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읍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초안)
 
잔글
5번째 줄: 5번째 줄:
 
|지정번호 = 사적
 
|지정번호 = 사적
 
|지정일 =  1965년 4월 1일
 
|지정일 =  1965년 4월 1일
|지정명칭 = 고창 신재효 고택(高敞 申在孝 古宅)
+
|지정명칭 = 고창읍성 (高敞邑城)
|한자명칭 = 高敞 申在孝 古宅
+
|한자명칭 = 高敞邑城
 
|주소 =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126번지
 
|주소 =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126번지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지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지

2024년 4월 1일 (월) 14:20 판

Project Home


개관

옛 고창 고을의 읍성으로 모양성(牟陽城)이라고도 하는데, 백제 때 고창지역을 모량부리로 불렀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나주진관, 입암산성 등과 더불어 호남내륙을 방어하는 요충지로, 단종 원년(1453)에 세워진 것이라고도 하고 숙종 때 완성되었다고도 하나 확실하지 않다.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는데 최근 보수공사를 하여 원형에 가깝도록 복구하였다. 성 둘레는 1,684m이며, 동·서·북문과 옹성이 3개소, 장대지 6개소와 해자들로 된 전략적 요충시설이 갖춰져 있다. 성 안에는 동헌·객사를 비롯하여 22동의 관아건물들로 되어 있었으나 대부분 손실되었다.


 이 성은 조선시대의 읍성에서 흔히 보기 어려운 주초와 문짝을 달던 홈이 파인 누문(樓門)을 가지고 있어, 평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성문, 보은의 삼년산성이나 강화읍성 등에서 볼 수 있는 양식과 비교되어 성곽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여성들의 성벽 밟기 풍습으로 유명한데, 한 해의 재앙과 질병을 쫓고 복을 비는 의식의 하나로 좋은 민속자료가 된다.

[1]

  1. 출처: [1]

기여

역할 이름 전공
정리 조경민 인문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