, 깨구락지, 깨구래기, 깨고래기, 깨고리, 깨구래이, 깨고락찌, 까구리, 깨골태기, 깨고락지, 가개비, 갈개비 |
잠자리 | 소곰재, 잼잼, 잼자리, 참자리, 나마리, 자마리, 남자리, 털기, 철개이, 수베이, 꼬부리, 자마리, 간진자리, 밤버리, 밥주리 |
화장실 | 칙간, 드나기깐, 똥수깐, 통새, 뒷간, 정랑, 동수깐, 소막간, 잿간, 구세, 통시, 정낭, 북간, 벤소, 통시, 돗통 |
멀티미디어
이미지
동영상
네트워크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