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잡영 KU

DH 교육용 위키
201410319이주형 (토론) 사용자의 2014년 6월 11일 (수) 18:55 판

(비교) ← 이전 판 | 최신판 (비교) | 다음 판 → (비교)
이동: 둘러보기, 검색

Dosanjabyeong.jpg

Meta Data

내용

퇴계 이황은 이(理)와 기(氣)의 관계를 바탕으로 인간의 심성과 선악의 정신 심리작용을 논하는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통해 조선성리학의 기틀을 잡고 6백여 년 가까이 한국의 문화와 유교적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퇴계 선생이 후세에 남긴 저술을 모은 책으로는 문집인 『퇴계선생문집』(목판본 61권, 37책, 성대 영인본 2.5책)을 비롯하여, 문집 이외의 여러 저술까지 다 모아 엮은 『퇴계전서』(위의 문집 포함, 성대 목판 영인본 5책), 『도산전서』(문집 포함, 정문연 필사 영인본 4책) 같은 것들이 있다. 이러한 책들을 보면 퇴계 선생이 평생 동안 썼던 한시가 대략 2천 수 이상, 편지가 1천 통 정도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집에 수록되지 않고 지금까지 전해오는 시만 해도 몇 백 수가 되며, 그가 썼던 편지도 위에 언급하였던 책에 수록되지 않은 것이 또한 2천 통 정도는 될 것이라고 한다.

퇴계 선생은 예안의 온혜(溫惠, 지금의 도산면 온혜동)라는 마을에서 태어나서 자랐고, 처음에는 그 마을에서 분가하여 집을 짓고 살았으나, 그 뒤로 몇 차례나 가까운 마을로 집을 옮겨가며 살다가 중년(40대 중반) 이후에 비로소 토계(兎溪, 또는 土溪, 지금의 도산면 토계동)라는 마을에 정착하여 살면서 자신의 호를 퇴계(退溪)라고 고쳤는데, 토계마을에서만 지은 시를 『퇴계잡영』, 도산서당에서 지은 시를 엮은 것을 『도산잡영』이라고 하는데, 이를 합하여 『계산잡영(溪山雜詠)』이라고 한다.

『도산잡영(陶山雜詠)』은 ‘도산(서당)에서 이것저것을 생각나는 대로 시로 읊다’는 뜻으로, 선생 자신이 도산서당에서 거처하면서 직접 읊었던 한시 40제(題), 92수(首)를 모은 시집이다. 『퇴계잡영』이 시의 형식이나 내용면에서 모두 도연명의 영향을 많이 받은 데 반해, 『도산잡영』은 주자(朱子)에 근거하여 제자들이 연구하고 강학(講學)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따라서 한 구절도 뜻 없이 헛되이 사용되지 않고 유교의 기본 경전인 사서삼경(四書三經)에 기반하고 있어, 시적 음률을 타고 옛 선연의 말씀이 보다 쉽게 전달된다. 또한 이 시들은 퇴계 선생이 57세부터 66세까지 약 10여 년간 도산서당의 안팎에서 지은 것으로, 서당 내외의 여러 가지 건물과 시설, 그 명칭의 유래, 자연경관에 대한 느낌과 그곳 생활을 담고 있어 그 어느 책보다 도산서당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선생의 개인적이고 인간적인 면모가 돋보인다고 할 수 있다. [출처] 도산잡영|작성자 바라돌이사랑

출처: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varadori&logNo=100199513329 네이버블로그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