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민 답사보고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나의 인문학 콘텐츠==
 
==나의 인문학 콘텐츠==
 
===박물관에서 찾은 나의 호기심===
 
===박물관에서 찾은 나의 호기심===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C%9B%90%EA%B7%A0&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ccbaKdcd=12&ccbaAsno=11330000&ccbaCtcd=31&ccbaCpno=112311133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sCond=%EC%9B%90%EA%B7%A0 분류두공부시언해]'''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2_1_0&ccbaCpno=1123110510000 분류두공부시언해]'''
  
이 교서는 선조 37년(1604) [[임진왜란]] 때 [[경상우도수군절도사]]로서 왜군과 대적하여 크게 이기고, [[정유재란]] [[통제사]]가 되어 적선을 물리치다 장렬하게 전사한 [[원균|원균(1540∼1597)]]에게 공신으로 임명한다는 내용을 담은 [[공신교서]]이다.
+
중국 당나라의 유명한 시인 [[두보]](712∼770)의 시()[[성종]] 때 [[홍문관]][[유윤겸]] 등이 왕의 명을 받들어 [[한글]]로 번역하여 편찬한 책이다. ‘두공부시’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두보가 공부원외랑의 벼슬을 지냈기 때문이며 ‘분류’는 중국 [[송나라]][[분문집주두공보시(分門集注杜工甫詩)]]를 참고하여 따온 것이다.
  
이것의 내용은 왜군을 물리치고 장렬하게 전사한 [[원균]]에게 죽은 후에도 후손들을 계속해서 보살필 것임을 밝히고, 노비 13명, 전 150결, 은 10냥, 옷감 1단, 말 1필을 내린다는 것이다.  
+
초인본의 [[조위]]가 쓴 서문에 의하면 [[성종]] 12년(1481) 가을에 왕의 명을 받아 [[한글]] 번역을 착수하여 해 12월에 완성하였고, 본권 13의 인본을 보면 을해자, 중자 및 소자 그리고 한글 활자로 찍었는데 인쇄가 깨끗하지 못한 편이다. 성종 13년(1482)에 가뭄이 심하여 『두시』를 비롯한 『춘추』, 『이백시』, 『용학구결』 등의 발행을 멈추고 그 비용을 가뭄극복에 씀에 따라 그 인쇄발행은 다소 뒤에 이루어진 듯하다.
  
교서와 함께 있는 치제문은 선조 38년(1605) 정월 18일 임금이 [[의정부좌찬성]]으로 증직된 [[원균]]의 영전에 그의 죽음을 기리어 제사를 지내게 한 글을 담은 문서이다.
+
『분류두공부시언해』는 한글로 표현된 유창한 문체와, 풍부한 어휘 등으로 볼 때 국문학과 국어학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ref>[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2_1_0&ccbaCpno=1123110510000 분류두공부시언해],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ref>
 
+
이 교서는 [[임진왜란]] 당시 왜군을 물리치는데 많은 공을 세운 [[원균]] 장군에 대한 새로운 평가를 할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ref>[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C%9B%90%EA%B7%A0&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ccbaKdcd=12&ccbaAsno=11330000&ccbaCtcd=31&ccbaCpno=112311133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sCond=%EC%9B%90%EA%B7%A0 원균 선무공신교서],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ref>
+
  
 
===호기심의 확장===
 
===호기심의 확장===

2018년 5월 17일 (목) 04:20 판

나의 인문학 콘텐츠

박물관에서 찾은 나의 호기심

중국 당나라의 유명한 시인 두보(712∼770)의 시(詩)를 성종홍문관유윤겸 등이 왕의 명을 받들어 한글로 번역하여 편찬한 책이다. ‘두공부시’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두보가 공부원외랑의 벼슬을 지냈기 때문이며 ‘분류’는 중국 송나라분문집주두공보시(分門集注杜工甫詩)를 참고하여 따온 것이다.

초인본의 조위가 쓴 서문에 의하면 성종 12년(1481) 가을에 왕의 명을 받아 한글 번역을 착수하여 그 해 12월에 완성하였고, 본권 13의 인본을 보면 을해자, 중자 및 소자 그리고 한글 활자로 찍었는데 인쇄가 깨끗하지 못한 편이다. 성종 13년(1482)에 가뭄이 심하여 『두시』를 비롯한 『춘추』, 『이백시』, 『용학구결』 등의 발행을 멈추고 그 비용을 가뭄극복에 씀에 따라 그 인쇄발행은 다소 뒤에 이루어진 듯하다.

이 『분류두공부시언해』는 한글로 표현된 유창한 문체와, 풍부한 어휘 등으로 볼 때 국문학과 국어학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1]

호기심의 확장

파일:김사현 답사보고서 2018-1.png
김사현_답사보고서_2018-1

원균 선무공신교서에서 출발한 나의 호기심은 임진왜란때 활약한 원균과 그의 공을 치하하는 목적인 선무공신이라는 용어로 확장되었다. 선무공신을 좀 더 살펴보니 원균 외에도 이순신, 권율 등이 있었다. 여기에서 이순신 장군에 대해 좀 더 알아보니 이순신 장군의 사당이 충청남도 아산시현충사에 있는 것을 확인 했고, 현충사에는 그가 쓴 난중일기가 소장되어 있었다.

한편 선무공신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호성공신이 있다. 임진왜란인 끝나자 선조임진왜란 때 공적을 세운 장군 및 관리에게 그 공적을 치하하기 위해 공신교서를 내리고 상을 내렸는데 그때 크게 선무공신호성공신으로 나누었다. 선무공신은 무(武)로서 전투에서 공을 세운 장군들을 치하하기 위한 것이고 호성공신은 임금인 선조 주변에서 선조를 보위하며 공을 세운 것이었다.

호성공신으로는 심대 라는 인물이 있었으며, 심대가 받은 심대 호성공신교서가 마침 경기도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는 사실을 알았다. 심대의 묘용인시 처인구에 있었고, 원균의 묘평택시 도일동에 위치하고 있다.

지식노드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원균_선무공신교서 원균 A는_B를_언급하였다
원균_선무공신교서 선무공신 A는_B와_관련이있다
경기도_박물관 원균_선무공신교서 A는_B의_소장처이다
원균 선무공신 A는_B와_관련이있다
이순신 선무공신 A는_B와_관련이있다
권율 선무공신 A는_B와_관련이있다
원균 선조 A는_B와_관련이있다
이순신 선조 A는_B와_관련이있다
권율 선조 A는_B와_관련이있다
이순신 아산_현충원 A는_B에_제향되었다
난중일기 이순신 A는_B가_저술하였다
아산_현충원 난중일기 A는_B의_소장처이다
선무공신 호성공신 A는_B와_관련이있다
공신교서 원균_선무공신교서 A는_B를_포함한다
공신교서 심대_호성공신교서 A는_B를_포함한다
심대_호성공신교서 호성공신 A는_B와_관련이있다
경기도_박물관 심대_호성공신교서 A는_B의_소장처이다
심대_호성공신교서 심대 A는_B를_언급하였다
원균의_묘 원균 A는_B의_묘이다
심대의_묘 심대 A는_B의_묘이다

참고자료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references/>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