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오죽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9번째 줄: 19번째 줄:
  
 
==위치==
 
==위치==
<googlemap width="700" height="200" lat="37.779391" lon="128.878140" type="normal"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googlemap width="700" height="300" lat="37.779391" lon="128.878140" type="normal"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7.779391, 128.878140, [[강릉 오죽헌]]
 
37.779391, 128.878140, [[강릉 오죽헌]]
 
</googlemap>
 
</googlemap>
26번째 줄: 26번째 줄:
 
쓰기
 
쓰기
 
===창건연대와 이름의 유래===
 
===창건연대와 이름의 유래===
쓰기<ref>안세현, 「麗末鮮初 八景詩의 창작 양상과 삼척 竹西樓 八詠」, 『강원문화연구』 제34집, 2015, 9쪽</ref>
+
쓰기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고려 후기 이승휴(1224-1300)가 1266년에 죽서루에 올라 시를 지었다는 기록이
+
있어 그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2130000,32 삼척 죽서루]', 문화재청, 2017년 4월 5일</ref>
+
1403년에 삼척 수령 김효종이 고쳐서 삼척부의 객사였던 진주관의 부속건물로 사용했다.
+
사신관들을 위한 연회와 접대를 위한 장소로, 삼척 지방 양반 사대부와 문인들의 정신 수양을 위한 공간으로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
그 이후에도 여러 차례 고쳐 세워 졌다는 기록이 있어 죽서루가 갖는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다.<ref>문지은, 「생활을 바탕으로 한 죽서루, 경포대의 누정건축 공간해석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회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ref>
+
  
 
===형태와 위치===
 
===형태와 위치===
강원도 삼척시 성내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송강 정철이 소개한 [[관동팔경]]에 속하며 태백산 오십천의 동쪽 암벽 위에 위치하고 있다.
+
쓰기
(죽서루와 오십천이 함께 명승 제28호로 지정되어 있다)
+
정면 7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의 긴 장방형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ref>문지은, 「생활을 바탕으로 한 죽서루, 경포대의 누정건축 공간해석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회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ref>
+
자연 바위 그대로를 주춧돌로 이용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바위를 깎아내지 않고 그 표면의 울퉁불퉁한 모양대로 기둥을 깎아내어 맞물리게 했다.(그랭이질이라는 전통 건축 기법)
+
 
===죽서루 내의 시문(詩文)===
 
===죽서루 내의 시문(詩文)===
죽서루에는 임금의 어제시를 비롯하여 유명한 문인들의 한시 편액이 곳곳에 붙어있다. 1959년 9월 17일 사하라 태풍으로 많이 유실되고 현재는 27점이 남아있다. 이 중에서 [[이율곡]], [[정조]]어제시, 이구의 작품은 1992년 김충현이, 정철의 작품은 홍태의가 다시 써서 붙였다. 몇가지를 살펴보면, '죽서루'와 '관동제일루'는 숙종 대의 삼척부사였던 이성조가 쓴 것이다.'해선유희지소(海仙遊戱之所)'는 헌종 대의 삼척부사 이규헌이 쓴 것이다.<ref>삼척시, 「삼척 죽서루 정밀실측조사보고서」, 1999, 39쪽</ref>
+
쓰기
 
===죽서루 팔영(八詠)===
 
===죽서루 팔영(八詠)===
자연의 승경을 여덟 가지 경치로 구분하여 쓴 시를 팔경시라 한다. 죽서루를 주제로 한 팔경시도 ''''죽서루 팔영(八詠)'''이라하여 몇 가지가 전해져온다. 안축(1282~1348)의 <삼척서루팔영(三陟西樓八詠)>과 이를 모델로 한 이곡(1503~1549)의 <차안근제축삼척팔영운(次安謹軸三陟八詠韻)>, 이달충(1309~1385)의 <삼척팔영(三陟八詠)>, 이곡의 시를 모델로 한 서거정(1420~1488)의 <삼척축서루팔영(三陟竹西樓八詠)>, 성현(1439~1504)의 <삼척죽서루팔영(三陟竹西樓八詠)>, 신광한(1484~1555)의 <죽서루팔영(竹西樓八詠)> 등 이 있다.<ref>박연호, 「竹西樓의 공간 특성과 그 의미」, 『강원문화연구』28, 2009, 3쪽</ref>
+
쓰기
  
 
===용문(龍門)과 성혈(性穴)===
 
===용문(龍門)과 성혈(性穴)===
죽서루 동쪽에 행초서로 '용문(龍門)'이라 생긴 음각글씨가 있는 바위이며 그 위에 성혈을 암각한 것이 남아있다. 성혈은 여성의 생식기 모양의 구멍을 의미한다. 성혈은 풍요와 생산을 의미하는 선사시대의 상징물이지만 조선시대에 와서 남자아이를 낳게 해달라고 비는 곳으로 변모하게 된다. 용문바위위 성혈은 지금 3~4cm, 깊이 2~3cm 정도의 크기로 10개가 뚫려있다.<ref>삼척시, 「삼척 죽서루 정밀실측조사보고서」, 1999, 59-60쪽</ref>
+
쓰기
  
 
==사진자료==
 
==사진자료==

2017년 4월 6일 (목) 01:29 판


정의

쓰기

위치

내용

쓰기

창건연대와 이름의 유래

쓰기

형태와 위치

쓰기

죽서루 내의 시문(詩文)

쓰기

죽서루 팔영(八詠)

쓰기

용문(龍門)과 성혈(性穴)

쓰기

사진자료

가상현실

참고문헌

    • '삼척 죽서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년 3월 31일

주석

  1. '삼척죽서루', 문화재청, 2017년 4월 5일
  2. 문지은, 「생활을 바탕으로 한 죽서루, 경포대의 누정건축 공간해석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회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8쪽
  3. 문지은, 「생활을 바탕으로 한 죽서루, 경포대의 누정건축 공간해석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회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8쪽
  4. 문지은, 「생활을 바탕으로 한 죽서루, 경포대의 누정건축 공간해석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회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9쪽
  5. 삼척시, 「삼척 죽서루 정밀실측조사보고서」, 1999, 3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