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박물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시)
(소장자료)
31번째 줄: 31번째 줄:
  
 
===소장자료===
 
===소장자료===
 +
 +
현실의 규모는 가장 작은 3호분이 길이 280㎝, 너비 170㎝ 정도이고 가장 큰 6호분이 길이 318㎝, 너비 180㎝, 9호분이 길이 310㎝에 너비 240㎝ 정도로서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5,6,9호분을 제외한 나머지 고분은 현실 네 벽의 평면형이 바깥으로 배가 부른 이른바 동장식이며 3호분의 후벽 최하단석은 보통의 할석이 아니라 한장의 커다란 장대석을 이용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
대개 2인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7호분의 경우 목관의 크기는 길이 214~257㎝, 너비 57~67㎝ 정도로 추정된다. 9호분을 제외한 모든 고분에서 부장된 토기가 발견되었는데 단경호와 직구호 등 호류가 주종을 이루며 고배와 완 등이 소수 포함되어 있다. 부장품 중 가장 주목되는 것은 장신구류이다. 1,3 ,6,7,9호분에서 은제 팔찌·은제 가랑 비녀·금동제 가랑비녀 등이 출토되었다. 총 9기의 고분 중 5기에서 장신구가 출토된 점은 매우 주목되는데, 한성 백제의 횡혈식 석실분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현상으로 피장자 집단의 성격을 추정할 때 주목할 점이다.
 +
 +
 +
 +
 +
 +
 +
 +
 +
 
혜강 최한기 가문 소장품(195점), 연암 박지원 및 환재 박규수 가문 소장품(78점), 포저 조익 가문 소장품(240점), 잠곡 김육 가문소장 기증품(423점) 등 1,300여점이 넘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김석주 공신도상]], [[서유구 초상]], [[김육 초상(전신상)]], [[김육 초상(반신상)]]의 소장처이기도 하다.<ref>"[https://silhak.ggcf.kr/archives/8830 소장자료현황]", <html><online style="color:purple">『실학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경기문화재단.</ref>
 
혜강 최한기 가문 소장품(195점), 연암 박지원 및 환재 박규수 가문 소장품(78점), 포저 조익 가문 소장품(240점), 잠곡 김육 가문소장 기증품(423점) 등 1,300여점이 넘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김석주 공신도상]], [[서유구 초상]], [[김육 초상(전신상)]], [[김육 초상(반신상)]]의 소장처이기도 하다.<ref>"[https://silhak.ggcf.kr/archives/8830 소장자료현황]", <html><online style="color:purple">『실학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경기문화재단.</ref>
  

2020년 3월 29일 (일) 23:15 판

판교박물관(板橋博物館)
대표명칭 판교박물관
한자표기 板橋博物館
유형 박물관
주소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191(판교동499)
관련물품 김석주 공신도상, 서유구 초상, 김육 초상(전신상), 김육 초상(반신상)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판교다산로에 위치한 박물관이다.

내용

판교박물관은 1600년전 한성백제시대 석실분 밀집지역으로 삼국시대의 동북아 교류를 보여주는 증거인 한성백제 유적 9기와 고구려의 남하증거인 2기의 석실분을 보유한 박물관으로서 성남의 역사를 보여주는 박물관입니다. 판교박물관에서는 한성백제시대의 유적과 판교에서 발굴된 유물들을 통해 성남의 역사 문화 체험 공간으로 운영하며, 초·중·고등학생과 학부모에게 전통문화 체험을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박물관이 될 것입니다.

전시

판교지구 문화재발굴조사 결과 판교동(16구역) 백제 석실분 9기,삼평동(19구역) 고구려 석실분2기가 조사됨 문화재청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결과(‘08.4.17) 판교동 백제 고분 2기(5,6호)는 현지보존(매립)하고 나머지 백제 고분(7기), 고구려 고분(2기)를 판교역사공원 내 박물관 조성 결정 문화재청 결정에 따라 판교동 16구역 5·6호분을 중심으로 유적 보존 및 이전·복원하는 역사공원부지(4,890㎡)내 박물관 조성계획을 수립 박물관 1층에 기획전시실이 있으며 2층에 3개의 전시장이 테마별로 구성되어 실학을 소개하고 있다. 실학의 형성, 전개 과정에 대한 전시 자료들이 많으며, 조선시대 실학사상을 형성하였던 대표적인 사상들을 소개하였다. 백제 석실분 9기, 고구려 석실분 1(1-1,1-2),2호, 백제 석실분, 고구려 석실분, 백제 석실분 복원, 고구려 석실분 복원, 등 실학자들을 그린 초상화와 함께 이들이 집필한 고서들과 지도, 천문 관측 도구들을 전시하고 있다.[1]

소장자료

현실의 규모는 가장 작은 3호분이 길이 280㎝, 너비 170㎝ 정도이고 가장 큰 6호분이 길이 318㎝, 너비 180㎝, 9호분이 길이 310㎝에 너비 240㎝ 정도로서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5,6,9호분을 제외한 나머지 고분은 현실 네 벽의 평면형이 바깥으로 배가 부른 이른바 동장식이며 3호분의 후벽 최하단석은 보통의 할석이 아니라 한장의 커다란 장대석을 이용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대개 2인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7호분의 경우 목관의 크기는 길이 214~257㎝, 너비 57~67㎝ 정도로 추정된다. 9호분을 제외한 모든 고분에서 부장된 토기가 발견되었는데 단경호와 직구호 등 호류가 주종을 이루며 고배와 완 등이 소수 포함되어 있다. 부장품 중 가장 주목되는 것은 장신구류이다. 1,3 ,6,7,9호분에서 은제 팔찌·은제 가랑 비녀·금동제 가랑비녀 등이 출토되었다. 총 9기의 고분 중 5기에서 장신구가 출토된 점은 매우 주목되는데, 한성 백제의 횡혈식 석실분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현상으로 피장자 집단의 성격을 추정할 때 주목할 점이다.





혜강 최한기 가문 소장품(195점), 연암 박지원 및 환재 박규수 가문 소장품(78점), 포저 조익 가문 소장품(240점), 잠곡 김육 가문소장 기증품(423점) 등 1,300여점이 넘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김석주 공신도상, 서유구 초상, 김육 초상(전신상), 김육 초상(반신상)의 소장처이기도 하다.[2]

지식 관계망

  • 실학박물관 소장 초상화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석주 공신도상 판교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서유구 초상 판교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육 초상(반신상) 판교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육 초상(전신상) 판교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주석

  1. "판교박물관", 『두산백과』online.
  2. "소장자료현황", 『실학박물관』online,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