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하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정의== 차 잎 따는 시기에 따라 붙인 차 이름이다. 입하(양력 5월 6일)때 차 잎을 따서 만든 차이다. 『다신계절목』에는 『입하 전에 늦...)
 
1번째 줄: 1번째 줄:
==정의==
+
[[파일:lkjljlknjboihoinkl.png|프레임]]
  
 +
==정의==
 
차 잎 따는 시기에 따라 붙인 차 이름이다. 입하(양력 5월 6일)때 차 잎을 따서 만든 차이다. 『다신계절목』에는 『입하 전에 늦차를 따서 떡차 두 근을 만든다.』고 적혀 있다. 또 정약용의 제자인 초의선사는 『동다송(東茶頌)』에서 입하 전을 차 따기의 적기라고 주장한 바가 있다.
 
차 잎 따는 시기에 따라 붙인 차 이름이다. 입하(양력 5월 6일)때 차 잎을 따서 만든 차이다. 『다신계절목』에는 『입하 전에 늦차를 따서 떡차 두 근을 만든다.』고 적혀 있다. 또 정약용의 제자인 초의선사는 『동다송(東茶頌)』에서 입하 전을 차 따기의 적기라고 주장한 바가 있다.

2016년 6월 22일 (수) 22:51 판

Lkjljlknjboihoinkl.png

정의

차 잎 따는 시기에 따라 붙인 차 이름이다. 입하(양력 5월 6일)때 차 잎을 따서 만든 차이다. 『다신계절목』에는 『입하 전에 늦차를 따서 떡차 두 근을 만든다.』고 적혀 있다. 또 정약용의 제자인 초의선사는 『동다송(東茶頌)』에서 입하 전을 차 따기의 적기라고 주장한 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