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환국 KU"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
(Meta Data)
1번째 줄: 1번째 줄:
==Meta Data==
 
*타입 : 사건
 
*명칭 : 기사환국(己巳換局)
 
*시대 : 조선 숙종
 
*시기 : 1689년
 
*편자 : [[필암서원 KU|필암서원]] [[201313086 김원주]]
 
  
==내용==
+
== Meta Data ==
1680년(숙종 6)의 경신출척(庚申黜陟)으로 실세하였던 [[남인 KU|남인(南人)]]이 1689년 희빈장씨의 소생인 원자(元子) 정호(定號) 세자 책봉 문제로, [[서인 KU|서인(西人)]]을 몰아내고 재집권한 일.
+
타입 : 사건
 +
한글항목명 : 기사환국
 +
한자항목명 : 己巳換局
 +
편자 : [[자운서원팀 KU|자운서원팀]] [[201410297김소희|김소희]]
 +
 
 +
----
 +
 
 +
== 내용 ==
 +
*요약 : 1680년([[숙종KU|숙종]] 6)의 경신출척(庚申黜陟)으로 실세하였던 [[남인KU|남인]](南人)이 1689년 [[희빈 장씨KU|희빈장씨]]의 소생인 원자(元子) 정호(定號) 세자 책봉 문제로, [[서인KU|서인]](西人)을 몰아내고 재집권한 일.
 +
 
 +
[[숙종KU|숙종]]의 계비(繼妃) [[인현왕후KU|인현왕후]] 민씨(閔氏)가 왕비로 책립된 지 여러 해가 되도록 후사를 낳지 못하자, 숙종은 민씨가 왕후로 간택되기 이전부터 마음에 두고 있었던 궁녀 장옥정을 마음에 두고 있었으며 [[명성왕후KU|명성왕후]]가 사망하자 [[희빈 장씨KU|장옥정]]을 다시 궁으로 불러들여 후궁으로 삼았으며 그러던 차에 장씨가 왕자 윤(昀)을 낳게 되자 일약 정치적 격변을 몰고오게 되었다. 왕자 윤의 출생으로 파급된 여파로 서인이 몰락하고 남인이 정치 실세로 등장하게 되는데 이를 두고 기사환국(己巳換局)이라고 불렀다.
 +
 
 +
[[숙종KU|숙종]]은 윤을 원자(元子)로 책봉하고 장씨를 [[희빈 장씨KU|희빈]](禧嬪)으로 삼으려 하였다. 이때 당시의 집권세력이던 서인은 정비(正妃) 민씨가 아직 나이 젊으므로 그의 몸에서 후사가 나기를 기다려 적자(嫡子)로써 왕위를 계승함이 옳다 하여 원자책봉을 반대하였다. 그러나 남인들은 숙종의 주장을 지지하였고, [[숙종KU|숙종]]은 그 권력이 왕권을 능가하는 세력으로 성장한 서인의 전횡을 누르기 위하여 남인을 등용하는 한편, 원자의 명호를 자신의 주장대로 정하고 숙원을 희빈으로 책봉하였다.
 +
 +
 
 +
이때 서인의 영수인 [[송시열KU|송시열]](宋時烈)은 상소를 올려 숙종의 처사를 잘못이라고 간하였다. 숙종은 원자정호와 희빈 책봉이 이미 끝났는데, 한 나라의 원로 정치인이 상소질을 하여 정국(政局)을 어지럽게 만든다고 분개하던 차에 남인 이현기(李玄紀) 등이 송시열의 주장을 반박하는 상소를 올렸으므로, 이를 기회로 송시열을 삭탈관직하고 제주로 귀양보냈다가 후에 사약(賜藥)을 내렸다. 송시열의 사사(賜死)로 된서리를 맞은 서인은 이어서 김수흥(金壽興) ·[[김수항KU|김수항]](金壽恒) 등의 거물 정치인을 비롯하여 많은 사람이 파직되고, 또는 유배되어 서인은 조정에서 물러나고, 그 대신 권대운(權大運) ·김덕원(金德遠) ·목래선(睦來善) 등의 남인이 정치적 실세로 등용되었다. 이 환국(換局)의 여파로 [[인현왕후KU|인현왕후]] 민씨는 폐출(廢黜)되고, 장희빈은 정비가 되었다.
 +
 
 +
----
 +
 
 +
== 웹 자원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1031&cid=40942&categoryId=31778 네이버 두산백과]
  
 
[[분류:서원 KU]]
 
[[분류:서원 KU]]

2014년 6월 15일 (일) 19:46 판

Meta Data

타입 : 사건
한글항목명 : 기사환국
한자항목명 : 己巳換局
편자 : 자운서원팀 김소희

내용

  • 요약 : 1680년(숙종 6)의 경신출척(庚申黜陟)으로 실세하였던 남인(南人)이 1689년 희빈장씨의 소생인 원자(元子) 정호(定號) 세자 책봉 문제로, 서인(西人)을 몰아내고 재집권한 일.

숙종의 계비(繼妃) 인현왕후 민씨(閔氏)가 왕비로 책립된 지 여러 해가 되도록 후사를 낳지 못하자, 숙종은 민씨가 왕후로 간택되기 이전부터 마음에 두고 있었던 궁녀 장옥정을 마음에 두고 있었으며 명성왕후가 사망하자 장옥정을 다시 궁으로 불러들여 후궁으로 삼았으며 그러던 차에 장씨가 왕자 윤(昀)을 낳게 되자 일약 정치적 격변을 몰고오게 되었다. 왕자 윤의 출생으로 파급된 여파로 서인이 몰락하고 남인이 정치 실세로 등장하게 되는데 이를 두고 기사환국(己巳換局)이라고 불렀다.

숙종은 윤을 원자(元子)로 책봉하고 장씨를 희빈(禧嬪)으로 삼으려 하였다. 이때 당시의 집권세력이던 서인은 정비(正妃) 민씨가 아직 나이 젊으므로 그의 몸에서 후사가 나기를 기다려 적자(嫡子)로써 왕위를 계승함이 옳다 하여 원자책봉을 반대하였다. 그러나 남인들은 숙종의 주장을 지지하였고, 숙종은 그 권력이 왕권을 능가하는 세력으로 성장한 서인의 전횡을 누르기 위하여 남인을 등용하는 한편, 원자의 명호를 자신의 주장대로 정하고 숙원을 희빈으로 책봉하였다.


이때 서인의 영수인 송시열(宋時烈)은 상소를 올려 숙종의 처사를 잘못이라고 간하였다. 숙종은 원자정호와 희빈 책봉이 이미 끝났는데, 한 나라의 원로 정치인이 상소질을 하여 정국(政局)을 어지럽게 만든다고 분개하던 차에 남인 이현기(李玄紀) 등이 송시열의 주장을 반박하는 상소를 올렸으므로, 이를 기회로 송시열을 삭탈관직하고 제주로 귀양보냈다가 후에 사약(賜藥)을 내렸다. 송시열의 사사(賜死)로 된서리를 맞은 서인은 이어서 김수흥(金壽興) ·김수항(金壽恒) 등의 거물 정치인을 비롯하여 많은 사람이 파직되고, 또는 유배되어 서인은 조정에서 물러나고, 그 대신 권대운(權大運) ·김덕원(金德遠) ·목래선(睦來善) 등의 남인이 정치적 실세로 등용되었다. 이 환국(換局)의 여파로 인현왕후 민씨는 폐출(廢黜)되고, 장희빈은 정비가 되었다.


웹 자원

네이버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