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901A.episode
DH 교육용 위키
#Links E0-901A 미일수호통상조약 hasContextualElement E0-901A 메이지_유신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이와쿠라_사절단_파견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사진-이와쿠라_사절단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사진-이와쿠라_사절단의_미국_대통령_회견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사진-이와쿠라_사절단의_프랑스_대통령_회견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일본_서구식_문관대례복_제정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일본_서구식_문관대례복_개정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일본_시종직_식부직_대례복_제정 hasContextualElement E0-901A 판화-일본박람회-021003991 hasContextualElement #End
Theme
Episode 1: 일본의 개항과 서구식 예복
Synopsis
19세기 서양은 근대화를 이루고, '유럽공법'이라는 문명국 간의 법에 의거한 국제사회를 형성하고 있었다.[1] 이 공법은 중국에서 활동하던 미국인 선교사 월리엄 마틴(William A. P. Martin, 丁韙良, 1827∼1916)이 1864년 미국의 국제법 저서 『국제법 원리, 국제법학사 개요 첨부』를 한역(漢譯)하여 출판하면서 ‘만국공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2] 그렇게 함으로써 이 공법이 온 세계만국에 적용되는 것으로 착각하게 만들었다.[3] 이러한 배경으로 일본은 1854년 미국에 의해 개항하여 불평등조약을 맺었고, 1868년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근대화를 이룬다. 이후 일본은 대규모 사절단을 서양에 파견하여 그들의 서구세계 경험에 의거한 서구식 대례복을 제정하게 된다.[4] 이 대례복에는 자국을 상징하는 문양을 자수함으로써 다른 나라와 구별짓도록 하는 근대적 대례복 제도에 따라 일본은 오동과 국화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5]
Storytelling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