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5.넙성동(芿城洞)"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245. 넙성동(芿城洞523))
 
具門世築芿城中구씨 가문 넙성리에 대를 이어 사는데,
 
現使今人想古風오늘날 우리에게 옛 풍모를 생각게 하네.
 
楣上紅旌兵判字문 이마의 정려 글씨 병조판서 쓰였으니,
 
海天星日貫貞忠바다 하늘 해와 별에 충정으로 통했네.
 
○ 능성 구씨인 구원일(具元一)524)은 강암공(江菴公)의 7대손이다.
 
병조참의를 지낸 구신충(具信忠)525)의 6세손이다. 호조의 낭관을 지
 
낸 구유관(具有寬)의 고손이다. 병자년 난리에 순절한 일은 충렬사
 
주(註)에 보인다.
 
○ 그 자손들은 문학을 세습하여 이곳에 많이 살고 있다.
 
523) 불은면 넙성리이다.
 
524) 구원일(1582∼1637)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여선(汝先). 병자호란 때 강
 
화좌부천총(江華左部千摠)으로서 휘하 수십명을 거느리고 갑곶나루로 나아
 
갔으나, 강화유수 장신(張紳)이 싸울 뜻이 없음을 보고 항의하다 바다에
 
빠져 자결하였다. 충렬사(忠烈祠)에 배향되었으며, 병조참의에 증직되었다.
 
525) 구신충(생몰년 미상) 1444년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15위로 합격하였다.
 
  
 +
<big>具門世築芿城'''中''' (<small>구문세축넙성'''중'''</small>)    구씨 가문 넙성리에 대를 이어 사는데, <br />現使今人想古'''風''' (<small>현사금인상고'''풍'''</small>)    오늘날 우리에게 옛 풍모를 생각게 하네.<br />楣上紅旌兵判字 (<small>미상홍정병판자</small>)    문 이마의 정려 글씨 병조판서 쓰였으니,<br />海天星日貫貞'''忠''' (<small>해천성일관정'''충''</small>')    바다 하늘 해와 별에 충정으로 통했네.<br />
 +
 +
 +
</big>
 +
 +
○ 능성 구씨인 구원일(具元一)524)은 강암공(江菴公)의 7대손이다. 병조참의를 지낸 구신충(具信忠)525)의 6세손이다. 호조의 낭관을 지
 +
낸 구유관(具有寬)의 고손이다. 병자년 난리에 순절한 일은 충렬사주(註)에 보인다.
 +
○ 그 자손들은 문학을 세습하여 이곳에 많이 살고 있다.
 +
 
==인물==
 
==인물==
 +
 +
* 구원일(1582∼1637)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여선(汝先). 병자호란 때 강화좌부천총(江華左部千摠)으로서 휘하 수십명을 거느리고 갑곶나루로 나아
 +
갔으나, 강화유수 장신(張紳)이 싸울 뜻이 없음을 보고 항의하다 바다에 빠져 자결하였다. 충렬사(忠烈祠)에 배향되었으며, 병조참의에 증직되었다.
 +
* 구신충(생몰년 미상) 1444년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15위로 합격하였다.
 +
* 구유관(具有寬)
  
 
==참고==
 
==참고==
 +
* 현 불은면 넙성리이다.

2019년 4월 16일 (화) 11:31 판

具門世築芿城' (구문세축넙성)    구씨 가문 넙성리에 대를 이어 사는데, 
現使今人想古
(현사금인상고) 오늘날 우리에게 옛 풍모를 생각게 하네.
楣上紅旌兵判字 (미상홍정병판자) 문 이마의 정려 글씨 병조판서 쓰였으니,
海天星日貫貞
(해천성일관정
') 바다 하늘 해와 별에 충정으로 통했네.


○ 능성 구씨인 구원일(具元一)524)은 강암공(江菴公)의 7대손이다. 병조참의를 지낸 구신충(具信忠)525)의 6세손이다. 호조의 낭관을 지 낸 구유관(具有寬)의 고손이다. 병자년 난리에 순절한 일은 충렬사주(註)에 보인다. ○ 그 자손들은 문학을 세습하여 이곳에 많이 살고 있다.

인물

  • 구원일(1582∼1637)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여선(汝先). 병자호란 때 강화좌부천총(江華左部千摠)으로서 휘하 수십명을 거느리고 갑곶나루로 나아

갔으나, 강화유수 장신(張紳)이 싸울 뜻이 없음을 보고 항의하다 바다에 빠져 자결하였다. 충렬사(忠烈祠)에 배향되었으며, 병조참의에 증직되었다.

  • 구신충(생몰년 미상) 1444년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15위로 합격하였다.
  • 구유관(具有寬)

참고

  • 현 불은면 넙성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