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2 김현승 기말 계획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과제결과물)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한복박물관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연구-연구계획서= | =한복박물관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연구-연구계획서= | ||
− | == | + | ==연구사업 개요== |
=== 연구 사업명=== | === 연구 사업명=== | ||
* 한복박물관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연구 | * 한복박물관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연구 | ||
===연구기간=== | ===연구기간=== | ||
− | * | + | * 2021년 1월 ~ 2021년 12월 |
===수행기관=== | ===수행기관=== | ||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 ||
− | == | + | ==추진배경 및 사업목적== |
===배경=== | ===배경=== | ||
− | * 젊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경복궁을 비롯한 궁궐 나들이 때 한복 착용의 유행 | + | * 젊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경복궁을 비롯한 궁궐 방문이나 한옥마을 나들이 때 한복 착용의 유행 |
− | * K- | + | * 한국의 K-Pop과 영화·드라마 등 콘텐츠의 영향으로 외국인 팬들 사이에서 한국문화와 한복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 |
− | * 그러나 COVID-19로 인한 | + | * 그러나 전세계가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상태에서 한국도‘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함으로써 한복과 전통문화에 대한 직접 체험과 정보수집에 제약이 생김 |
===목적=== | ===목적=== | ||
− | * | + | * COVID-19의 영향으로 비대면 환경에서 정보를 접하는 것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됨으로써 한복의 문화와 역사 및 지식정보를 디지털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필요성이 제기됨 |
+ | * 디지털 환경의 가상 박물관에서 여러 기관의 협력으로 한복의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하고 살필 수 있도록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연구 사업을 추진함 | ||
+ | * 이를 통해 한복의 역사와 문화 정보를 공간적·물리적 제약 없이 탐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복문화의 활성화와 국제사회 속에서 한복에 대한 인식 제고 기회 마련 | ||
− | == | + | ==사업 내용== |
− | ===내용1=== | + | ===내용1: 대내외 환경 분석 및 준비단계=== |
− | * | + | * 유관기관 유사사업 실태조사 및 추진전략 비교 분석 |
− | + | * 한복의 역사적·문화적·사회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의 선정과 수집 및 분륭 | |
− | * | + | *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과 디지털 콘텐츠 편찬을 위한 작업자 교육 실시 |
− | + | ||
− | * | + | |
− | ==' | + | ===내용2: 데이터베이스 구축=== |
− | * 한복의 | + | * 지식 데이터 온톨로지 설계 |
− | * 디지털 | + | * 기구축된 데이터 모델링 설계서를 참고·보완하여 신규 자료 데이터 베이스 적재 |
+ | * 디지털 아카이브 클래스, 개체, 속성, 관계 등의 설계를 기반으로 구조화 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링 | ||
+ | * 박물관에 소장된 복식 유물 정보와 생활한복 브랜드 등 한복과 관련된 기관과 웹사이트 및 데이터베이스에 분산되어 있는 자료와 정보를 통합 및 구축 | ||
+ | * Linked Data를 활용한 온톨로지 형태의 데이터베이스 모델 구축 | ||
+ | * 한복연구진 및 전문가가 참여하여 자료 기재 및 메타데이터 요소를 조사·등록 | ||
+ | * 메타데이터 내용 정보에 대한 전문가 검수, 주관사업자와 주관기관의 검수 확인 | ||
+ | |||
+ | ===내용3: 아카이브 웹 서비스 운영관리=== | ||
+ | * '21년 제작 한복박물관 웹사이트 메인화면 구성, 아카이브 자료 검색 및 서비스 이용 메뉴 구성을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개국어로 제작하여 편리성 제공 | ||
+ | * 전통 한복과 현대의 생활한복 정보의 통합검색 기능과 검색 결과 관련 상세 정보 제공 | ||
+ | * 웹 접근성, 웹 표준 적용으로 최신 IT환경에 최적화된 웹 사이트 구축 | ||
+ | |||
+ | ===내용4: 디지털아카이브 데이터 생산=== | ||
+ | * 한국 전통 복식유물, 현대 생활한복, 한복패션 브랜드, 기록물, 학술논문, 장소, 사건, 인물, 단체 등 데이터 모델에 따른 데이터 생산 | ||
+ | * 박물관 및 여러 기관과 개인 브랜드 사이트에 분산된 자료를 수집 및 연계하고 데이터베이스화 | ||
+ | * 온오프라인 활용을 위한 서비스자료 생산 | ||
+ | * 단계별 품질점검을 통해 DB구축 품질 향상 | ||
+ | |||
+ | ===내용5: 디지털 콘텐츠 제작·활용=== | ||
+ | * 학술적 연구가 진행된 복식과 이와 관련한 세부 정보(문양, 형태, 색상, 제작정보 등)를 담은 내용으로 애니메이션 제작 | ||
+ | * 국제사회에 한복의 정체성을 알릴 수 있는 홍보 영상 제작 | ||
+ | *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된 결과물을 온라인 및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 등)에 배포 | ||
+ | |||
+ | ==기대효과== | ||
+ | ===기대효과1: 한복 관련 지식관계망 형성 및 확대=== | ||
+ | * 각 기관별 산재되어 있던 한복 관련 지식정보가 표준화된 모델링에 따라 디지털 베이스로 구축이 되어 유기적 연결 가능 | ||
+ | * 주요 관광지와 박물관, 미술관 등 생활문화시설과 한복브랜드, 대여업체, 공방, 전통시장 등 한복유관업체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촉진 기대 | ||
+ | |||
+ | ===기대효과2: 한복 관련 지식정보 활용 및 확산=== | ||
+ | * 역사와 문화 배경 지식 탐색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고 정보 수집의 효율성 확대 | ||
+ | * 영화와 드라마, 만화,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 제작에 기여 | ||
+ | * 국제사회에 한복문화 홍보 | ||
+ | * 온라인 채널에서 전문가와 대중의 디지털 편찬으로 인한 지속적인 정보 공유 및 지식의 확장 | ||
=='''과제결과물'''== | =='''과제결과물'''== | ||
* [[한복박물관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연구 제안요청서]] | * [[한복박물관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연구 제안요청서]]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202/김현승/한복박물관_디지털아카이브_구축_연구_제안서.pdf 한복박물관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연구 제안서] |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202/김현승/한복박물관_디지털아카이브_구축_연구_제안서.pdf 한복박물관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연구 제안서] |
2020년 12월 10일 (목) 14:43 판
한복박물관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연구-연구계획서
연구사업 개요
연구 사업명
- 한복박물관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연구
연구기간
- 2021년 1월 ~ 2021년 12월
수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추진배경 및 사업목적
배경
- 젊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경복궁을 비롯한 궁궐 방문이나 한옥마을 나들이 때 한복 착용의 유행
- 한국의 K-Pop과 영화·드라마 등 콘텐츠의 영향으로 외국인 팬들 사이에서 한국문화와 한복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
- 그러나 전세계가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상태에서 한국도‘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함으로써 한복과 전통문화에 대한 직접 체험과 정보수집에 제약이 생김
목적
- COVID-19의 영향으로 비대면 환경에서 정보를 접하는 것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됨으로써 한복의 문화와 역사 및 지식정보를 디지털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필요성이 제기됨
- 디지털 환경의 가상 박물관에서 여러 기관의 협력으로 한복의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하고 살필 수 있도록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연구 사업을 추진함
- 이를 통해 한복의 역사와 문화 정보를 공간적·물리적 제약 없이 탐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복문화의 활성화와 국제사회 속에서 한복에 대한 인식 제고 기회 마련
사업 내용
내용1: 대내외 환경 분석 및 준비단계
- 유관기관 유사사업 실태조사 및 추진전략 비교 분석
- 한복의 역사적·문화적·사회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의 선정과 수집 및 분륭
-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과 디지털 콘텐츠 편찬을 위한 작업자 교육 실시
내용2: 데이터베이스 구축
- 지식 데이터 온톨로지 설계
- 기구축된 데이터 모델링 설계서를 참고·보완하여 신규 자료 데이터 베이스 적재
- 디지털 아카이브 클래스, 개체, 속성, 관계 등의 설계를 기반으로 구조화 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링
- 박물관에 소장된 복식 유물 정보와 생활한복 브랜드 등 한복과 관련된 기관과 웹사이트 및 데이터베이스에 분산되어 있는 자료와 정보를 통합 및 구축
- Linked Data를 활용한 온톨로지 형태의 데이터베이스 모델 구축
- 한복연구진 및 전문가가 참여하여 자료 기재 및 메타데이터 요소를 조사·등록
- 메타데이터 내용 정보에 대한 전문가 검수, 주관사업자와 주관기관의 검수 확인
내용3: 아카이브 웹 서비스 운영관리
- '21년 제작 한복박물관 웹사이트 메인화면 구성, 아카이브 자료 검색 및 서비스 이용 메뉴 구성을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개국어로 제작하여 편리성 제공
- 전통 한복과 현대의 생활한복 정보의 통합검색 기능과 검색 결과 관련 상세 정보 제공
- 웹 접근성, 웹 표준 적용으로 최신 IT환경에 최적화된 웹 사이트 구축
내용4: 디지털아카이브 데이터 생산
- 한국 전통 복식유물, 현대 생활한복, 한복패션 브랜드, 기록물, 학술논문, 장소, 사건, 인물, 단체 등 데이터 모델에 따른 데이터 생산
- 박물관 및 여러 기관과 개인 브랜드 사이트에 분산된 자료를 수집 및 연계하고 데이터베이스화
- 온오프라인 활용을 위한 서비스자료 생산
- 단계별 품질점검을 통해 DB구축 품질 향상
내용5: 디지털 콘텐츠 제작·활용
- 학술적 연구가 진행된 복식과 이와 관련한 세부 정보(문양, 형태, 색상, 제작정보 등)를 담은 내용으로 애니메이션 제작
- 국제사회에 한복의 정체성을 알릴 수 있는 홍보 영상 제작
-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된 결과물을 온라인 및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 등)에 배포
기대효과
기대효과1: 한복 관련 지식관계망 형성 및 확대
- 각 기관별 산재되어 있던 한복 관련 지식정보가 표준화된 모델링에 따라 디지털 베이스로 구축이 되어 유기적 연결 가능
- 주요 관광지와 박물관, 미술관 등 생활문화시설과 한복브랜드, 대여업체, 공방, 전통시장 등 한복유관업체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촉진 기대
기대효과2: 한복 관련 지식정보 활용 및 확산
- 역사와 문화 배경 지식 탐색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고 정보 수집의 효율성 확대
- 영화와 드라마, 만화,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 제작에 기여
- 국제사회에 한복문화 홍보
- 온라인 채널에서 전문가와 대중의 디지털 편찬으로 인한 지속적인 정보 공유 및 지식의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