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원이강릉

DH 교육용 위키
Hufs김다연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6월 23일 (일) 19:0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동원이강릉은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봉분과 상설을 조성한 능이다.

최초의 동원이강릉은 세조 광릉이며, 예종 창릉, 성종 선릉 등 7기의 능이 있다.

특이하게 선조 목릉은 세 개의 서로 다른 언덕(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에 별도의 봉분을 조성하였고,

숙종 명릉은 쌍릉(숙종과 인현왕후)과 단릉(인원왕후)의 형태로 서로 다른 언덕에 봉분을 조성하였다.

내용

결국 숙종과 마지막을 함께한 여인은 누구였을까?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오른쪽 언덕이 숙종인현왕후쌍릉이고 왼쪽 언덕이 인원왕후단릉이다.

그렇게 여인들을 이용해 환국을 일삼았던 숙종의 마지막 선택은 인현왕후였다.

생전에 마음고생을 많이 시켰던게 걸렸던 것인지 숙종은 인현왕후의 능을 공사할 때 허우(虛右, 오른쪽 자리를 비우게 함)제도로 공사하여 자신의 능자리를 미리 만들었다.

1701년(숙종 27)에 인현왕후 민씨가 세상을 떠나자 명릉에 제일 처음으로 능을 조성하였다.

이후 1720년(숙종 45)에 숙종이 세상을 떠나자 인현왕후의 능 옆으로 능을 조성하여 쌍릉의 형식을 이루었다.

명릉을 조성한지 37년이 지난 후 1757년(영조 33)에 인원왕후 김씨가 세상을 떠났다.

인원왕후는 생전에 명릉에서 400여보 떨어진 곳에 미리 묻힐 자리를 정하였으나,

영조는 새로 산릉공사를 해야 하는 것(당시 영조의 첫 번째 왕비 정성왕후의 홍릉을 공사하고 있던 상황)을 염려하여

명릉 서쪽 언덕에 자리를 선정하고 필요한 인력과 국고를 줄여 산릉공사의 부담을 덜었다.

살아생전 늘 숙종과 함께하고 싶었으나 숙종에게 관심조차 제대로 받지 못했던 인현왕후

죽어서야 숙종과 계속 함께할 수 있었다.

그 복잡했던 숙종의 여인들 중 결국 최후의 승자는 인현왕후였다.

멀티미디어

동원이강릉 형식의 명릉 사진

동원이강릉.PNG

참고문헌

기여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