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근대건축 이야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주요 노드) |
(→주요 노드) |
||
67번째 줄: | 67번째 줄: | ||
==주요 노드== | ==주요 노드== | ||
− | * 시설 : [[남문한옥_대명헌]] , [[조양방직]], [[대한성공회_강화성당]], [[대한성공회_온수리성당]], [[강화_서도중앙교회]], [[심도직물_굴뚝 | + | * 시설 : [[남문한옥_대명헌]] , [[조양방직]], [[대한성공회_강화성당]], [[대한성공회_온수리성당]], [[강화_서도중앙교회]], [[심도직물_굴뚝]] |
* 기록 : [[추기경 김수환 이야기]], [[강화사]] | * 기록 : [[추기경 김수환 이야기]], [[강화사]] | ||
* 사건 : [[강화직물_노조사건]], [[강화전기도입]], [[강화정구대회]] | * 사건 : [[강화직물_노조사건]], [[강화전기도입]], [[강화정구대회]] |
2019년 6월 17일 (월) 23:02 판
목차
주제: 강화 근대건축 이야기
개요
강화 근대건축 이야기는 강화라는 지역이 어떻게 근현대를 향해 달려나갔는지, 이 시기 건립된 건축물, 그와 관련된 인물들과 사건을 통해 조망해보는 프로젝트이다. 강화도는 지리적 특성상 가장 먼저 문호가 개방되고 서구적 조류가 활발히 도입된 곳이었다. 특히 선교사들의 선교활동으로 신도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20세기 초 강화성당을 비롯한 많은 기독교 교회들이 건립되었다. 이들 교회중 몇몇은 전통적인 한옥양식에 서양 기독교건축양식이 결합된 독특한 건축양식을 하고 있어 건축사, 교회사적으로도 남다른 의미를 지닌다. 개항기, 대한제국기를 거쳐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과 서양건축양식의 영향을 받은 근대한옥들이 건립되었다. 영국식 헤링본무늬가 결합된 대청마루가 남아있는 남문한옥, 대명헌이 대표적이다. 대명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을 지낸 김구와 깊은 인연을 가진 곳이기도 하다. 한편 비슷한 시기 강화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방직공장인 조양방직이 세워졌는데, 이는 전통적인 가내수공업에서 기계식공업으로의 획기적인 변화의 시작을 의미했다. 해방 이후에는 강화읍에만 직물공장이 수 십 곳에 이를 정도로 강화의 직물산업이 전성기를 이뤘다. 이들 공장에 종사했던 노동자들은 열악한 근무환경의 개선을 요구하는 노조설립투쟁을 벌이기도 했다.
온톨로지 설계
범주 Class
- 시설
- 인물
- 지명
- 시대
- 연대
- 공간
- 양식
- 조직
- 종교
- 사건
- 기록
- 기업
- 상품
- 개념
관계 Relation
위치한다 출신이다 소속이다 방문했다 판매한다 전기를_도입했다 을/를_건립했다 건립되었다 지원했다 수소문했다 유래한다 집필했다 머물렀다 맏사위이다 매부지간 별명이다 양식이_존재한다 기록이_있다 사용했다 매입했다 한옥문화체험프로그램_운영 구명운동을_했다 현재_쓰인다 관계_추정된다 설화가_전해진다 위치한다 출신이다 소속이다 을/를_건립했다 건립되었다 선교사 지원했다 유래한다 양식이_존재한다 관련있다 유형문화재_제52호_지정 유형문화재_제41호_지정 문화재자료_제14호_지정 한옥_교회_양식혼합 천주성전(天主聖殿) 상징한다
주요 노드
- 시설 : 남문한옥_대명헌 , 조양방직, 대한성공회_강화성당, 대한성공회_온수리성당, 강화_서도중앙교회, 심도직물_굴뚝
- 기록 : 추기경 김수환 이야기, 강화사
- 사건 : 강화직물_노조사건, 강화전기도입, 강화정구대회
- 인물 : 강화_김근호, 황국현, 김재소, 홍재묵, 박길양
- 조직 : 가톨릭노동청년회, 강화직물조합
- 개념 : 소창길, 강화대지주, 근대건축유산
노드 리스트
No. | Class | Node |
---|---|---|
1 | 시설 | 대명헌 |
2 | 시설 | 대한성공회_강화성당 |
3 | 시설 | 대한성공회_온수리성당 |
4 | 시설 | 강화_서도중앙교회 |
5 | 시설 | 조양방직 |
6 | 시설 | 심도직물 |
7 | 시설 | 평화직물 |
8 | 시설 | 소창체험관 |
9 | 시설 | 심도직물_굴뚝 |
10 | 지명 | 강화도 |
11 | 지명 | 강화읍 |
12 | 지명 | 길상면 |
13 | 지명 | 서도면 |
14 | 시설 | 배재학당 |
15 | 시설 | 강화산성_남문 |
16 | 시설 | 소금빛서점 |
17 | 시설 | 유림상회 |
18 | 국가 | 영국 |
19 | 국가 | 미국 |
20 | 시대 | 일제강점기 |
21 | 시대 | 대한제국기 |
22 | 시대 | 해방이후 |
23 | 인물 | 황국현 |
24 | 인물 | 홍재묵 |
25 | 인물 | 홍재용 |
26 | 인물 | 김구 |
27 | 인물 | 김근호 |
28 | 인물 | 아펜젤러 |
29 | 인물 | 트롤로프 |
30 | 인물 | 이용철 |
31 | 인물 | 최성숙 |
32 | 인물 | 김수환 |
33 | 인물 | 코프_주교 |
34 | 인물 | 김재소 |
35 | 인물 | 미카엘 |
36 | 인물 | 코프_주교 |
37 | 인물 | 강화주민들 |
38 | 조직 | 대한민국_임시정부 |
39 | 조직 | 심도직물_노조 |
40 | 조직 | 가톨릭_노동청년회 |
41 | 조직 | 한국천주교회 |
42 | 사건 | 강화직물_노조사건 |
43 | 사건 | 노조설립 |
44 | 종교 | 성공회 |
45 | 종교 | 감리교 |
46 | 종교 | 개신교 |
47 | 종교 | 불교 |
48 | 종교 | 기독교 |
49 | 공간 | 사제관 |
50 | 공간 | 한옥 |
51 | 공간 | 양옥 |
52 | 공간 | 일본식가옥 |
53 | 공간 | 사찰 |
54 | 공간 | 카페 |
55 | 공간 | 문화공간 |
56 | 공간 | 미술관 |
57 | 공간 | 공장 |
58 | 공간 | 부엌 |
59 | 공간 | 안방_툇마루 |
60 | 양식 | 대청마루 |
61 | 양식 | 외삼문 |
62 | 양식 | 내삼문 |
63 | 양식 | 대들보 |
64 | 양식 | 서까래 |
65 | 양식 | 바실리카 |
67 | 양식 | 헤링본무늬 |
68 | 양식 | 유리문_에칭기법 |
69 | 양식 | 팔작지붕 |
70 | 양식 | 십자가 |
71 | 양식 | 비문 |
72 | 양식 | 현판 |
73 | 양식 | 지성소 |
74 | 양식 | 회중석 |
75 | 양식 | 열두_기둥 |
76 | 양식 | ㄷ자형 |
77 | 양식 | ㄱ자형 |
78 | 양식 | 용마루 |
79 | 상품 | 커피 |
80 | 상품 | 케이크 |
81 | 상품 | 책 |
82 | 상품 | 그릇 |
83 | 개념 | 동양기선 |
84 | 개념 | 백두산_잣나무 |
85 | 기록 | 백범일지 |
86 | 연대 | 1923년 |
87 | 연대 | 1934년 |
88 | 연대 | 1933년 |
89 | 연대 | 1928년 |
90 | 연대 | 1906년 |
91 | 연대 | 1900년 |
92 | 연대 | 1956년 |
93 | 연대 | 1965년 |
94 | 인물 | 박길양 |
95 | 개념 | 소창길 |
96 | 개념 | 강화_대지주 |
97 | 사건 | 강화_전기도입 |
98 | 지명 | 강화_남산 |
99 | 시설 | 강화유치원 |
100 | 시설 | 강화_내리교회 |
지식 관계망
근대한옥_대명헌
강화근대교회
강화직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