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ree Appointing Yi Sunsin to the Position of Naval Commander of the Three Provinces of Ch'ungch'ŏng, Chŏlla, and Kyŏngsang"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Decree Appointing Yi Sunsin to Concurrently Hold the Position of Naval Commander of the Three Provinces of Ch'ungch'ŏng, Chŏlla, and Kyŏngsang Title English: Decree Appointing Yi...)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Decree Appointing Yi Sunsin to the Position of Naval Commander of the Three Provinces of Ch'ungch'ŏng, Chŏlla, and Kyŏngsang | → Decree Appointing Yi Sunsin to the Position of Naval Commander of the Three Provinces of Ch'ungch'ŏng, Chŏlla, and Kyŏngsang | ||
− | + | View together with Instructions for the Secret Tally 密符諭書 | |
− | + | 李舜臣 密符諭書(159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iew together with Instructions for the Secret Tally 密符諭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개요: 1597년 7월 23일에 선조가 이순신에게 全羅左道水軍節度使 兼 忠淸全羅慶尙等三道 水軍統制使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諭書이다. 관찰사가 가진 군사권을 동원할 수 있는 密符를 주는데, 본 유서는 그 밀부의 번호를 적고 있다. 본 밀부유서는 보물 제1564-6호이다. | 개요: 1597년 7월 23일에 선조가 이순신에게 全羅左道水軍節度使 兼 忠淸全羅慶尙等三道 水軍統制使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諭書이다. 관찰사가 가진 군사권을 동원할 수 있는 密符를 주는데, 본 유서는 그 밀부의 번호를 적고 있다. 본 밀부유서는 보물 제1564-6호이다. | ||
− | |||
卿受委一方。體任非輕。 | 卿受委一方。體任非輕。 | ||
경은 한 지역에서 나의 위임을 받았으니 책임이 가볍지 않도다. | 경은 한 지역에서 나의 위임을 받았으니 책임이 가볍지 않도다. | ||
73번째 줄: | 31번째 줄: | ||
만력 25년(1597년) 7월 23일 | 만력 25년(1597년) 7월 23일 | ||
+ | |||
<Primary Source Text and English Classical Chinese> | <Primary Source Text and English Classical Chinese> |
2017년 3월 24일 (금) 12:11 기준 최신판
Decree Appointing Yi Sunsin to Concurrently Hold the Position of Naval Commander of the Three Provinces of Ch'ungch'ŏng, Chŏlla, and Kyŏngsang
Title English: Decree Appointing Yi Sunsin to Concurrently Hold the Position of Naval Commander of the Three Provinces of Ch'ungch'ŏng, Chŏlla, and Kyŏngsang → Decree Appointing Yi Sunsin to the Position of Naval Commander of the Three Provinces of Ch'ungch'ŏng, Chŏlla, and Kyŏngsang
View together with Instructions for the Secret Tally 密符諭書 李舜臣 密符諭書(1597) 개요: 1597년 7월 23일에 선조가 이순신에게 全羅左道水軍節度使 兼 忠淸全羅慶尙等三道 水軍統制使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諭書이다. 관찰사가 가진 군사권을 동원할 수 있는 密符를 주는데, 본 유서는 그 밀부의 번호를 적고 있다. 본 밀부유서는 보물 제1564-6호이다.
卿受委一方。體任非輕。 경은 한 지역에서 나의 위임을 받았으니 책임이 가볍지 않도다.
凡發兵應機 安民制敵 무릇 군사를 출동하여 사태에 적응하고 백성을 편안히 하며 적을 제압하는 데 있어
一應常事 自有舊章 정상적인 사무는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관례가 있지만
慮或有予與卿 獨斷處置事 非密符 莫可施爲 간혹 나와 그대만이 단독으로 처리해야 할 사건에 대하여는 비밀병부가 아니면 실시할 수 없으며
且意外姦謀 不可不預防 또 뜻밖에 야기되는 사태도 예방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如有非常之命 合符無疑然後 當就命 만일 비상사태에 의한 명령이 있을 때에는 비밀병부와 맞추어 보아 의심이 없는 연후에 명령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故賜押第七符 卿其受之 故諭. 그러므로 제7호의 비밀병부를 찍어서 내리는 것이니 그대는 이를 수령하라. 이상과 같이 명령한다.
만력 25년(1597년) 7월 23일
<Primary Source Text and English Classical Chinese>
王若曰嗚呼 國家之所倚以爲保障者 惟在於舟師
왕은 이르노라. 오호라! 국가가 보장保障을 위해 의지할 곳은 오직 수군 뿐인데,
(春園) 왕이 가라사대, 슬프다! 국가 의지로 믿는 것이 (오직) 수군 뿐이어늘,
The king says thus: Alas! The only thing that the dynasty can depend on to protect it is the navy.
而天未悔禍 兇鋒再熾 하늘이 아직 화를 뉘우치지 않으사, 흉악한 칼날이 다시 성하여 (春園) 하늘이 아직도 재화를 부족다 하시와, 적병이 다시 날뛰어 But heaven has not yet relented in bringing calamity [to the dynasty]. The [enemy’s] vicious spears blazed again,
遂使三道大軍 盡於一戰之下 마침내 삼도의 대군을 한 번 싸움에서 모두 잃었으니 (春園) 드디어 삼도 대군이 한 싸움에 다하였으니, and overcame the great navy of the three provinces in just one battle. → so at last made the large forces of the three provinces annihilated under the just one battle.
此後近海城邑 誰復屛蔽 이후로 바다 근처 성읍은 누가 다시 막아 낼 것이며, (春園) 이 앞으로 바닷가 성읍을 뉘 있어 보호하며 After this, who will reinforce the defenses in the coastal regions? → After this, who will defense the walled towns in the coastal regions again?
而閑山已失 賊何所憚 한산도 이미 잃었으니 적이 두려울 것이 무엇이 있겠는가? 한산도를 이미 잃었으니 적이 무엇을 꺼리리오. Hansan Island is already lost; what does the enemy have to fear?[3] → Since Hansan Island is already lost, what does the enemy fear [now]? [3] Hansan Island閑山, on the southern end of the Korean peninsula, was a location of great tactical importance. It was the place where Yi Sunshin led one of his most renowned naval victories in 1592. However, after Yi was framed and relieved of command, Hansan Island fell to Japanese hands after the Battle of Ch’ilch’ŏnnyang (漆川梁), when the entire Chosŏn navy was nearly exterminated, save for a small detachment of twelve warships.
燒眉之急 迫於朝夕 눈썹을 태울 급박함이 조석에 닥쳤으니, (春園) 위급한 일이 조석에 달렸도다. Facing this immediate crisis, hard-pressed day and night, → The imminent crisis is pressing (or approaching) in the mornings and evenings.
目下之策 惟當召聚散亡 收合船艦 지금의 계책은 오직 흩어져 도망간 군사를 불러 모으고 선박과 군함을 거두어 합쳐, (春園) 지금에 할 일은 흩어진 군사와 배를 모으고 the [only] strategy before us is to summon the scattered [forces] together, assemble the warships, → The urgent measure is soly to summon the scattered and runaway deserters, assemble the warships,
急據要害去處 儼然作一大營 급히 아군에 요긴하고 적에게 해로운 거처要害去處에 의거해 엄연히 하나의 큰 군영을 만들면, (春園) 급히 요해처要害去處를 정하여 큰 수군영을 지음에 있을 뿐이니, and quickly retake a position of strategic importance, quietly consolidating one major stronghold. → quickly occupy a strategic point, and firmly establish one great military camp.
則流逋之衆 知有所歸 方張之賊 亦庶幾乎式遏 흘러 도망간 무리들이 돌아갈 바를 알 것이요. 한창 세력을 뻗어가는 적들 또한 거의 막을 수 있을 것이다. (春園) 그리하면 도망한 무리도 돌아올 곳을 알 것이요, 날뛰는 적도 혹시 막을 수도 있으리로다. Then, the fleeing masses would know where they can return to, and the encroaching enemy might be stopped. → Then, those runaways would know where they can return, and the widespread enemy also might be checked.
而膺是責者 (春園) 이 책임을 맡을 만한 이가 If the one who bears the responsibility [for this task] → If a person in charge of this responsibility
非有威惠智幹素見服於內外 위엄과 은혜와 재간이 전부터 내외에 신망을 받는 이가 아니라면 does not have authority, benevolence, intelligence, and fortitude, such that he will be obeyed by all, → does not have dignity, benevolence, wisdom, and talent admired inherently b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military camp],
則曷能勝斯任哉 (春園) 어찌 이 임무를 감당하리오. then how could he bear this task? → then how could he bear this task?
惟卿聲名早著於超授閫寄之日
생각하건대, 그대는 일찍이 건너뛰어 水師(수군) 책임에 제수되던 그날에 이름이 드러났고
(春園) 그런데 경은 전번 뛰어 대장을 삼을 때에 벌써 명성이 드러났고
My minister, you gained a splendid reputation even before the day you assumed high military office,
→ Your fame and name had been well-known from early when appointed as navy commander.
功業再振於壬辰大捷之後 또 임진년 대첩이 있은 뒤로 업적이 다시 크게 떨쳐, (春園) 또 임진년 대승전에 공업(功業)이 다시 떨치어 and since your meritorious exploits in the great victory of the Imjin year [1592], → and after the great triumph in the Imjin year [1592], your military service was distinguished again,
邊上軍情 恃爲長城之固 변방 군대 상황이 만리장성의 견고함을 믿었던 것과 같았노라. (春園) 변방군사가 장성과 같이 굳게 믿던 배라. the military situation on the frontiers has depended on you for being as firm as the Great Wall. → on which the soldiers on the frontier relied as if they did on solidity of the Great Wall.
而頃者遆卿之職 俾從戴罪之律者 그러나 지난번에 경卿의 직함을 갈고 그대로 하여금 죄를 지는 율에 따르게 한 것은 (春園) 접때 경의 벼슬을 갈아 죄명을 쓰게 한 것은 But in recent times, (位置變更) you have been removed from office and made to bear the punishment of law, → But the other day stripping you of your title and making you sentenced by the criminal law
亦出於人謀不臧 역시 사람의 생각이 착하지 못함에서 나온 것이어서 (春園) 사람의 생각이 잘못되어 그러함이로다. (位置變更) due to the schemes of another,[4] → also came from the fact that men's schemes were not conscientious, [4] This likely refers to Won Kyun (元均, 1540-1597), a Chosŏn navy commander who had personal conflicts with Yi Sunshin and contributed to Yi’s removal from office. By the time of the Battle of Ch’ilch’ŏnnyang, Won Kyun had replaced Yi as the regional naval commander.
而致今日敗衂之辱也 尙何言哉 尙何言哉 금일 패육敗衂의 욕이 이르게 된 것이니, 또 무슨 말을 하며, 또 무슨 말을 하랴. (春園) 그리하여 오늘의 패전의 욕을 당하니, 또 무슨 말을 하며, 또 무슨 말을 하랴. [The effects of this] have extended to the humiliation of today’s defeat. What can I say? What can I say? → which brought the humiliation of defeat to this day. Furthermore, what can I say? Furthermore, what can I say?
今特起卿于墨衰 拔卿于白衣 이제 각별히 묵쇠墨衰(모친상) 중 경을 일으키고, 백의白衣에서 뽑아내어 (春園) 이제 특히 거상 중에 불러 내이고 백의白衣에서 뽑아내어 Now, I am specifically raising you from mourning garb, and elevating you from commoner status.[5] → Now, as an exceptive case, I call you out of mourning, select you among commoners, [5] Yi Sunshin’s mother had died earlier that year, and was in mourning. Typically, while in mourning one could not hold office. ‘Commoner status’ is literally written as ‘white robes’ 白衣, which refers to a demoted official.
授以兼忠淸全羅慶尙等三道水軍統制使 겸 충청. 전라. 경상 등 삼도수군통제사에 제수하노니, (春園) 겸 충청. 전라. 경상 등 삼도수군통제사를 제수하노니, I reinstate you to concurrently hold the position of Naval Commander of the Three Provinces of Ch'ungch'ŏng, Chŏlla, and Kyŏngsang. → and appoint you as Concurrent Naval Commander of the Three Provinces of Ch'ungch'ŏng, Chŏlla, and Kyŏngsang.
卿於至之日 先行招撫 경은 교서가 이르는 날 먼저 나아가 군사를 불러 무마(撫摩)하고 (春園) 경은 이 교서를 받는 즉시로 일변 있는 군사를 부르고 From today, first rally and placate [the troops], → On the very day of arrival of this royal message, you first rally and appease soldiers,
搜訪流散 團作海營 떠돌고 흩어진 자들을 찾아 보고 해군의 진영을 모아 만들어서, (春園) 흩어진 이를 두루 찾아 해군을 조직하고 search out those who have scattered, and unite and build up the naval forces, → and then search out those drifted and scattered, so that the corps establish a naval base.
進扼形勢 使軍聲一振 나아가 형세를 잡아 군성을 일시에 떨치면 형승처를 점거하여 군성을 떨치게 하라. so as to advance and take control of the situation. If you make the army rise as one, → If you advance and take control of the situation, and thus let a battle cry raised at once,
則已散之民心 可以復安 이미 흩어진 민심을 다시 편안케 할 수 있고, (春園) 그러하면 흩어진 민심도 다시 안정될 것이요, the minds of the people, which have become scattered, will be at ease once more, → then the previously agitated heart of people will be able to be at peace again. 而賊亦聞我有備 적 또한 우리가 준비가 있음을 듣고 (春園) 적도 우리에게 준비가 있음을 들으면, and the enemy, hearing that we are fully equipped, → Moreover, the enemy also will hear that we are prepared,
不敢再肆猖獗 卿其勖之哉 감히 다시 방자하게 창궐하지 못할 것이니, 경은 이를 힘쓸 지어다. (春園) 다시 제 마음대로 창궐하지 못할 것이니, 경아, 힘쓸지어다. will not dare to indulge in wanton destruction again. You must attend to this. → and will not dare to run rampant again, causing wanton destruction. So you attend to this.
水使以下並節制之 수사水使 이하는 모두 통제節制하며, (春園) 수사水使 이하로 다 절제하되, From the naval commanders and below, all must be disciplined. → Under the provincial navy commander, all be self-controlled.
其有臨機失律者 一以軍法斷之 일에 임하여 규율을 범하는 자는 일체 군법대로 처단하려니와, 만일 일에 임하여 명을 지키지 아니하는 자 있거든 다 군법으로 처단하라. Anyone who breaks with military regulation should be punished, uniformly and in accordance with the law. → Those who ever violate the law will be punished by military law without exception.
若卿殉國忘身 相機進退 在於已試之能 경이 나라 위해 목숨을 바치고 자기 몸을 잊으며, 때를 보아 나가고 후퇴하고 하는 것은 이미 능력을 시험한 바라 (春園) 경이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잊고 진하며 퇴함에 시기를 잃지 아니함은 이미 시험한 배라, You have already proven your selfless sacrifice for the state and [ability to] read the flow of battle. → Your sacrificial service without sparing yourself for country and your capability of commanding the navy to advance and to retreat are already proven.
予曷敢多誥 내 어찌 감히 여러 경계를 하리오. (春園) 내 어찌 감히 여러 부탁을 하리오. How could I dare presume to instruct you on this? → How dare I give you many instructions?
於戲 陸抗再鎭河上 克盡制置之道
아! (저 오나라의 장수) 육항이 하상河上을 재차 진압하여 능히 통제와 배치의 법도를 다했고,
(春園) 아아, 육항은 두 번째 하상河上을 지켜 잘 제치의 도를 다하였고,
Indeed, as when Lu Kang rebuilt the defenses on the river in order to fully execute his duty,[6]
→ Oh, Just Lu Kang fulfilled military obligations by defending the river bank twice
[6] Lu Kang陸抗 (226-274 C.E) was a famed military general who served the state of Wu吳 and is celebrated for his good judgement, upright conduct, and intelligent military tactics in defense of Wu吳, though he also opposed unnecessary military aggression on the part of his ruler Sun Hao 孫皓 (Sanguozhi vol. 58).
王遜出自罪籍 能成掃蕩之功 또 왕손이 죄인의 명부에서 나와 능히 적을 소탕하는 공을 이룬 것 같이, (春園) 왕손은 죄적에서 나와 능히 소탕의 공을 이루었으니, and Wang Xun emerged from the criminal register to successfully cleanse [the realm],[7] → and Wang Xun performed a meritorious deed after his name was removed from the criminal register, [7] There are multiple historical figures named Wang Xun 王遜, but they do not appear to match the description of someone ‘rising from the criminal register’ in this text. There was a Wang Xun 王遜 (d. 325 C.E) known for his great accomplishments who lived during the Jin dynasty (Jinshu vol. 81). He does not seem to have any connection to criminal behavior. (His biography in the Jinshu is immediately followed by that of a military official of the Jin dynasty, Cai Bao 蔡豹, who appears to have had a more colorful life experience. Is this possibly the confusion?) Wang Jian 王儉 also had a younger brother of the name Xun, who was criminalized, and regarded as far from the conduct of his elder brother.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the decree refers to Wang Xun, governor of Henan during the reign of Emperor Wu/Sima Yan, who is said to have strictly enforced prohibitions about recruiting clients, which may relate to the mention of ‘registers’ here.
益堅忠義之心 庶副求濟之望 더욱 충의의 마음을 견고히 하여, 바라건대 구제救濟의 소망에 부응할지어다. (春園) 더욱 충의의 마음을 굳건히 하여 나라를 건지려는 내 소망을 맞추게 할지어다. (make firm thy) a loyal and righteous heart can fulfil [a sovereign’s wish] for [the] salvation [of the people]. → so may you make your heart more loyal and righteous in accordance with my wish to deliver the country.
故玆敎示 想宜知悉 고로 이에 교시하노니 마땅히 모두 알기를 바라노라. (春園) 이런 전차로 이에 교시하노라. 마땅히 알아 할지어다. (pp. 238-239) For this reason I make the appointment. Be mindful of it. → For this reason I issue this decree. I pray thee; know about the whole situation.
萬曆二十五年七月二十三日 만력25년(1597) 7월 23일 On the 23rd day of the 9th month in the 25th year of the reign of Wanli 萬曆 → On the 23rd Day of the Seventh Lunar Month of the 25th Year of the Wanli Reign (1597)
<Discussion Questions> 1. View together with Instructions for the Secret Tally 密符諭書.
2. How does King Sŏnjo present his own role in Yi Sunsin’s demotion and reinstatement?
What wrong was done to Yi in the past per this instruction?
What can you surmis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ŏnjo and Yi Sunsin?
Is the king apologetic?
3. Under what circumstances did the king write this instruction to Yi Sunsin?
What do the documents above tell us about the military situation in 1597 at the outset of a second Japanese invasion?
When the king laments the loss of Hansan Island, which battle is he referring to?
Why was this battle so important?
Is the king offering Yi Sunsin a carrot or a stick?
<Further Readings> Swope, Kenneth M. A Dragon’s Head and a Serpent’s Tail: Ming China and the First Great East Asian War, 1592-1598. Norman: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05.
Yi Sunsin (1545-1598). Nanjung ilgi: war diary of Admiral Yi Sun-sin. Translated by Ha Tae-hung; edited by Sohn Pow-key. Seoul, Korea: Yonsei University Press, 1977.
Yu Sŏngnyong (1542–1607). The Book of Corrections: Reflections on the National Crisi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1592–1598. Translated by Choi Byonghyon. Berkeley Calif.: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2002.
분류: 2016 Advanced Translation GroupRoyal Documents1597Yi Sunsin
진주지역은 충무공이 7월 27일 정개산성鼎蓋山城(경남 하동) 건너편 손경례孫景禮의 집으로 옮겨 머물다 8월 3일 삼도수군통제사 임명 교지를 이곳에서 받았다. 충무공 백의종군 행로의 마지막 지점이라는 것과 삼도수군통제사 재수임지라는 역사적 의미가 있는 곳이다.
손경례孫景禮의 집 - 7월 27일~8월3일까지 머문 곳
7월 27일 이른 아침에 정성(鼎城) 건너편 손경례孫景禮의 집으로 옮겨 유숙하였다. 현재 손경례孫景禮의 집은 진주시 수곡면 원계리에 있으며 사랑채 안채건물 2동이 있다. 가옥은 개량 한옥으로 처마 아래에 빛바랜 이순신장군의 영정影幀이 있고 사랑채 전면에 1965년에 건립된 삼도수국통제사 재수임기념비가 서있다.
손경례孫景禮는 밀양손씨의 후예로서 시조는 손순(孫順)인데 일연스님이 지은『삼국유사』에는 다음과 같이 전해져 온다. 옛날에 손순(孫順)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효성이 지극하여 살림이 가난하여도 부모봉양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한다. 하루는 식사 중에 어린자식이 늘 부모님의 밥상에 앉아 노부모의 음식을 먹어서 손순(孫順) 부부가 의논 끝에 자식은 다음에 또 낳으면 되지만 부모님은 한번 가시면 다시 모시기 어려우니 어린자식을 몰래 내다버리기로 결심하고 어린자식을 땅에 묻기 위해 땅을 파다가 돌로 만든 석종을 수습하게 되었는데 석종의 소리가 너무도 아름답거니와 이상히 여겨 자식을 묻지 않고 석종을 집으로 가져왔다. 집에서 석종을 치는데 아름다운 종소리가 임금이 계시는 궁궐에 까지 들려 임금이 연유를 알아오게 한즉 내용을 듣고는 효성이 지극하다하여 보살핌을 입었다고 적고 있다.
효자 손순(孫順)을 시조로 하는 밀양 손씨의 후예인 손수령孫壽齡(1417~1486)이 조선 세종조의 무신이었던 하경복의 동생 하경리의 딸과 혼인하면서 수곡면 사곡에 살게 되었고, 손수령의 호가 오곡이므로 오곡공파라 하여 파조로 삼고 있다. 손수령은 8형제를 두었는데 막내인 손 시(時)(1441~1474)가 이곳 원계로 이거하여 현재까지 살고 있다. 손시孫時의 손자 손난원(1514~1583)의 셋째 아들이 손경례孫景禮(孫景禮)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이 7품인 사재감직장(司宰監直長)에 이르렀다. 지금도 후예가 이곳에 살고 있고 현재 있는 이집도 후손이 소유하고 있다. 따라서 약 550년간 이곳에서 대를 이어 살고 있는 것이다. 현재 건물에 걸린「우계서실」편액은 손창수(孫淐壽)의 호가 우계(又溪)여서 우계서실이라 하였는데 손창수는 한말의 대유학자로 이름난 회봉 하겸진河謙鎭(1870~1946)의 문인으로 활동하였다.
1597년 당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53세였으며 손경례孫景禮의 생몰년대는 1710년 경인년의 족보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아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비슷한 연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모함으로 벼슬을 박탈당하고 백의종군을 하면서 이곳 원계의 손경례孫景禮 고택에 머문 것은 1597년 7월 27일부터 8월3일까지 였다. 7월 27일부터 손경례孫景禮의 집에서 유숙 기간중 군사를 훈련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충무공의 난중일기에 따르면 7월 29일에 “냇가로 나가 군사를 점고하고 말을 달렸는데 원수가 보낸 군대는 모두 말도 없고 활에 화살도 없으니 소용없었다” 라고 기록하고 있어 원계 마을 앞의 진배미들을 1974년에 『이충무공 진배미 유지』라는 이름으로 경상남도 기념물 제16호로 지정하였고 1975년에는『이충무공군사훈련유적비』를 세웠다.
8월3일에는 “이른 아침에 선전관(선전관) 양호(양호)가 뜻밖에 들어와서 교서(교서)와 유서(유서)를 가져 왔는데 분부의 내용인즉 겸 삼도수군통제사(겸삼도수군통제사)의 명령이었다.”고 기록하였는데 이곳이 바로 지금으로부터 410여년전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선조 임금으로부터 통제사의 교서와 유서를 받았던 역사의 현장이다. 선조가 충무공에게 내린 삼도수군통제사 재수임 교서가 충무공 전서에 전한다.
이곳은 1597년 4월 1일부터 1597년 8월 3일까지 오직 구국의 일념으로 일관해온 충무공의 백의종군의 마지막 지점임과 동시에 칠전량 전투에서 왜군에게 대패하여 조선의 수군이 전멸했음에도 “今臣戰船 尙有十二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있습니다.”라고 상소를 올리고 율돌목의 물살과 지형을 이용해 300여척이 넘는 왜군의 수군을 물리친 명랑대첩을 있게 하고 본국으로 퇴각하는 왜군을 끝까지 막고 싸워 승리를 이끌면서 “나의 죽음을 알리지 마라”라고 했던 노량해전을 있게 한 시작점이라 할 수 있다. 여의마을 충무공 이순신장군이 이곳에서 삼도수군통제사의 재임교서를 받은 것은 충무공 이순신이 구국의 성웅으로 이름을 남기게 된 일생의 전환점이고 조선이 7년간의 전란을 승리로 이끌게 되는 역사의 전환점을 만드는 계기가 되는 중요한 역사의 현장이라고 할 수 있다.
8월 3일 아침 선전관 양호가 교서(敎書)와 유서(諭書,깨우치는 글)을 가져오왔는데 겸삼도통제사(兼三道統制使)의 명령이었다. 숙배한 뒤에 받자온 서장을 써서 봉해 올리고 곧 길을 떠나, 오후 8시께 횡보역(하동군 횡천면 여의리)에서 쉰 다음 자정이 넘어 두치리에 도착하니 먼동이 트려했다. 쌍계동(하동군 화개면 탑리)에 이른 즉 뾰족뾰족한 돌들이 흩어져 있는데 잦은 비에 물이 넘쳐 어렵사리 건넜다고 전한다. 석주(구례군 토지면)에 이르자 이원춘과 유해가 복병하여 지키다가 나와서 보고 적 토벌할 일에 대해 많이 이야기 하였다. 해가 저물어서 구례에 이르렀는데 경내가 쓸쓸하였다 한다.
http://www.yi-sunsin.com/05baeguijonggun/04_01_05.jsp
<어록 및 시작품>
勿令妄動 靜重如山 ("망령되게 움직이지 말고 조용하고 무겁기를 산과 같이 하라")
옥포 앞 바다에서 첫 해전을 앞둔 조선 수군 장수들에게 신중하고 침착하게 전투에 임할 것을 당부하며 이른 말. 옥포해전은 임진왜란 시 조선 수군의 첫 승리이자, 조선군이 거둔 첫 승리였다. (옥포파왜병장, 5월 10일 기록)
今臣戰船 尙有十二 ("지금 신에게는 아직도 전선 12척이 있사옵니다") 원균 휘하의 조선수군이 칠천량해전에서 거의 전멸하자, 선조는 “수군을 파하고 육전에 힘쓰라”는 교서를 내린다. 그러나 이순신은 수군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아는 터, 수군이 존속해야 함을 강력하게 주장한다. 이 후 장군은 명량해전에서 1척의 배를 더 추가하여, 13척의 배로 수백 척의 적군과 맞서 싸워 승리한다. (이충무공행록 기록)
必死則生 必生則死 ("죽고자 하면 살고, 살고자 하면 죽는다") 절 대적인 수적 열세 속에서 큰 해전을 치러야 하는 수군의 장수들에게 굳은 정신력을 가지고 싸움에 임할 것을 당부하며 이른 말. 다음 날 명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과 조선수군은 위와 같은 결사의 정신으로 전투에 임하여, 13대 133이라는 엄청난 전투력의 열세를 극복하고 승리한다.(난중일기 1597. 9.15 기록)
戰方急 愼勿言我死 ("싸움이 한창 급하다. 내가 죽었다는 말을 내지 마라!") 이 순신 장군의 마지막 유언. 1598년 11월 19일 퇴각하는 적과 노량 앞바다에서 대전을 치르는 선상에서 장군은 적의 총탄에 맞아 전사한다. 죽음의 순간에도 아군의 동요를 염려하며 곁에 있던 맏아들 회와 조카 완에게 위와 같은 말을 유언으로 남긴다.(이충무공행록 기록)
한산도가(閑山島歌) (난중일기) 閑山島月明夜 上戍樓 憮大刀 深愁時 何處一聲羌笛 更添愁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차에 어디서 들려오는 피리소리는 남의 애를 끊나니
한산도 야음(閑山島夜吟) 水國秋光暮(수국추광모) 驚寒雁陣高(경한안진고) 憂心輾轉夜(우심전전야) 殘月照弓刀(잔월조궁도) 넓은 바다에 가을 햇빛 저무는데 추위에 놀란 기러기 떼 하늘 높이 날아간다 근심스런 마음에 잠 못 자는 밤 새벽달은 무심코 활과 칼을 비추네 <충무공의 가계>
이충무공의 先系는 鄕吏 출신으로서 고려말에 品官으로 성장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顯達하여 이순신의 7대조 李邊이 文學으로 출세하여 弘文館大提學에, 증조부 李踞 당시에는 兵曹參議을 역임하였고, 조부 李百祿이 정암 조광조와 친교를 맺었다가 기묘사화에 被禍되어 기묘명현으로 추앙되었다. 즉 이순신 先系는 16세기 초 중종 대에 번창하여 李宜茂 李踞 등 10 여명이 문, 무과에 급제하는 한편 左議政(李荇), 靖難功臣(菡). 기묘명현 李百祿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하면서 일약 名門으로 성장하였다. 선조 대에는 李珥 李舜臣 李安訥 李植 등이 배출되면서 가문의 전성기를 맞이한다.50) 이충무공의 家系를 圖示하면 다음과 같다.
이순신 사후 아들 李薈(이회, 1567~1625)와 李䓲(이예,1571~1631)를 중심으로 그의 자손들은 거의 蔭職으로 출신하고 참봉, 현감 정도의 벼슬에 머물렀다. 이에 이순신 직계는 조선후기 武譜에 등재될 정도로 전형적 武班의 家格을 지니게 된다. 족보를 통해 거주지를 살펴보자. 이순신의 6대조 李邊(1391~1473) 이래로 서울과 경기 광주 인근에 거주하였다. 이는 李邊(대제학) 자신과 아들 손자인 李孝祖, 李踞의 묘소가 현재의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 塔谷 일대인 것에서 알 수 있다. 이순신의 從曾祖父 李百福과 그 자손들은 경기도 廣州(현재의 성남시) 大庄洞 道藏洞 일대에, 이순신의 曾祖父 李百祿과 그 후손들은 현재의 용인시 수지면 古基里 일대에 조성된다. 두 형제의 묘소는 咫尺之間으로서 그의 형제와 그 후손들이 경기 廣州 일대에 세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순신 가문이 충청도 牙山으로 이주한데는 그의 아버지 李貞(1511~1583) 당대였으며, 이후 그의 직계는 충청도 牙山의 塩峙面 白岩里 일대에 정착하였다. 이순신의 둘째 아들 李䓲(1571~1631)는 아산에서 溫陽의 金谷으로 이주하였다. 이때부터 이순신 직계 및 그 방계후손들은 충청도 일대 아산 온양 일대에 거주하였다. 요컨대, 이순신 先代는 고려 말에 立身하여 조선 초·중기에 가문의 전성기를 맞이하였고 거주지 또한 서울과 경기도 광주 일대에 세거하였다. 이순신의 아버지 李貞 당대에 비로소 충청도 牙山으로 移住하였다. 家勢 또한 文翰과 관직을 두루 역임하면서 조선 초기 이래 16세기 중반까지는 당당한 문반 사족 가문으로 서의 위상을 유지하였다. 이순신이 무과 급제를 통해 입신한 이후 그의 아들 대에 이르러 蔭職과 武科를 통해 출사하게 되면서 전형적 武班으로서 성격을 굳히게 된다. 이순신의 아들 손자들이 대거 武譜에 입록된 것은 바로 이같은 가문의 위상 변화를 말해주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백과>
1545(인종 1)∼1598(선조 31). 조선 중기의 명장.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해(汝諧). 아버지는 이정(李貞)이며, 어머니는 초계 변씨(草溪卞氏)로 변수림(卞守琳)의 딸이다. 서울 건천동(乾川洞: 지금의 중구 인현동 부근)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가계는 고려 때 중랑장을 지낸 이돈수(李敦守)로부터 내려오는 문반(文班)의 가문으로, 이순신은 그의 12대손이 된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이순신의 가문은 4대 때에 조선 왕조로 넘어오면서 두각을 나타낸다. 5대조인 이변(李邊)은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와 홍문관 대제학을 지냈고, 증조부 이거(李琚)는 병조참의에 이르렀다.
그러나 할아버지 이백록(李百祿)이 조광조(趙光祖) 등 지치주의(至治主義)를 주장하던 소장파 사림(少壯派士林)들과 뜻을 같이하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 1519년 11월,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김식 등 신진사류가 남곤(南袞)·심정(沈貞)·홍경주 등의 훈구 재상에 의해 화를 입은 사건)의 참화를 당한 뒤로는 아버지 정李貞도 관직에 뜻을 두지 않았던 만큼 이순신이 태어날 즈음에 가세는 이미 기울어 있었다.
그러하였음에도 그가 뒤에 명장으로 나라에 큰 공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은 유년시절에 어머니 변씨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던 때문이었다. 변씨는 현모로서 아들들을 끔찍이 사랑하면서도 가정교육을 엄격히 하였다.
그는 위로 희신(羲臣)·요신(堯臣)의 두 형과 아우 우신(禹臣)이 있어 모두 4형제였다. 형제들의 이름은 돌림자인 신(臣)자 위에 삼황오제(三皇五帝) 중에서 복희씨(伏羲氏)·요(堯)·순(舜)·우(禹)임금을 시대 순으로 따서 붙인 것이다.
그는 사대부가의 전통인 충효와 문학에 있어서 뛰어났을 뿐 아니라 시재(詩才)에도 특출하였으며 정의감과 용감성을 겸비하였으면서도 인자한 성품을 지니고 있었다.
강한 정의감은 뒤에 상관과 충돌하여 모함을 받기도 하였으며, 용감성은 적을 두려워하지 않고 전투에서 매양 선두에 나서서 장졸들을 지휘함으로써 예하장병의 사기를 북돋워 여러 전투에서 전승의 기록을 남길 수 있었다.
또, 그의 인자한 성품은 홀로 계신 노모를 극진히 받들 수 있었고, 어버이를 일찍 여읜 조카들을 친아들같이 사랑할 수 있었다.
그의 시골 본가는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면 백암리이나 어린 시절의 대부분은 생가인 서울 건천동에서 자란 듯하다. 같은 마을에 살았던 유성룡(柳成龍)은 『징비록(懲毖錄)』에서 이순신이 어린 시절부터 큰 인물로 성장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있었음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순신은 어린 시절 얼굴 모양이 뛰어나고 기풍이 있었으며 남에게 구속을 받으려 하지 않았다. 다른 아이들과 모여 놀라치면 나무를 깎아 화살을 만들고 그것을 가지고 동리에서 전쟁놀이를 하였으며, 자기 뜻에 맞지 않는 자가 있으면 그 눈을 쏘려고 하여 어른들도 그를 꺼려 감히 그의 문 앞을 지나려 하지 않았다. 또 자라면서 활을 잘 쏘았으며 무과에 급제하여 발신(發身)하려 하였다. 또 자라면서 말타고 활쏘기를 좋아하였으며 더욱이 글씨를 잘 썼다.”
28세 되던 해에 비로소 무인 선발시험의 일종인 훈련원별과(訓鍊院別科)에 응시하였으나 불운하게도 시험장에서 달리던 말이 거꾸러지는 바람에 말에서 떨어져서 왼발을 다치고 실격하였다.
그 뒤에도 계속 무예를 닦아 4년 뒤인 1576년(선조 9) 식년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훈련원봉사(權知訓鍊院奉事)로 처음 관직에 나갔다.
이어 함경도의 동구비보권관(董仇非堡權管)에 보직되고, 이듬해에 발포수군만호(鉢浦水軍萬戶)를 거쳐, 1583년 건원보권관(乾原堡權管)·훈련원참군(訓鍊院參軍)을 역임하고, 1586년에는 사복시주부가 되었다. 그러나 무관으로 발을 들여놓은 그의 진로는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그는 사복시주부에 이어 조산보만호 겸 녹도둔전사의(造山堡萬戶兼鹿島屯田事宜)가 되었는데, 이 때 그는 국방의 강화를 위하여 군사를 더 보내줄 것을 중앙에 요청하였으나 들어주지 않던 차에 호인(胡人)의 침입을 받고 적은 군사로 막아낼 수 없어 부득이 피하게 되었다.
그런데 조정에서는 그것이 오로지 그의 죄라 하여 문책하였다. 그러나 그는 처형당할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주장(主將)의 판결에 불복하면서 첨병(添兵)을 들어주지 않고 정죄(定罪)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 하여 끝내 자기의 정당성을 주장하였다.
이 사실이 조정에 알려져서 중형을 면하기는 하였으나, 첫번째로 백의종군(白衣從軍)이라는 억울한 길을 걷게 되었다.
그 뒤 전라도관찰사 이광(李洸)에게 발탁되어 전라도의 조방장(助防將)·선전관 등이 되고, 1589년 정읍현감으로 있을 때 유성룡에게 추천되어 고사리첨사(高沙里僉使)로 승진, 이어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만포첨사(滿浦僉使)·진도군수 등을 지내고, 47세가 되던 해에 전라좌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
그는 곧 왜침이 있을 것에 대비하여 좌수영(左水營: 여수)을 근거지로 삼아 전선(戰船)을 제조하고 군비를 확충하는 등 일본의 침략에 대처하였고, 나아가서 군량의 확보를 위하여 해도(海島)에 둔전(屯田)을 설치할 것을 조정에 요청하기도 하였다.
이듬해인 1592년 4월 13일 일본의 침입으로 임진왜란이 발발되었는데 일본의 대군이 침입해 왔다는 급보가 전라좌수영에 전달된 것은 이틀 뒤였다.
이 날은 국기일(國忌日)이었으므로 그는 공무를 보지 않고 있었는데, 해질 무렵 경상우수사 원균(元均)으로부터 왜선 350여 척이 부산 앞바다에 정박중이라는 통보에 이어 부산과 동래가 함락되었다는 급보가 들어왔다.
그 때 부산 앞바다의 방어를 맡은 경상좌수영의 수군은 왜선단을 공격하지도 않았고, 경상좌수사 박홍(朴泓)은 부산이 함락된 뒤에야 예하 장졸을 이끌고 동래 방면에 당도하였으나 동래가 함락되는 것을 보고는 군사를 돌려 육지로 도망하였다.
또, 거제도에 근거를 둔 우수사 원균은 적이 이르기도 전에 싸울 용기를 잃고 접전을 회피함으로써 일본군은 조선수군과 한번 싸우지도 않고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이러한 소식에 접한 그는 즉시 전선을 정비하고 임전태세를 갖추었지만, 적을 공략하기에 앞서 전황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그의 휘하 전함대는 4월 29일 수영 앞바다에 총집결하여 매일 작전회의가 열리고 기동연습도 강행하여 완전한 전투태세에 임하게 되고, 그는 총지휘관으로 5월 2일 기함에 승선하였다.
4일 새벽 출진을 명하니, 이때의 규모는 전선 24척, 협선(狹船) 15척, 포작선(鮑作船) 46척, 도합 85척의 대선단이었다. 이틀 뒤 한산도(閑山島)에 이르러 경상우수사 원균의 선단을 만났는데, 그 규모는 전선 3척과 협선 2척에 불과하였으나 연합함대를 조직하지 않을 수 없었다.
7일 옥포(玉浦) 앞바다를 지날 무렵 척후선(斥候船)으로부터 적선이 있음을 알리는 연락이 왔다. 이 때 옥포에 정박중인 적선은 30여 척이었다.
왜군은 조선수군이 해상으로부터 공격해 오리라고는 생각도 못하고 육지에 올라가서 불을 지르고 약탈을 자행하다가 아군의 공격 소식을 듣고 급히 배에 올라 도망하려 하였으나 그럴 기회를 주지 않았다.
순식간에 왜선 26척이 조선수군의 포화와 불화살[火矢]에 격파되고 많은 왜병이 궤멸되었다. 이 싸움이 옥포대첩으로 그의 최초의 해전으로 기록된다.
옥포해전이 있던 다음날에는 고성의 적진포(赤珍浦)에 정박중인 왜선 13척을 쳐서 불태웠다. 제1차 출동 후 전력을 보강하고 전선을 정비한 뒤 다음 출동에 대비하고 있던 그는 일본수군의 주력함대가 서쪽으로 나아간다는 정보가 계속 들어오자,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에게 합동으로 출동하여 왜선을 격파할 것을 제의하였다.
그러나 경상우수사 원균으로부터 왜선 10여 척이 사천·곤양 등지로 진출하였다는 보고를 받고 예정출동일을 변경하여 적에게 선제공격을 가하기로 하였다.
5월 29일 그는 거북선을 앞세우고 23척의 전선으로 여수항을 출항하였다. 노량(露梁) 앞바다에 이르러 전선 3척을 인솔하고 있던 원균이 그의 전함에 올라와 적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조선수군은 곧 일본수군이 정박중인 사천으로 달려갔다. 이 때 왜군은 대부분 상륙하여 있었고 해변에는 왜선 12척이 줄지어 정박하고 있었다.
그는 공격이 용이하지 않자 그들을 바다로 유인하여 섬멸할 계획을 세웠으며, 그 작전계획은 적중하여 왜선 12척을 파괴하고 많은 왜군을 섬멸하였다.
이 싸움에서 군관(軍官) 나대용(羅大用) 등이 부상하였고, 그도 적의 조총탄에 맞아 왼쪽어깨가 뚫리는 부상을 입었다. 이 싸움에서 최초로 출동한 거북선의 위력은 확고한 인정을 받았다. 6월 2일 왜선이 당포(唐浦)에 정박중이라는 보고를 받은 그는 곧 그곳으로 달려갔다.
당포 선창에는 일본수군장 가메이(龜井玆矩)와 구루시마(來島通元)가 인솔하는 대선 9척, 중·소선 12척이 정박하고 있었으며, 일본수군들은 성 안팎에서 방화와 약탈을 자행하다 조선수군을 보고 발포하였으나 거북선을 앞세운 조선수군의 맹렬한 공격으로 대패하고 왜장 구루시마가 전사하였다.
당포해전 다음날 그의 함대는 가박지(假泊地)인 창신도(昌信島)를 떠났다. 다음날 당포 앞바다에서 왜선이 거제로 향하였다는 정보를 받고 즉시 전함대에 거제출격을 명하고 발선(發船)하려는 때에 전라우수사 이억기가 전선 25척을 이끌고 이곳에 오자 그는 매우 반갑게 맞았다.
5일 아침 전선 51척과 중·소선 수십척의 연합함대는 일제히 거제로 향하였다. 이 때 피난민으로부터 거제로 도피하였던 왜선단이 다시 당항포로 도주하였다는 정보가 들어왔다. 그와 이억기와의 연합함대는 바로 길을 바꾸어 당항포로 향하였다. 당항포 내만(內灣)에는 왜의 대선 9척, 중선 4척, 소선 13척이 정박 중이었다.
조선수군의 내습을 발견한 일본수군은 먼저 공격을 가해 왔다. 아군의 전선들은 적선을 포위하고 먼저 거북선을 돌입시켜 맹공을 가하였다. 이 싸움에서 왜군은 대패하였고 왜선은 모두 소실되었다.
이와 같이 이순신은 해전에서의 연전연승으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승계(陞階)되었다. 그 뒤 그는 다시 선제공격으로 거제·가덕에 출몰하는 일본수군을 격멸하기 위하여 우수사 이억기에게 작전을 전달하고 연합함대의 조직을 통첩하고, 7월 6일 전라좌·우수군이 일제히 출동한 뒤 노량해상에서 경상우수사 원균의 전선 7척과도 합세하였다.
이 때 일본군은 해전에서의 패배를 만회하기 위하여 병력을 증강하여 견내량(見乃梁)에는 적장 와키사카(脇坂安治) 등이 인솔한 대선 36척, 중선 24척, 소선 13척이 정박하고 있었다. 그는 견내량이 지형이 좁고 활동이 불편하다는 판단 아래 장소를 한산도로 물색하였다.
그는 약간의 판옥선(板屋船)으로 일본의 수군을 공격하면서 한산도 앞바다로 유인한 뒤 학익진(鶴翼陣)을 쳐 일제히 총통(銃筒)을 발사하는 등 맹렬한 공격을 가하여 층각선(層閣船) 7척, 대선 28척, 중선 17척, 소선 7척을 격파하였다.
이 싸움에서 와키사카의 가신(家臣) 와키사카사베에(脇坂左兵衛)·와타나베(渡邊七右衛門)를 위시하여 이름 있는 자들이 전사하였다. 그는 이 한산대첩의 공으로 정헌대부(正憲大夫)에 승계되었다.
한산대첩 후 그는 다시 전진하여 안골포(安骨浦: 창원군 웅천면)의 적선을 격파하였다. 와키사카와 합동작전을 하려던 구키(九鬼嘉隆)·가토(加藤嘉明) 등의 일본수군장은 와키사카의 수군이 전멸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안골포에 정박 중이었다.
그는 수심이 얕아서 적선을 유인하여 공격하려 하였으나 적선이 포구 밖으로 나오지 않자, 여러 장수에게 명하여 교대로 종일토록 적선을 공격하여 대선을 거의 분멸(焚滅)하였다.
제3차 출동의 결과로 가덕도 서쪽의 제해권을 완전히 장악한 그는 왜침의 교두보인 부산포공격의 결단을 내렸다. 전라좌·우도의 전선 74척, 협선 92척은 8월 24일 좌수영을 떠나 가덕도 근해에서 밤을 지냈다. 공격 전날은 밤을 새우며 원균·이억기와 작전회의를 하여 부산포공격에 따른 작전을 구상하였다.
9월 1일 오전 몰운대(沒雲臺)를 지나 파도를 헤치고 다대포를 바라보며 절영도(絶影島: 지금 影島)에 이르렀을 때, 왜의 대선 수 척이 아군함대를 보고 도주하였다.
절영도에서는 수 척의 적선을 쳐부수고 척후선을 부산포에 보내어 적정을 탐지하게 한 결과, 왜선 약 500척이 선창 동쪽 산기슭 해안에 줄지어 정박해 있고 대선 4척이 초량(草梁) 쪽으로 나오고 있다는 보고였다.
적이 부산포를 요새화한 것을 알게 된 여러 장수들은 부산포로 깊이 들어가기를 꺼렸으나, 그는 이를 거부하고 독전기(督戰旗)를 높이 들고 진격을 재촉하였다. 우부장(右部將) 정운(鄭運) 등이 선두에 서서 먼저 바다로 나오는 왜군의 대선 4척을 공격하여 불사르니, 뒤에 있던 여러 전선들도 함께 돌진하였다.
그러나 3진으로 나누어져 정박 중인 일본수군의 대·중·소선 470여 척은 아군의 위용에 눌려 나오지 못하고 있다가 아군이 돌진하며 맹공을 가하자, 배의 안과 성 안, 굴 속에 있던 왜군은 모두 산으로 올라가 아군에게 총통과 화전을 쏘았다. 아군은 이에 맞서 더욱 맹공을 가하며 종일토록 교전하여 적선 100여 척을 격파하였다.
날이 어둡자 그는 육지로 올라가는 것을 포기하고 전함을 돌리게 하였다. 이 싸움에서 적의 피해는 말할 수 없이 컸으며, 아군도 이 해전에서 30여 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특히 녹도만호(鹿島萬戶) 정운이 전사하였다. 1593년 다시 부산과 웅천의 적 수군을 궤멸, 남해안 일대의 적군을 완전히 소탕하고 한산도로 진을 옮겨 본영으로 삼고, 그 뒤 최초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되었다.
이듬해 명나라 수군이 내원(來援)하자, 죽도(竹島)로 진을 옮기고, 이어 장문포(長門浦)에서 왜군을 격파, 적군의 후방을 교란하여 서해안으로 진출하려는 왜군의 전진을 막아 이들의 작전에 큰 차질을 가져오게 하였다.
그 뒤 명나라와 일본 간의 강화회담이 진행되면서 전쟁이 소강상태에 들어가자, 그는 후일에 대비하여 군사훈련, 군비확충, 피난민 생업의 보장, 산업장려 등에 힘썼다.
1597년 명·일 사이의 강화회담이 결렬되자, 본국으로 건너갔던 왜군이 다시 침입하여 정유재란이 일어났다. 그러자 그는 적을 격멸할 기회가 다시 왔음을 기뻐하고 싸움에 만전을 기하였다. 그러나 그는 원균의 모함과 왜군의 모략으로 옥에 갇히는 몸이 되었다.
고니시(小西行長)의 부하이며 이중간첩인 요시라(要時羅)라는 자가 경상우병사 김응서(金應瑞)에게 가토(加藤淸正)가 어느날 바다를 건너올 것이니 수군을 시켜 이를 사로잡을 것을 은밀히 알려오자, 조정에서는 통제사 이순신에게 이를 실행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는 이것이 적의 흉계인 줄 알면서도 부득이 출동하였으나, 가토는 이미 수일 전에 서생포(西生浦)에 들어온 뒤였다. 이 때 마침 조정에서도 영의정 유성룡을 몰아내려는 자들이 있었다. 그는 유성룡이 전라좌수사로 추천한 사람이라 이를 구실로 먼저 그가 모함당하게 되었다.
또, 그 중에서도 경상우수사 원균 같은 이는 한층 더 노골적인 불만을 가졌던 터라 이순신을 모함하는 소를 올리게 되었다. 상소를 받은 선조는 돌아가는 실정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원균의 상소만을 믿고 크게 노하여 이순신이 명령을 어기고 출전을 지연하였다는 죄를 들어 그에게 벌을 주고 원균으로 하여금 그 직을 대신하게 하였다.
그러나 유성룡은 끝까지 “통제사의 적임자는 이순신밖에 없으며, 만일 한산도를 잃는 날이면 호남지방 또한 지킬 수 없습니다” 하고 간청하였지만 정세판단에 어두운 선조가 그것을 받아들일 리 없었기에, 이순신을 잡아들이라는 명령만을 내렸다.
이 때 그는 전선을 거느리고 가덕도 앞바다에 있었는데, 이러한 소식을 듣고 바로 본영인 한산도로 돌아와 진중을 정리하고 원균에게 직위를 인계하였다. 당시 한산도에는 밖에 있는 군량미를 제외하고도 9,914석의 군량이 있었으며, 화약은 4,000근, 총통은 각 선척에 적재한 것을 제외하고도 300자루나 되었다.
이 때, 영남지방을 순시하던 도체찰사 이원익(李元翼)은 그가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왜군이 두려워하는 것은 우리의 수군인데, 이순신을 바꾸고 원균을 보내서는 안 된다”고 반대하는 치계(馳啓)를 올렸지만 허사였다.
그가 서울로 압송되자, 지나는 곳곳마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백성들이 모여들어 통곡을 하며 “사또는 우리를 두고 어디로 가십니까. 이제 우리는 모두 죽었습니다” 하였다.
서울로 압송된 그는 이미 해전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나라를 위기에서 구하였지만, 그러한 공로도 아랑곳없이 1차 신문(訊問) 때 한 달여 동안 혹독한 조사를 받았다.
그러나 그는 남을 끌어들이거나 헐뜯는 말은 한마디도 없이 자초지종을 낱낱이 고하였다. 1차 신문으로 몸이 쇠약해지자 이순신은 우의정 정탁(鄭琢)의 적극적인 변호로 인해 추가적인 신문을 받지 않게 되었으며, 도원수 권율(權慄)의 막하(幕下)로 들어가 두번째 백의종군을 하게 되었다.
남해안으로 향하던 그는 중도에서 어머니의 부고를 받고 “세상천지에서 나 같은 일을 겪는 수도 있을까. 일찍이 죽는 것만 같지 못하다”라고 한탄하면서 잠시 들러 성복(成服)을 마친 다음 슬픔을 이기고 다시 남쪽으로 향하였다.
그 해 7월 삼도수군통제사 원균이 적의 유인전술에 빠져 거제칠천량(漆川梁)에서 전멸에 가까운 패배를 당함으로써 그가 힘써 길러온 무적함대는 그 형적조차 찾아볼 수 없게 되었고, 한산도의 군비는 그 형체를 알아볼 수 없었다.
초계(草溪)에서 이 소식을 들은 그는 “우리가 믿은 것은 오직 수군인데 그같이 되었으니 다시 희망을 걸 수 없게 되었구나” 하며 통곡하였다.
원균의 패보가 조정에 이르자 조야(朝野)가 놀라서 어찌할 바를 몰랐고, 왕은 비국대신(備局大臣)들을 불러 의논하였으나 당황하여 바로 대답도 못하였다. 오직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만이 그를 다시 통제사로 기용할 것을 주장하였을 뿐이었다.
이리하여 조정을 기만하고 임금을 무시한 죄, 적을 토벌하지 않고 나라를 저버린 죄, 다른 사람의 공을 빼앗고 모함한 죄, 방자하여 꺼려함이 없는 죄 등의 많은 죄명을 뒤집어씌워 죽이려고까지 하였던 그를 다시 통제사로 기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선조도 변명할 말이 궁하였던지 교서(敎書)에서 “지난번에 경의 관직을 빼앗고 죄를 주게 한 것은 또한 사람이 하는 일이라 잘 모르는 데서 나온 것이오, 그래서 오늘날 패전의 욕을 보게 된 것이니 그 무엇을 말할 수 있겠소” 하며 얼버무렸다.
통제사에 재임용된 그는 남해 등지를 두루 살폈으나 남은 군사 120인에 병선 12척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실망하지 않고 조정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수전에서 적을 맞아 싸울 것을 결심하였다.
명량해전(鳴梁海戰)에 앞서 장병에게 필승의 신념을 일깨운 다음 8월 15일 13척(일설에 12척)의 전선과 빈약한 병력을 거느리고 명량에서 133척의 적군과 대결하여 31척을 부수는 큰 전과를 올렸다. 이 싸움은 재차 통제사로 부임한 뒤의 최초의 대첩이며 수군을 재기시키는 데 결정적인 구실을 한 싸움이었다.
명량대첩으로 제해권을 다시 찾은 그는 보화도(寶花島: 목포의 高下島)를 본거로 삼았다가, 다음해 2월에 고금도(古今島)로 영(營)을 옮긴 다음, 군사를 옮겨 진(鎭)을 설치하고 백성들을 모집하여 널리 둔전을 경작시키고 어염(魚鹽)도 판매하였다.
이로 인하여 장병들이 다시 모여들고 난민(難民)들도 줄을 이어 돌아와서 수만 가를 이루게 되었으며, 군진(軍鎭)의 위용도 예전 한산도시절에 비하여 10배를 능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단시일에 제해권을 회복하고 수군을 재기시킬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그의 개인적 능력에 의한 것이었다.
1598년 11월 19일 그는 노량에서 퇴각하기 위하여 집결한 500척의 적선을 발견하고 싸움을 기피하려는 명나라 수군제독 진린(陳璘)을 설득하여 공격에 나섰다. 그는 함대를 이끌고 물러가는 적선을 향하여 맹공을 가하였고, 이것을 감당할 수 없었던 일본군은 많은 사상자와 선척을 잃었다.
그러나 선두(船頭)에 나서서 적군을 지휘하던 그는 애통하게도 적의 유탄에 맞았다. 그는 죽는 순간까지 “싸움이 바야흐로 급하니 내가 죽었다는 말을 삼가라” 하고 조용히 눈을 감았다.
운명을 지켜보던 아들은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그대로 통곡하려 하였으나, 이문욱(李文彧)이 곁에서 곡을 그치게 하고 옷으로 시신을 가려 보이지 않게 한 다음, 북을 치며 앞으로 나아가 싸울 것을 재촉하였다.
군사들은 통제사가 죽은 사실을 미처 모른 채 기운을 내어 분전하여 물러나는 왜군을 대파하였으며, 모두들 “죽은 순신이 산 왜군을 물리쳤다”며 외쳤다. 부음(訃音)이 전파되자 모든 백성들이 애통해 하였다.
그는 지극한 충성심, 숭고한 인격, 위대한 통솔력으로 보아 임진왜란 중에 가장 뛰어난 무장으로 큰 공을 세워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였을 뿐만 아니라 민족사에 독보적으로 길이 남을 인물이다.
명나라 수군제독 진린도 그를 평하여 “유경천위지지재 보천욕일지공(有經天緯地之才 補天浴日之功)”이라 하여 높이 평가하였고, 그의 부음을 접하자 땅을 치며 통곡하였다.
『선조실록』에서 사관(史官)은 그의 죽음에 대하여 “그의 단충(丹忠)은 나라를 위하여 몸을 바쳤고, 의를 위하여 목숨을 끊었네. 비록 옛날의 양장(良將)이라 한들 이에서 더할 수가 있겠는가. 애석하도다! 조정에서 사람을 쓰는 것이 그 마땅함을 모르고, 순신으로 하여금 그 재주를 다 펼치지 못하게 하였구나. 병신년·정유년 사이 통제사를 갈지 않았던들 어찌 한산도의 패몰(敗沒)을 초래하여 양호지방(兩湖地方: 忠淸道·全羅道)이 적의 소굴이 되었겠는가. 그 애석함을 한탄할 뿐이로다”라고 평하였다.
정인보(鄭寅普)는 「이충무공순신기념비(李忠武公舜臣紀念碑)」에서 “공(公)은 명장보다도 성자(聖者)이다. 신묘불측(神妙不測)이 오직 지성측달(至誠惻怛)에서 나온 것이다. 다시 말하면 공은 성자이므로 명장이다”라고 하였고, 천관우(千寬宇)는 『한국사의 재발견』에서 “충무공은 거의 완전무결한 인물이었다. 그러기에 성자라 하고 영웅이라 일컫는 것이다”라 하였다.
그는 당대에는 죽음으로써 나라를 구하였고, 사후(死後)에는 그 정신으로써 민족의 나아갈 길을 일깨워 주었다. 해전사연구가(海戰史硏究家)이며 이순신을 연구한 발라드(G. A. Ballard) 제독은 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평하였다.
“이순신 제독은 서양 사학자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그의 업적은 그로 하여금 넉넉히 위대한 해군사령관 가운데서도 뛰어난 위치를 차지하게 하였다. 이순신은 전략적 상황을 널리 파악하고 해군전술의 비상한 기술을 가지고 전쟁의 유일한 참정신인 불굴의 공격원칙에 의하여 항상 고무된 통솔정신을 겸비하고 있었다. 어떠한 전투에서도 그가 참가하기만 하면 승리는 항상 결정된 것과 같았다. 그의 물불을 가리지 않는 맹렬한 공격은 절대로 맹목적인 모험이 아니었다. 그는 싸움이 벌어지면 강타하기를 주저하지 않았으나, 승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신중을 기하는 점에 있어서는 넬슨(Nelson)과 공통된 점이 있었다.……중략……영국사람으로서는 넬슨과 어깨를 견줄 사람이 있다는 것을 시인하기란 항상 어렵다. 그러나 만일 그렇게 인정할 만한 인물이 있다면 그는 한번도 패배한 일이 없고 전투중에 전사한 이 위대한 동양의 해군사령관이라는 것은 틀림없는 것이다”라고 평하였다.
그가 전사한 데 대하여는 후대인들의 많은 의문을 자아내고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추리에 불과한 것이며 확실한 근거는 없다. 그는 글에도 능하여 『난중일기(亂中日記)』·시조(時調) 등의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진중(陣中)에서 읊은 시조들은 우국충정이 담긴 걸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그가 전사했다는 소식이 조정에 전해지자 선조는 관원을 보내 조상하고 우의정에 추증하였다. 1604년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에 녹훈되고 덕풍부원군(德豊府院君)에 추봉되었으며, 좌의정에 추증, 1793년(정조 17) 다시 영의정이 더해졌다.
묘는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어라산(於羅山)에 있으며, 왕이 친히 지은 비문과 충신문(忠臣門)이 건립되었다. 충무의 충렬사(忠烈祠), 여수의 충민사(忠愍祠), 아산의 현충사(顯忠祠) 등에 제향하였는데, 이 중에 현충사의 규모가 가장 크다.
현충사는 조선 숙종연간에 이 고장의 유생들이 그의 사당을 세울 것을 상소하여 1707년(숙종 33)에 사액(賜額), 현충사가 입사(立祠)되었다.
그 뒤 일제강점기 때에 동아일보사가 주관하여 전국민의 성금을 모아 현충사를 보수하였고, 제3공화국 때 대통령 박정희(朴正熙)의 특별지시에 의하여 현충사의 경역을 확대, 성역화하고, 새로이 전시관을 설치하여 종가에 보존되어 오던 『난중일기』와 그의 유품 등을 전시하였다.
그리고 그의 일생과 중요 해전을 그린 십경도(十景圖)가 전시되어 있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저서로는 『이충무공전서』가 전한다. 또, 그를 대상으로 삼은 작품으로는 신채호(申采浩)의 「이순신전(李舜臣傳)」 등이 있으며, 「성웅 이순신」이라는 제목으로 영화가 제작되어 그의 행적과 공로를 일반에 널리 알리기도 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