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화장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Dnrwjd0211 (토론 | 기여) |
Dnrwjd0211 (토론 | 기여)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밀랍 + 유지 + 연백 + 활석이 기본<br>-여기에 자연재료(좁쌀 물의 웃물, 복숭아 꽃, 동아 씨(동과인) 등을 첨가하여 사용)<br>-용도에 따라 영양크림, 클렌징크림의 용도로 사용<br>-<규합총서><br>‘겨울에 얼굴이 거칠고 터질 때는 달걀 세 개를 술에 담가, 김이 새지 않도록 두껍게 봉하여두었다가 얼굴에 바른다. 그러면 트지 않을뿐더러 옥같이 고와진다.<br> 얼굴과 손이 터서 피가 나거든 돼지발기름에 괴화(회화나무의 꽃)을 섞어 붙이면 낫는다.’ | -밀랍 + 유지 + 연백 + 활석이 기본<br>-여기에 자연재료(좁쌀 물의 웃물, 복숭아 꽃, 동아 씨(동과인) 등을 첨가하여 사용)<br>-용도에 따라 영양크림, 클렌징크림의 용도로 사용<br>-<규합총서><br>‘겨울에 얼굴이 거칠고 터질 때는 달걀 세 개를 술에 담가, 김이 새지 않도록 두껍게 봉하여두었다가 얼굴에 바른다. 그러면 트지 않을뿐더러 옥같이 고와진다.<br> 얼굴과 손이 터서 피가 나거든 돼지발기름에 괴화(회화나무의 꽃)을 섞어 붙이면 낫는다.’ | ||
[[파일:청화백자연꽃넝쿨무늬합.jpg|200px]] <br>[[파일:면약_색상(예상).jpg]] - 면약 색상(예상) | [[파일:청화백자연꽃넝쿨무늬합.jpg|200px]] <br>[[파일:면약_색상(예상).jpg]] - 면약 색상(예상) | ||
− | <br> | + | </br> |
*미안수 | *미안수 | ||
-수세미, 오이, 박 등의 줄기를 자르면 나오는 즙이나 수분을 사용해 만듦<br>-액체형태의 동과인과 고체형태의 익모초가 있음 | -수세미, 오이, 박 등의 줄기를 자르면 나오는 즙이나 수분을 사용해 만듦<br>-액체형태의 동과인과 고체형태의 익모초가 있음 | ||
[[파일:동과인.jpg|200px]][[파일:청화백자모란넝쿨무늬호.jpg|200px]] | [[파일:동과인.jpg|200px]][[파일:청화백자모란넝쿨무늬호.jpg|200px]] | ||
− | <br> | + | </br> |
*연지분 | *연지분 | ||
-노른자 + 주사(朱砂) + 명반(明礬) + 사향(麝香)<br>-흰쌀가루 + 호분(연백) + 낙규자<br>-잇꽃 + 잿물 + 석류 <br>-'삼홍’이라 하여 볼과 입술, 손톱이 붉은 것을 미인상으로 간주 | -노른자 + 주사(朱砂) + 명반(明礬) + 사향(麝香)<br>-흰쌀가루 + 호분(연백) + 낙규자<br>-잇꽃 + 잿물 + 석류 <br>-'삼홍’이라 하여 볼과 입술, 손톱이 붉은 것을 미인상으로 간주 | ||
[[파일:낙규자.jpeg|200px]] | [[파일:낙규자.jpeg|200px]] | ||
<br>[[파일:연지분_색상(예상).jpg]] - 연지분 색상(예상) | <br>[[파일:연지분_색상(예상).jpg]] - 연지분 색상(예상) | ||
− | <br> | + | </br> |
*백분 | *백분 | ||
-쌀가루(미백) + 연백(미백보완, 피부 부착) + 활성(발림석) 을 수저나 종지그릇으로 소량씩 떠 그릇에 개어 사용<br>-백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납’을 가미하여 부착력 높아진 ‘연분’ | -쌀가루(미백) + 연백(미백보완, 피부 부착) + 활성(발림석) 을 수저나 종지그릇으로 소량씩 떠 그릇에 개어 사용<br>-백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납’을 가미하여 부착력 높아진 ‘연분’ | ||
[[파일:색회등나무무늬합.jpg|200px]][[파일:분.jpeg|200px]] | [[파일:색회등나무무늬합.jpg|200px]][[파일:분.jpeg|200px]] | ||
<br>[[파일:백색분_색상(예상).jpg]] - 백분 색상(예상) | <br>[[파일:백색분_색상(예상).jpg]] - 백분 색상(예상) | ||
− | <br> | + | </br> |
*미묵 | *미묵 | ||
-관솔 먹, 달개비꽃잎, 목화꽃을 태운 재 등을 기름에 개어 만듦<br>-16세기 초 – 가늘고 긴 눈썹이 유행<br> 17세기 초 – 넓고 진한 눈썹(궁양)이 유행 | -관솔 먹, 달개비꽃잎, 목화꽃을 태운 재 등을 기름에 개어 만듦<br>-16세기 초 – 가늘고 긴 눈썹이 유행<br> 17세기 초 – 넓고 진한 눈썹(궁양)이 유행 | ||
− | <br> | + | </br>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화장품 종류 || 주재료 | !화장품 종류 || 주재료 |
2020년 4월 17일 (금) 17:12 판
- 타겟대상 : 아모레퍼시픽 등 뷰티회사
- 타겟메세지 : 조선시대 화장, 화장품들에서 영감을 얻어 현재 화장품들에 역이용할 수 있게 함
- 화장품의 종류
- 면약
-밀랍 + 유지 + 연백 + 활석이 기본
-여기에 자연재료(좁쌀 물의 웃물, 복숭아 꽃, 동아 씨(동과인) 등을 첨가하여 사용)
-용도에 따라 영양크림, 클렌징크림의 용도로 사용
-<규합총서>
‘겨울에 얼굴이 거칠고 터질 때는 달걀 세 개를 술에 담가, 김이 새지 않도록 두껍게 봉하여두었다가 얼굴에 바른다. 그러면 트지 않을뿐더러 옥같이 고와진다.
얼굴과 손이 터서 피가 나거든 돼지발기름에 괴화(회화나무의 꽃)을 섞어 붙이면 낫는다.’
- 미안수
-수세미, 오이, 박 등의 줄기를 자르면 나오는 즙이나 수분을 사용해 만듦
-액체형태의 동과인과 고체형태의 익모초가 있음
- 연지분
-노른자 + 주사(朱砂) + 명반(明礬) + 사향(麝香)
-흰쌀가루 + 호분(연백) + 낙규자
-잇꽃 + 잿물 + 석류
-'삼홍’이라 하여 볼과 입술, 손톱이 붉은 것을 미인상으로 간주
- 백분
-쌀가루(미백) + 연백(미백보완, 피부 부착) + 활성(발림석) 을 수저나 종지그릇으로 소량씩 떠 그릇에 개어 사용
-백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납’을 가미하여 부착력 높아진 ‘연분’
- 미묵
-관솔 먹, 달개비꽃잎, 목화꽃을 태운 재 등을 기름에 개어 만듦
-16세기 초 – 가늘고 긴 눈썹이 유행
17세기 초 – 넓고 진한 눈썹(궁양)이 유행
</br>
화장품 종류 | 주재료 |
---|---|
면약 | 밀랍, 유지, 연백, 활석 |
미안수 | 수세미, 오이, 박 |
연지분 | 노른자, 주사, 명반, 사향, 석류, 낙규자 |
백분 | 쌀가루, 연백, 활석 |
미묵 | 먹, 달개비꽃잎, 목화꽃, 기름 |
- 네트워크 그래프 - 조선시대화장품.l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