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서
DH 교육용 위키
201310212 이지형 (토론) 사용자의 2014년 6월 17일 (화) 17:26 판
요약
- 유학(儒學)의 근본이 되는 문헌.
내용
- 경(經)이라고도 한다. 경(經)은 직물의 주축이 되는 날실을 가리키며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을 뜻하기 때문에 성현의 가르침을 기록한 것을 ‘경’ 또는 ‘경서’라고 하게 되었다. 맹자(孟子)는 《시(詩)》 《서(書)》 《춘추(春秋)》를 경이라 하였고, 순자(荀子)는 여기에 《예(禮)》와 《악(樂)》을 추가하였으며, 장자(莊子)는 다시 《역(易)》을 추가하여 그 하나하나에 ‘경(經)’을 붙여 《시경(詩經)》 《역경(易經)》 등이라 하게 되었다. 이들 육서(六書)를 ‘육경(六經)’이라 하며, 한(漢)나라 때는 ‘육예(六藝)’라고도 하였다.
- 시대가 흐름에 따라 경서의 수가 증가하여 남송(南宋) 시대에 이르러서는 《역》 《서》 《시》와 《주례(周禮)》 《의례(儀禮)》 《예기(禮記)》의 ‘삼례(三禮)’에 《춘추》의 《좌씨전(左氏傳)》 《공양전(公羊傳)》 《곡량전(穀梁傳)》의 3전(傳) 및 《논어(論語)》 《효경(孝經)》 《맹자(孟子)》 《이아(爾雅)》를 추가하여 ‘13경’이 되었으나, 정호(程顥) ·정이(程頤)의 이정자(二程子)와 주자(朱子)는 《예기(禮記)》 속의《대학(大學)》 《중용(中庸)》 2편과 《논어》 및 《맹자》를 합하여 ‘사서(四書)’라 하고, 《역경》 《서경》 《시경》 《예기》 《춘추》의 ‘오경(五經)’과 합하여 ‘사서오경(四書五經)’이라 하고 중히 여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