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유교}}
| |
| | | |
− | '''성리학'''(性理學, {{llang|en|Cheng-Zhu School}})은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다. 성리학의 어원은 [[주희]]가 주창한 성즉리(性卽理)를 축약한 명칭이다.
| |
− |
| |
− |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희|주자]](주희)의 이름을 따서 '''주자학'''(朱子學)이라고도 하고, [[송나라]] 시대의 유학이라는 뜻에서 '''송학'''(宋學)이라고도 하며, 송나라 시대 이전의 유학의 가르침을 집대성한 새로운 기풍의 유학이라는 뜻에서 '''신유학'''(新儒學)이라고도 한다. [[정호]](程顥)와 [[정이 (학자)|정이]](程頥)에서 주희(朱熹)로 이어지는 학통이라는 뜻에서 '''정주학'''(程朱學), '''정주 성리학'''(程朱性理學), 또는 '''정주 이학'''(程朱理學)으로도 불린다. '''이학'''(理學) 또는 '''도학'''(道學)이라고도 한다.
| |
− |
| |
− | 학문의 목적은 위기지학(爲己之學, 자기(수양, 수기)를 위한 학문)이다.
| |
− |
| |
− | == 주자 이전 ==
| |
− | 대략 진종조(眞宗朝)로부터 인종조(仁宗朝, 998~1063)에 걸친 시기에 송나라의 학문 문화가 새로운 경향을 가지고 일어나기 시작했다. [[범중엄]](范仲淹)이나 정학(正學)의 4선생으로 호칭된 [[호원]](胡瑗), [[손복]](孫復), [[석개]](石介), [[진양]](陳襄) 등은 각기 특색있는 학풍이나 주장을 가지고 서로 잇따라 나와 성리학의 선하(先河)를 이루었다.
| |
− |
| |
− | 범중엄은 그 명절(名節)과 고매한 식견으로 시대의 선구자로서 계몽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서하]](西夏) 경영에 정치적 수완을 보여 중앙정부의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였다. 학문적으로는 [[사서오경|6경]](六經)에 통하였으며 더욱이 [[역경|역]](易)에 정통하였고 [[장재|장횡거]](張橫渠)에게 《[[중용]]》을 주어 유학의 문에 들어가게 한 이야기는 유명하다.
| |
− |
| |
− | 호원(胡瑗, 993-1059)은 안정 선생(安定 先生)이라고 호칭되며 교육가로서 많은 제자를 양성하였는데, 정이천(程伊川)도 그 문하에서 배운 준재(俊才)이다. 그의 <주역구의(周易口義)>는 역(易)을 이론적으로 해명하고 한대 유가(儒家)와 같이 상수론(象數論)을 혼합하지 않았다. 이천(伊川)의 역전(易傳)에 그 영향이 보인다.
| |
− |
| |
− | 손복(孫復, 992-1057)은 태산선생(泰山先生)으로 호칭되었다. 진사 시험에 합격하지 못해 태산(泰山)에 은퇴하여 강학(講學)에 힘을 쏟았으며 <춘추존왕발미(春秋尊王發微)>를 저술하였다. 그는 이 저술에서 종래의 주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스러운 자기의 해석을 전개하고 있지만 그중에도 다시 <춘추(春秋)>의 본지(本旨)를 정명정분(正名定分)에 있다고 하고 또 <춘추>에 실린 사실을 전부 도의에 위배된 것뿐이라고 하였다. 손복 및 그 제자인 석개(石介, 1005-1045)는 춘추론을 통하여 중국(宋王朝)의 정통성과 고전사상의 정통적 부활 및 양(楊)·묵(墨)·불(佛)·노(老) 사상의 배격을 주장하여 송조 국가체제의 정신적 지주를 수립하려고 하였다.
| |
− |
| |
− | 진양(陳襄, 1017-1080))은 <대학(大學)> <중용(中庸)>에 의거 실천도덕론을 전개하여 <성명기(誠明記)>와 함께 송대 도덕의 궁리진성(窮理盡性)·격물치지설(格物致知說)의 방향을 잡아 놓았다. 그의 지방정치에 있어서의 권농정책(勸農政策)이나 향촌민(鄕村民)의 교도에 이용한 <고령선생권유문(古靈先生勸誘文)>은 남송(南宋)의 주자(朱子)에 이르러서 크게 채택되어 그 모범이 되었다.<ref>{{글로벌세계대백과2 |제목=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중국의 사상 - 송·명의 사상 - 송학의 발흥}}</ref>
| |
− |
| |
− | == 주자의 집대성 ==
| |
− | [[주자]](朱子)의 학문은 [[북송]](北宋)에서 일어난 신경향의 학술을 전면적으로 받아들여 이것을 절충하고 또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것이다. 또 4서<ref>《[[대학 (책)|대학]]》·《[[중용]]》·《[[논어]]》·《[[맹자 (책)|맹자]]》</ref> 를 특별히 중요시하여 주석을 하였고, 《대학》의 〈성의〉(誠意)장의 주해는 죽기 3일 전까지 계속해서 수정했다.<ref name="글로벌_2"/>
| |
− |
| |
− | === 이기론(理氣論) ===
| |
− | {{참고|이기론}}
| |
− | 이기론에서는 [[정이천]](程伊川)의 2원론(二元論)을 계승하여 다시 더욱 상세·엄밀하게 체계화하였다. 형이상적(形而上的), 형이하적(形而下的) 논리 구별을 분명하게 하였다. 또 [[주돈이]]의 태극론(太極論)도 받아서 태극(太極)은 오직 1개의 이(理)의 자(字)라고 규정하여, ‘이(理)=태극(太極)=도(道, 형이상)’와 ‘기(氣)=음양5행(陰陽五行, 형이하)’인 것은 형이하(形而下)의 음양2기(陰陽二氣)의 교감에 의해 생성되는 개체와 상즉불리(相卽不離)인 것이라고 말하였다.<ref name="글로벌_2"/>
| |
− |
| |
− | === 도덕론(道德論) ===
| |
− | 도덕론에서 이천이 명(命)·성(性)·이(理)·[[마음|심]](心)을 동일하게 보았기 때문에 ‘성즉리(性卽理)’, ‘심즉리(心卽理)’라고 한 데 대하여, 주자는 ‘성즉리(性卽理)’만을 취하고 심(心)은 형이하적(形而下的)인 것, 즉 음양2기(陰陽二氣)의 작용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사람의 성(性)은 이(理)이고 지선(至善)한 것이며 사람의 본연의 것이라고 하였다. 심(心)은 이(理)가 있는 곳, 이가 작용하는 장소이다. 또한 심(心)의 발동은 이(理)에 의하여 있게 되는데, 그 이야말로 사람에게 본래의 성(性)이라고 규정하였다. 그러나 사람의 본연의 성(性)이 지선(至善)하지만 현실에는 악도 존재하고 악인도 있다. 그것은 기품<ref>사람도 기(氣)의 집합에 의하여 이루어져 있고, 그 기가 모이는 방법, 기를 받는 방식은 개별적인 것이라고 주자는 생각하였다.</ref> 에 과불급(過不及)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理)=태극(太極)’이라고 하는 형이상적인 것은 항상 사사물물(事事物物) 속에 있다. 사사물물이 없으면 따라서 이(理)는 없다. 즉 1물(一物)에 ‘1리(一理)=1태극(一太極)’이 있는 것이다. 논리적 과정을 말하면 이(理)가 있어야 물(物)이 있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하여 물(物)이 없는 이(理)는 없다. 이런 까닭으로 이기(理氣)에 선후는 없다고 한다. 또 주자에 의하면 1물(一物)에 1태극(一太極)이 있는데, 이 이(理)는 즉 만물의 이(理)이다. [[달]]이 [[호수]]나 냇물에 비쳐도 달은 원래 하나의 것이다. 일반자(一般者)·형이상자(形而上者)는 항상 개체에 내재하여 개체를 통하여 일반자(一般者)는 실현된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가 도덕론에 적용되면 사람은 자기의 본연의 성(性)(理)을 회복하는 것이 인간으로서의 [[덕]]을 완성하는 것이며, 개별적 인간은 실천에 의하여서만 일반자(一般者)로서의 ‘도(道)~이(理)-성(性)’을 구현할 수가 있다고 하는 것이다.<ref name="글로벌_2"/>
| |
− |
| |
− | === 수양론(修養論) ===
| |
− | 수양론은 우선 격물치지(格物致知)이며 궁리진성(窮理盡性)인 것이다. 주자에 의하면 사사물물의 이를 궁구한다고 하는 것은 결과적으로는 나를 궁구하는 것이며 나를 다하는 것이지만, 그러나 ‘물(物)의 이(理)’와 ‘심(心)의 이(理)’와의 통일적인 파악에는 아직 불충분한 점이 있었다. [[육구연|육상산]](陸象山)이나 명(明)의 [[왕수인|왕양명]](王陽明)이 그 정곡을 찔러 비판했다.<ref name="글로벌_2"/>
| |
− |
| |
− | == 후대에 미친 영향 ==
| |
− | 주자사상(朱子思想)이 송대 이후 끼친 영향은 지극히 크다. 주자학은 주자의 생전에 있어 지방관적, 재야적(在野的) 입장에서의 사상을 구축했음에도 불구하고 원(元)·명(明)을 거쳐 청조에 이르기까지 관학적(官學的)인 아카데미즘의 주류를 형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주자학은 조선이나 일본(日本)에도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 |
− |
| |
− | === 한국의 성리학 수용 ===
| |
− | {{참고|한국의 유교}}
| |
− | 한국에서는 고려시대에 [[안향]](安向)이 《[[주자전서]]》를 들여와 연구한 데서 비롯되었으며,성리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그 체계를 파악해 크게 일가를 이룬 이는 [[백이정]](白頤正)이라 할 수 있다.
| |
− | 조선시대에 이르러 이언적·이황·이이·기대승·김장생 등 뛰어난 학자들이 배출되면서, 인간의 이성을 강조하여 정신적인 면과 도덕적인 면을 중시하는 [[주리설]]과 인간의 감성을 중시하고 현실 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주기설]] 등이 나오게 되었다. 주리설은 영남지방에서 발전하여 '영남학파'라고 하는데, [[이언적]]·[[이황]]·[[류성룡]]·[[김성일]]로 이어졌으며, 주기설은 기호지방에서 발전하여 '기호학파'라고 하는데 [[서경덕]]·[[기대승]]·[[성혼]]·[[이이]]에 이르러 완성되었고, [[김장생]] 등에게 이어졌다.<ref name="글로벌_3">{{글로벌세계대백과2
| |
− | |제목=시사 - 현대사회와 시사 - 사회·환경·학술·문화 - 학술·문화 - 성리학}}</ref>
| |
− |
| |
− | == 주요 성리학자 ==
| |
− | ;중국
| |
− | * [[주돈이]]
| |
− | * [[정호]]
| |
− | * [[정이 (학자)|정이]]
| |
− | * [[주희]]
| |
− | ;한국
| |
− | {{Col-begin}}
| |
− | {{Col-3}}
| |
− | * [[안향]]
| |
− | * [[이색]]
| |
− | * [[정도전]]
| |
− | * [[김종직]]
| |
− | * [[서경덕]]
| |
− | * [[조식 (1501년)|조식]]
| |
− | {{Col-3}}
| |
− | * [[이황]]
| |
− | * [[기대승]]
| |
− | * [[이이]]
| |
− | * [[성혼]]
| |
− | * [[강항]]
| |
− | * [[송시열]]
| |
− | {{Col-3}}
| |
− | * [[박세당]]
| |
− | * [[박세채]]
| |
− | * [[백이정]]
| |
− | * [[이항로]]
| |
− | * [[기정진]]
| |
− | * [[노수신]]
| |
− | {{Col-end}}
| |
− |
| |
− | ; 여성 학자
| |
− | * [[임윤지당]]
| |
− |
| |
− | == 함께 보기 ==
| |
− | * [[태극도설]]
| |
− | * [[이기론]]
| |
− | * [[유교]]
| |
− | * [[한국의 유교]]
| |
− | * [[송·명 시대의 사상]]
| |
− | * [[양명학]]
| |
− | * [[선종]]
| |
− |
| |
− | == 각주 ==
| |
− | {{각주}}
| |
− |
| |
− | == 참고 문헌 ==
| |
− |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분류=유교}}
| |
− |
| |
− | {{제자백가 둘러보기}}
| |
− | {{철학}}
| |
− |
| |
− | [[분류:성리학| ]]
| |
− | [[분류:중국 철학]]
| |
− | [[분류:한국 철학]]
| |
− | [[분류:베트남 철학]]
| |
− | [[분류:일본 철학]]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