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이성산성 건물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7번째 줄: | 7번째 줄: | ||
}} | }} | ||
==개관== | ==개관== | ||
+ | 산성 안에 축조되는 건물들은 일반적으로 창고, 병영, 장대 등 전투에 필요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렇지만 이성산성은 이 외에도 행정적, 의례적인 요소의 건물들이 보이고 있다. 이것은 이성산성의 기능이 단순히 군사적인 목적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행정중심지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음을 말해준다. 이성산성에서 있는 건물지 중 현재까지 발굴된 것만 11개소이며, 주춧돌이 일부 노출되었거나 건물지가 확실한 것을 포함하면 최소한 20개소 이상의 대형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 | 이들 건물지의 특징은 다각형 건물이 많다는 점이다. 그중 9각 건물은 9자가 완전무결함을 상징하는 하늘의 숫자이므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천단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와 대칭되는 지점에 있는 8각건물은 가운데에 건물의 구조와 전혀 관계가 없는 돌기둥 4개가 세워져 있고 8은 땅의 숫자이므로 사직단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26번째 줄: | 28번째 줄: | ||
|C지구12각건물지 ||9각(2열)||직경1,024||25.4|| ||당척|| ||벽의 흔적 | |C지구12각건물지 ||9각(2열)||직경1,024||25.4|| ||당척|| ||벽의 흔적 | ||
|} | |} | ||
+ | |||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와 [[아차산성]]=== | ||
+ | |||
+ | 5기의 온돌유구와 기단 석렬이 배치된 건물지 사이에는 중복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지역에서는 먼저 기단석렬이 있는 건물지와 초석을 이용한 건물지가 축조되고, 그 다음에 온돌을 중심으로 한 시설들이 들어섰던 것으로 파악된다. | ||
+ | |||
+ | |||
+ | 이는 [[아차산성]]에서 출토된 토기의 양상이 상당히 긴 시간폭을 갖는 점과 일치하는 양상으로, 1호온돌과 관련된 유물 출토양상이 그 시기를 암시한다. 1호온돌의 아궁이 바로 앞에서는 3점의 완형 각병과 상태가 양호한 [[아차산성 철제 초두]]가 출토되었으며 4호 온돌 주변에서는 완형의 주름무늬병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출토양상의 특징은 먼저 1호온돌에서 보여지듯이 이들 유물은 온돌유구와 관련이 있다는 점이며, 모두 거의 완형으로 출토된 점이다. [[아차산성]]에서 출토된 유물이 대부분 파편으로 수습되었고 편들 역시 서로의 짝을 찾기가 매우 어렵고 완형 출토유물이 극히 적은 점이 특징인데, 중복을 통해 다른 유구보다 연대가 떨어지는 것이 분명한 특정 유구에서 완형의 대형 각병들이 출토된 것은 이러한 각병이 A지구 성내부의 하한연대를 말해주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 ||
+ | |||
+ | |||
+ | 각병과 주름무늬병, 그리고 편구병은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B%A5%B5%EC%82%AC_(%EB%B0%B1%EC%A0%9C) 미륵사지]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42668&cid=40942&categoryId=33904 진죽리 ] 등지에서 다량 출토되고 있는데, 이들의 연대는 9세기 중엽이 중심연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볼 때 [[아차산성]]의 폐기 연대는 잠정적으로 대략 9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로 볼 수 있으며 그 이후로는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된 유물 중에서 [[통일신라]]의 후기에 출현한 것으로 편년되는 자기류가 전혀 출토되지 않았고, 그보다 더 후대인 [[고려]]와 [[조선]]시대로 편년되는 유물도 전혀 출토되지 않은 사실이 이를 뒤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아차산성]]의 점유기간은 7세기 전반에서 9세기 중엽경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ref>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 187-188쪽</ref> 이처럼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는 [[아차산성]]의 사용기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 ||
+ | |||
+ | ==지도== | ||
+ | <googlemap width="510" height="300" lat="37.5251589" lon="127.1829563" type="hybrid" zoom="13"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7.5251589, 127.1829563, [[하남 이성산성]] | ||
+ | </googlemap> | ||
+ | |||
+ | =='''클래스'''== | ||
+ | * 유적 | ||
+ | |||
+ | =='''관련 문서'''==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 | |- | ||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 있다||[[아차산]] | ||
+ | |- | ||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 속한다||[[아차산성]] | ||
+ | |- | ||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의 근처에 있다||[[아차산성 장대지]] | ||
+ | |- | ||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의 발견지이다||[[아차산성 철제 초두]] | ||
+ | |- | ||
+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서울대학교 박물관]] | ||
+ | |- | ||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
+ | |- | ||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 ||
+ | |- | ||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에서 B가 행해지다||[[아차산성 시발굴조사]] | ||
+ | |} | ||
+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온돌지.jpg|온돌지 평면도 및 단면도<ref>그림출처: 최종택, 앞의 책, 2014a, 23쪽.</ref> | ||
+ | 파일:1호온돌.jpg|1호온돌 전경<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ref> | ||
+ | 파일:2호온돌.jpg|2호온돌 굴뚝부와 초석 중복 전경<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ref> | ||
+ | 파일:23호온돌.png|2,3호온돌 전경<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ref> | ||
+ | 파일:23호온돌2.jpg|2,3호온돌 전경(동에서)<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ref> | ||
+ | 파일:4호온돌.jpg|4호온돌 전경<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ref> | ||
+ | 파일:5호온돌.jpg|5호온돌 전경(서에서)<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ref> | ||
+ | 파일:완형각병.jpg|온돌지에서 출토된 완형의 각병<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96쪽.</ref> | ||
+ | 파일:주름무늬.png|온돌지에서 출토된 주름무늬병<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97쪽.</ref> | ||
+ | </gallery>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기여'''== | ||
+ | *[[김지선]]: 처음 작성 | ||
+ | |||
+ | |||
+ | [[분류:아차산성]] | ||
+ | [[분류:김지선]] | ||
+ |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 ||
+ | [[분류:유적]] |
2016년 6월 14일 (화) 20:50 판
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 |
---|---|
280px | |
시대 | 삼국시대 |
위치 | 아차산성 A지구 |
주소 | 경기 하남시 춘궁동 산36번지 외 |
개관
산성 안에 축조되는 건물들은 일반적으로 창고, 병영, 장대 등 전투에 필요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렇지만 이성산성은 이 외에도 행정적, 의례적인 요소의 건물들이 보이고 있다. 이것은 이성산성의 기능이 단순히 군사적인 목적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행정중심지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음을 말해준다. 이성산성에서 있는 건물지 중 현재까지 발굴된 것만 11개소이며, 주춧돌이 일부 노출되었거나 건물지가 확실한 것을 포함하면 최소한 20개소 이상의 대형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건물지의 특징은 다각형 건물이 많다는 점이다. 그중 9각 건물은 9자가 완전무결함을 상징하는 하늘의 숫자이므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천단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와 대칭되는 지점에 있는 8각건물은 가운데에 건물의 구조와 전혀 관계가 없는 돌기둥 4개가 세워져 있고 8은 땅의 숫자이므로 사직단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명칭 | 형태 | 크기(cm) | 면적(평) | 방향 | 용척 | 기능 | 비고 |
---|---|---|---|---|---|---|---|
E지구건물지 | 장방형 | 3,202x788 | 76.5 | 고구려척 | 누각형 건물 | ||
C지구1호건물지 | 장방형 | 3,620x800 | 89.4 | 고구려척 | 누각형 건물 | ||
2호건물지 | 장방형 | 3,400x790 | 82.9 | 남서 | 고구려척 | 창고 | 누각형 건물 |
H지구건물지 | 장방형 | 1,370x660 | 27.9 | 남동 | 벽의 흔적 | ||
D지구8각건물지 | 8각(2열) | 직경880 | 18.8 | 남동 | 당척 | 사직단 | 벽의 흔적 |
B지구9각건물지 | 9각(2열) | 직경1,032 | 25.8 | 북서 | 당척 | 천단 | 벽의 흔적 |
C지구12각건물지 | 9각(2열) | 직경1,024 | 25.4 | 당척 | 벽의 흔적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와 아차산성
5기의 온돌유구와 기단 석렬이 배치된 건물지 사이에는 중복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지역에서는 먼저 기단석렬이 있는 건물지와 초석을 이용한 건물지가 축조되고, 그 다음에 온돌을 중심으로 한 시설들이 들어섰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아차산성에서 출토된 토기의 양상이 상당히 긴 시간폭을 갖는 점과 일치하는 양상으로, 1호온돌과 관련된 유물 출토양상이 그 시기를 암시한다. 1호온돌의 아궁이 바로 앞에서는 3점의 완형 각병과 상태가 양호한 아차산성 철제 초두가 출토되었으며 4호 온돌 주변에서는 완형의 주름무늬병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출토양상의 특징은 먼저 1호온돌에서 보여지듯이 이들 유물은 온돌유구와 관련이 있다는 점이며, 모두 거의 완형으로 출토된 점이다. 아차산성에서 출토된 유물이 대부분 파편으로 수습되었고 편들 역시 서로의 짝을 찾기가 매우 어렵고 완형 출토유물이 극히 적은 점이 특징인데, 중복을 통해 다른 유구보다 연대가 떨어지는 것이 분명한 특정 유구에서 완형의 대형 각병들이 출토된 것은 이러한 각병이 A지구 성내부의 하한연대를 말해주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각병과 주름무늬병, 그리고 편구병은 미륵사지와 진죽리 등지에서 다량 출토되고 있는데, 이들의 연대는 9세기 중엽이 중심연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볼 때 아차산성의 폐기 연대는 잠정적으로 대략 9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로 볼 수 있으며 그 이후로는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된 유물 중에서 통일신라의 후기에 출현한 것으로 편년되는 자기류가 전혀 출토되지 않았고, 그보다 더 후대인 고려와 조선시대로 편년되는 유물도 전혀 출토되지 않은 사실이 이를 뒤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아차산성의 점유기간은 7세기 전반에서 9세기 중엽경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1] 이처럼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는 아차산성의 사용기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지도
클래스
- 유적
관련 문서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 A는 B에 있다 | 아차산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 A는 B에 속한다 | 아차산성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 A는 B의 근처에 있다 | 아차산성 장대지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 A는 B의 발견지이다 | 아차산성 철제 초두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 서울대학교 박물관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 A에서 B가 행해지다 |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
갤러리
온돌지 평면도 및 단면도[2]
1호온돌 전경[3]
2호온돌 굴뚝부와 초석 중복 전경[4]
2,3호온돌 전경[5]
2,3호온돌 전경(동에서)[6]
4호온돌 전경[7]
5호온돌 전경(서에서)[8]
온돌지에서 출토된 완형의 각병[9]
온돌지에서 출토된 주름무늬병[10]
주석
- ↑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 187-188쪽
- ↑ 그림출처: 최종택, 앞의 책, 2014a, 23쪽.
- ↑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
- ↑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
- ↑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
- ↑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
- ↑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
- ↑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
- ↑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96쪽.
- ↑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97쪽.
기여
- 김지선: 처음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