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마산보루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기여)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15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
− | | | + | [[분류:광진구]] |
− | |사진 = | + | {{객체간단정보 |
− | | | + | |객체명 = 용마산 보루 |
− | + | |사진 = Bru.jpg|400px | |
− | | | + | |특징 = 기본 정보 |
− | + | *사적 제455호(2004년 10월 27일 지정) | |
− | | | + | *제작시기 : 삼국시대 |
+ |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산16-46 | ||
+ | |||
+ | |편찬자 = 정유정 | ||
}} | }} | ||
− | |||
− | + | ==보루 소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용마산보루군은 서울시 동쪽과 구리시 서쪽 경계를 이루는 [[아차산]]의 주 능선에서 남서쪽으로 뻗은 지맥 즉, 용마산의 능선을 따라 돌출된 봉우리에 모두 7개소가 배치된 고구려 보루군이다. 이곳은 고대의 주요 교통로 중 하나인 서쪽의 [[중랑천]](中浪川)일대와 잠실 주변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에 해당한다. 용마산보루군은 [[아차산]]·[[용마산]] 일대의 고구려 보루들과 함께 사적 제 455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행정구역상 서울시 광진구 중곡동, 중랑구 면목동, 구리시 아천동일대에 해당한다. |
− | {|class="wikitable" | + | |
− | !S(객체1) | + | ===1.용마산 1보루=== |
+ | |||
+ | 용마산1보루는 용마산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의 끝 봉우리 해발 175m에 위치한다. 평면 형태는 남북으로 긴 장타원형이며, 전체 둘레는 96m, 내부면적은 627㎡ 규모로 아차산 일대의 보루 중 작은 편에 속한다. 이 유적은 1942년 『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를 통해 처음 알려졌고, 1994년 구리문화원에 의한 아차산 지표조사와 2003년 서울시의 서울소재 성곽조사를 통해 자세한 내용이 소개되었다. 유적이 위치한 봉우리는 주 능선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삼면이 급경사를 이루며, 정상부의 좁고 긴 평탄면에 석축열을 비롯한 약간의 유구와 정상부 아래쪽에서 성벽으로 추정되는 석축 일부가 남아있다. 석축은 화강암을 30~40cm크기로 거칠게 다듬어 사용했으며, 원래 높이는 대략 4~5m 정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정상부 주변에서 주로 니질태토의 황갈색이나 회흑색을 띠는 호형토기 등 고구려 토기편이 수습되었다. | ||
+ | |||
+ | ===2.용마산 2보루=== | ||
+ | |||
+ | 용마산2보루는 용마산 정상에서 남쪽으로 약 630m 가량 떨어진 해발230m 봉우리에 위치한다. 보루의 평면형태는 북동남서방향에 장축을 둔 타원형이다. 전체둘레는 663㎡로 아차산 일대의 보루 중 규모가 작은 편에 속한다. 2005~06년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어, 외곽에 석축을 쌓고 내부에는 온돌과 배수로를 갖춘 건물과 저수시설, 간이 대장간 등을 설치했음이 확인되었다. 성벽은 자연지형을 최대한 활용하여 축조하였으며, 용마산 정상부로 향하는 길목인 보루의 북동쪽에 치우쳐 치성 또는 출입시설로 추정되는 석축시설이 노출되었다. 이 시설물과 성벽이 접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일부 구간에 걸쳐 보축된 성벽이 1~2.5m 높이로 남아 있다. 출토유물은 호와 옹, 장동호, 동이, 시루, 완, 접시, 뚜껑 등이 주종을 이루며 그 밖에 연통류, 이배류 등 거의 모든 고구려 토기 기종이 출토되었다. 그중에서 개인의 식기류인 완, 접시, 반 등이 상대적으로 많은데 이것들의 바닥에는 개인 식별을 위한 여러 가지 부호가 새겨진 것도 있다. 철기는 철모, 철부, 철촉, 철준, 찰갑 등의 무기류가 가장 많으며, 철겸과 같은 농공구류와 접시 형태의 용기류도 출토되었다. | ||
+ | |||
+ | ===3.용마산 3보루=== | ||
+ | |||
+ | 용마산3보루는 용마산의 최고봉인 해발348.6m에 위치하며, 용마산보루군의 중심에 해당한다. 평면 형태는 남북으로 긴 장타원형이며, 전체 둘레 235m, 내부 면적 2,289㎡ 규모로 추정됨에 따라 아차산 일대의 보루 중에서 비교적 큰 편에 속한다. 보루의 외곽 성벽은 봉우리 정상부에서 3~4m 아래쪽을 돌아가며 축조했으며, 잘 치석된 30~40cm크기의 화강암 석재를 사용하여 정연하게 바른층 쌓기를 하였다. 정상부와 사면에서 주로 회청색 경질토기편이 수습되었다. | ||
+ | |||
+ | ===4.용마산 4보루=== | ||
+ | |||
+ | 용마산4보루는 3보루가 있는 용마산 정상에서 북동쪽으로 약 260m 떨어진 주 능선 상의 돌출된 봉우리 해발 327.3m에 위치한다. 전체 둘레는 약 263m, 내부면적은 3,075㎡정도로 아차산 일대의 보루 중 큰 규모에 속한다. 성벽은 정상부의 평탄지 외곽을 따라 돌아가며 구축된 것으로 보이며, 유적의 중앙부에는 집수시설로 추정되는 저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평탄지 주변에서 다량의 고구려 토기편이 수습되었다. 주로 회흑색 연질토기로 대형 항아리와 대상파수의 파편 등이 확인되었다. | ||
+ | |||
+ | ===5.용마산 5보루=== | ||
+ | |||
+ | 용마산5보루는 용마산과 아차산의 두 능선이 합쳐진 곳에서 북쪽으로 약 240m 떨어진 능선의 첫 번째 봉우리(해발 316.3m)에 위치한다. 정상부의 외곽을 따라 석축 성벽을 쌓았던 것으로 보이며, 평면 형태는 북동-남서방향에 장축을 둔 장타원형에 가깝고, 전체 둘레는 약 132m, 내부 면적은 936㎡ 정도이다. 파손된 채 지표에 노출된 고구려 토기 1점과 물미로 추정되는 철제품 1점이 수습되었다. 토기는 바닥이 편평하고 몸통이 길쭉한 장동호로, 표면은 전체적으로 회흑색을 띠며 마연되어 광택이 난다. | ||
+ | |||
+ | ===6.용마산 6보루=== | ||
+ | |||
+ | 용마산6보루는 용마산 주봉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가지능선의 돌출된 봉우리 해발 234.1m에 위치한다. 평면 형태는 북서-남동방향에 장축을 둔 긴 오각형에 가깝다. 유적의 전체 둘레는 195m 정도이고, 내부 면적은 2,420㎡로 추정된다. 성벽은 자연 암벽을 활용하여 유적 외곽을 따라 쌓았던 것으로 보이며, 성 돌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화강암을 30~40cm 크기로 다듬은 방형 석재가 사용되었다. | ||
+ | |||
+ | ===7.용마산 7보루=== | ||
+ | |||
+ | 용마산7보루는 용마산 주봉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내린 가지능선의 돌출된 봉우리 해발 252.8m 정상부에 위치한다. 이곳은 용마산6보루와 더불어 한강 유역에서 북쪽의 양주분지로 통하는 고대 교통로에 해당하는 중랑천 일대를 통제하기에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평면 형태는 북서- 남동방향에 장축을 둔 타원형이며, 전체 둘레는 74m, 내부 면적은 400㎡ 정도로 아차산 일대 보루들 중 규모가 작은 편에 속한다. 성벽은 협소한 소봉의 정상부를 돌아가며 축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남쪽외곽에 치우쳐 일부 석축 성벽이 남아있으며, 성 돌은 주로 30cm 크기의 가공된 화강암 석재를 사용하였다. | ||
+ | |||
+ | |||
+ | ==참고 정보== | ||
+ | |||
+ | 서울 중랑구 - http://m.jungnang.seoul.kr/mobile/main/contents.do?menuNo=150054 | ||
+ | |||
+ | ==관련 항목==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S (객체1) | ||
+ | ! V (관계) | ||
+ | ! O (객체2) | ||
|- | |- | ||
− | |용마산보루군 | + | |용마산보루군 |
+ | |isLocatedIn | ||
+ | |[[용마산]],[[서울]] | ||
|- | |- | ||
− | |용마산보루군 | | + | |용마산보루군 |
+ | |isNear | ||
+ | |[[아차산]] | ||
|- | |- | ||
− | |용마산보루군 | | + | |용마산보루군 |
+ | |isPartOf | ||
+ | |[[아차산보루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igerati Wiki]] | |
− | + | ||
− | + |
2015년 6월 18일 (목) 13:05 판
용마산 보루 | |
---|---|
테마 | |
범주 | |
정의 | |
특징 | 기본 정보
|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산16-46 |
URL | |
편찬자 | 정유정 |
편집-1 | |
편집-2 | |
편집-3 | |
편집-4 | |
편집-5 |
목차
보루 소개
용마산보루군은 서울시 동쪽과 구리시 서쪽 경계를 이루는 아차산의 주 능선에서 남서쪽으로 뻗은 지맥 즉, 용마산의 능선을 따라 돌출된 봉우리에 모두 7개소가 배치된 고구려 보루군이다. 이곳은 고대의 주요 교통로 중 하나인 서쪽의 중랑천(中浪川)일대와 잠실 주변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에 해당한다. 용마산보루군은 아차산·용마산 일대의 고구려 보루들과 함께 사적 제 455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행정구역상 서울시 광진구 중곡동, 중랑구 면목동, 구리시 아천동일대에 해당한다.
1.용마산 1보루
용마산1보루는 용마산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의 끝 봉우리 해발 175m에 위치한다. 평면 형태는 남북으로 긴 장타원형이며, 전체 둘레는 96m, 내부면적은 627㎡ 규모로 아차산 일대의 보루 중 작은 편에 속한다. 이 유적은 1942년 『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를 통해 처음 알려졌고, 1994년 구리문화원에 의한 아차산 지표조사와 2003년 서울시의 서울소재 성곽조사를 통해 자세한 내용이 소개되었다. 유적이 위치한 봉우리는 주 능선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삼면이 급경사를 이루며, 정상부의 좁고 긴 평탄면에 석축열을 비롯한 약간의 유구와 정상부 아래쪽에서 성벽으로 추정되는 석축 일부가 남아있다. 석축은 화강암을 30~40cm크기로 거칠게 다듬어 사용했으며, 원래 높이는 대략 4~5m 정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정상부 주변에서 주로 니질태토의 황갈색이나 회흑색을 띠는 호형토기 등 고구려 토기편이 수습되었다.
2.용마산 2보루
용마산2보루는 용마산 정상에서 남쪽으로 약 630m 가량 떨어진 해발230m 봉우리에 위치한다. 보루의 평면형태는 북동남서방향에 장축을 둔 타원형이다. 전체둘레는 663㎡로 아차산 일대의 보루 중 규모가 작은 편에 속한다. 2005~06년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어, 외곽에 석축을 쌓고 내부에는 온돌과 배수로를 갖춘 건물과 저수시설, 간이 대장간 등을 설치했음이 확인되었다. 성벽은 자연지형을 최대한 활용하여 축조하였으며, 용마산 정상부로 향하는 길목인 보루의 북동쪽에 치우쳐 치성 또는 출입시설로 추정되는 석축시설이 노출되었다. 이 시설물과 성벽이 접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일부 구간에 걸쳐 보축된 성벽이 1~2.5m 높이로 남아 있다. 출토유물은 호와 옹, 장동호, 동이, 시루, 완, 접시, 뚜껑 등이 주종을 이루며 그 밖에 연통류, 이배류 등 거의 모든 고구려 토기 기종이 출토되었다. 그중에서 개인의 식기류인 완, 접시, 반 등이 상대적으로 많은데 이것들의 바닥에는 개인 식별을 위한 여러 가지 부호가 새겨진 것도 있다. 철기는 철모, 철부, 철촉, 철준, 찰갑 등의 무기류가 가장 많으며, 철겸과 같은 농공구류와 접시 형태의 용기류도 출토되었다.
3.용마산 3보루
용마산3보루는 용마산의 최고봉인 해발348.6m에 위치하며, 용마산보루군의 중심에 해당한다. 평면 형태는 남북으로 긴 장타원형이며, 전체 둘레 235m, 내부 면적 2,289㎡ 규모로 추정됨에 따라 아차산 일대의 보루 중에서 비교적 큰 편에 속한다. 보루의 외곽 성벽은 봉우리 정상부에서 3~4m 아래쪽을 돌아가며 축조했으며, 잘 치석된 30~40cm크기의 화강암 석재를 사용하여 정연하게 바른층 쌓기를 하였다. 정상부와 사면에서 주로 회청색 경질토기편이 수습되었다.
4.용마산 4보루
용마산4보루는 3보루가 있는 용마산 정상에서 북동쪽으로 약 260m 떨어진 주 능선 상의 돌출된 봉우리 해발 327.3m에 위치한다. 전체 둘레는 약 263m, 내부면적은 3,075㎡정도로 아차산 일대의 보루 중 큰 규모에 속한다. 성벽은 정상부의 평탄지 외곽을 따라 돌아가며 구축된 것으로 보이며, 유적의 중앙부에는 집수시설로 추정되는 저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평탄지 주변에서 다량의 고구려 토기편이 수습되었다. 주로 회흑색 연질토기로 대형 항아리와 대상파수의 파편 등이 확인되었다.
5.용마산 5보루
용마산5보루는 용마산과 아차산의 두 능선이 합쳐진 곳에서 북쪽으로 약 240m 떨어진 능선의 첫 번째 봉우리(해발 316.3m)에 위치한다. 정상부의 외곽을 따라 석축 성벽을 쌓았던 것으로 보이며, 평면 형태는 북동-남서방향에 장축을 둔 장타원형에 가깝고, 전체 둘레는 약 132m, 내부 면적은 936㎡ 정도이다. 파손된 채 지표에 노출된 고구려 토기 1점과 물미로 추정되는 철제품 1점이 수습되었다. 토기는 바닥이 편평하고 몸통이 길쭉한 장동호로, 표면은 전체적으로 회흑색을 띠며 마연되어 광택이 난다.
6.용마산 6보루
용마산6보루는 용마산 주봉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가지능선의 돌출된 봉우리 해발 234.1m에 위치한다. 평면 형태는 북서-남동방향에 장축을 둔 긴 오각형에 가깝다. 유적의 전체 둘레는 195m 정도이고, 내부 면적은 2,420㎡로 추정된다. 성벽은 자연 암벽을 활용하여 유적 외곽을 따라 쌓았던 것으로 보이며, 성 돌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화강암을 30~40cm 크기로 다듬은 방형 석재가 사용되었다.
7.용마산 7보루
용마산7보루는 용마산 주봉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내린 가지능선의 돌출된 봉우리 해발 252.8m 정상부에 위치한다. 이곳은 용마산6보루와 더불어 한강 유역에서 북쪽의 양주분지로 통하는 고대 교통로에 해당하는 중랑천 일대를 통제하기에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평면 형태는 북서- 남동방향에 장축을 둔 타원형이며, 전체 둘레는 74m, 내부 면적은 400㎡ 정도로 아차산 일대 보루들 중 규모가 작은 편에 속한다. 성벽은 협소한 소봉의 정상부를 돌아가며 축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남쪽외곽에 치우쳐 일부 석축 성벽이 남아있으며, 성 돌은 주로 30cm 크기의 가공된 화강암 석재를 사용하였다.
참고 정보
서울 중랑구 - http://m.jungnang.seoul.kr/mobile/main/contents.do?menuNo=150054
관련 항목
S (객체1) | V (관계) | O (객체2) |
---|---|---|
용마산보루군 | isLocatedIn | 용마산,서울 |
용마산보루군 | isNear | 아차산 |
용마산보루군 | isPartOf | 아차산보루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