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요리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저자)
(문서를 비움)
 
1번째 줄: 1번째 줄:
{{서지사항
 
|이름 = 조선요리법
 
|사진 = 조선요리법.png
 
|명칭 = 조선요리법
 
|한문명칭 = 朝鮮料理法
 
|영문명칭 = Joseon yoribeop
 
|발행년도 = 1939
 
|저자 = 조자호
 
|분류 = 한글고조리서
 
}}
 
  
=='''정의'''==
 
*기본정의
 
『조선요리법』은 1939년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39314&cid=46672&categoryId=46672 조자호]에 의해 출간된 한식 요리책이다. 2014년에 동명의 책으로 복간되었다.
 
 
*서지사항
 
복간본은 2014년 12월 출간되었다.[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8551357] 복간본은 정양완 전 교수가 해제를 맡았으며 원래 책에서 조자호 선생의 자필원고 등을 포함한 부록이 추가되었다.
 
『조선요리법』의 원문을 확인할 수 있는 곳으로는 [http://www.nl.go.kr/nl/search/bookdetail/online.jsp?contents_id=CNTS-00047813432 국립중앙도서관]이 있다.
 
디지털 한글박물관에서도 원문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복간본 출간 이후 원문정보가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
 
 
=='''저자'''==
 
조자호(1912~1976)는 요리연구가이자 교육자로 유명 병과점인 호원당의 설립자이다. 마지막 왕비인 순종왕후 윤대비와 이종사촌간으로 어릴적부터 궁중에 드나들면서 궁중음식을 익혔다. 일본동경제과학교를 졸업한 유학파로 박순천, 황신덕 등과 함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20323&cid=46615&categoryId=46615 '경성가정여숙(현 중앙여고)']를 설립하였다. 조자호의 대표 저작물인 조선요리법은 방신영 선생의 조선요리제법과 쌍벽을 이루는 베스트셀러였다고 전한다.
 
호원당에서 판매하는 떡중 가장 이름이 높은 것은 [[두텁떡]]으로 [[두텁떡]]은 궁중의 떡 중에서도 귀한 재료가 많이 들어간 맛있는 떡으로 유명하다.
 
 
=='''목차와 구성'''==
 
425가지의 음식과 43가지의 음식· 의례상식을 근대적 문체로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상세히 분류하면 고명(10종), 메주(2종), 간장 및 고추장(9종), 각종가루(6종), 김장(16종), 창국(4종), 나물(16종), 생채류(8종), 갈랍류(21종), 잡채류(6종), 장국류(14종), 화채류(16종), 자반류 및 포류(19종), 회류(25종), 구이류(24종), 조치류(9종), 죽류(8종), 토장국류(9종), 떡종류(27종), 전골류(12종), 약식 및 갖은 편류(11종), 맑은 장국류(19종), 구자와 찜류(16종), 미음류(5종), 쌈류(3종), 생실과 웃기(4종), 젓갈(8종)의 조리법이 적혀 있다. 후반부에는 음식 곁드리는 법과 음식 절기, 상보는 법, 식사예법 등이 나온다. [http://archive.hansik.org/bibliography/modern/item/modern_book__type/354/7271/ 출처:한식아카이브 '조선요리법']
 
 
 
=='''집필자'''==
 
*[[서모란]]([[한국학중앙연구원]])
 
 
=='''각주'''==
 
<references/>
 

2016년 12월 26일 (월) 18:15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