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리학의 내용)
(같은 사용자에 의한 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성리학==
+
== 성리학 ==
[[유교]]에 철학적 세계관을 부여하고 [[유교]]를 심성 수양의 도리로 확립한 새로운 학풍.
+
=== 요약 ===
 +
* 중국 송(宋) ·명(明)나라 때 학자들에 의하여 성립된 학설.
  
===정의===
+
=== 내용 ===
중국에서는 이미 당대부터 종래의 훈고학(訓詁學)과는 다른 [[유교]]학풍을 세우려는 노력이 있었으며, 그 노력은 북송대에 이르러 성리학이라는 사상체계와 학문방법을 갖추기 시작했다. 그후 남송의 [[주희]](朱熹 : 1130~1200)에 의해 성리학의 집대성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성리학을 주자학(朱子學)이라 부르기도 한다. 명대의 왕수인(王守仁 : 1472~1528)의 학문·사상, [[양명학]]까지 성리학에 포함시킬 수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주자학]]만을 성리학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송대 성리학의 성립에는 [[불교]] 철학이 많은 영향을 미쳤으나, 성리학의 세계관과 [[불교]]의 세계관은 근본적인 성격이 달랐다. [[불교]]의 세계관에서 현실의 자연과 사회는 궁극적으로 부정되어야 할 가상에 불과한 것이었다. 그러나 성리학의 세계관은 자연과 사회를 도덕적인 본성을 갖는 것으로 인식하고 그 속에 존재하는 사물들의 개별성을 긍정했다.  
+
*도학(道學)·이학(理學)·성명학(性命學) 또는 이것을 대성시킨 이의 이름을 따서 정주학(程朱學)이라고도 한다. 유학(儒學)은 중국 사상의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그것이 성립되던 상대(上代)에는 종교나 철학 등으로 분리되지 않은 단순한 도덕사상이었으며, 그 대표적 인물에 [[공자(孔子)]][[맹자(孟子)]]가 있다. 공자는 춘추시대(春秋時代)의 어지러운 사회를 바로잡으려고 천하를 주유(周遊)하면서 [[인(仁)]][[예(禮)]]를 설하였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고향에 돌아와 육경(六經:詩·書·禮·樂·易·春秋)을 제자에게 가르치며 도리(道理)를 후세에 전하였다.  
  
===내용===
+
*선진시대(先秦時代)에 이르러 유학은 도덕 실천의 학으로서 크게 일어났으나, 시황제(始皇帝)의 [[분서갱유(焚書坑儒)]]로 큰 시련을 겪은 다음 한·당대(漢唐代)에는 경전(經典)을 수집·정리하고, 그 자구(字句)에 대한 주()와 해석을 주로 하는 소위 [[훈고학(訓學)]]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송·명 시대에 이르러 유학은 정치적 또는 종교적 사회체제의 변화에 따라 노불(老佛) 사상을 가미하면서 이론적으로 심화되고 철학적인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주희]]에 의해 집대성된 성리학은 자연과 사회의 발생·운동을 이()와 기()의 개념에 의해 설명한다. 기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에 의해 우주 만물이 생성되며, 그런 점에서 기는 만물을 구성하는 요소가 된다. 그런데 기는 맑음과 흐림, 무거움과 가벼움 등에 따른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기에 의해 구성되는 우주 만물은 차별성·등급성을 갖는다. 결국 자연·인간·사회가 모두 위계적 질서를 갖는 것이다. 한편 태극(太極), 즉 천리(天理)·이의 개념은 만물 생성의 근원이 되는 정신적 실재로서 기의 존재 근거이며, 동시에 만물에 내재하는 원리로서 기의 운동법칙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만물의 존재 근거가 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만물에는 모두 이가 내재한다는 점에서 이의 개념은 인간과 사물의 원리적 보편성을 설명하는 범주이다. 이기론에 바탕을 둔 인간 이해는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의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인성론으로 체계화되었다. 본연지성은 모든 인간의 마음 속에 본래 존재하고 있는 이로서, 도덕적 본성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기질지성은 인간 형성에 관여하는 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육체와 감각의 작용으로 나타나는 인간 본능을 의미한다. 이 가운데 본연지성에 따른 행위는 선한 것이며, 기질지성에 따른 행위는 인욕에 의해 악으로 흐르는 경향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은 인욕을 없애고 천리를 보존하는 도덕 실천을 통해 본연지성에 따르는 생활방식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생활방식을 가지기 위해서 사물에 존재하는 천리를 인식하는 궁리(窮理)와 인욕의 발동을 억제하는 내면적 수양으로서의 거경(居敬)이라는 수양 방법이 제시되었다 (→ 색인 : 거경궁리). 그런데 성리학에서 강조하는 이의 구체적 내용은 삼강오상을 비롯한 [[유교]]적 윤리도덕이었으며, 나아가 [[관료제]]적 통치질서, 신분계급적 사회질서, 가부장제적·종법제적 가족질서를 포함하는 명분론적 질서였다. 따라서 성리학은 이의 보편성을 통해 [[유교]]적 윤리도덕과 명분론적 질서의 보편성을 교설하며, 인간은 명분론적 질서 속에서 각각의 계층적 지위에 합당한 일을 성실하게 수행해야 하는 존재로 설명했다. 결국 성리학은 명분론적 질서를 합리화하는 사상체계였으며, 명분론적 질서에 맞는 생활을 하는 것이 모든 인간의 도덕적 의무라고 했다.
+
  
===참고 문헌===
+
*, 북송(北宋)의 정호(程顥)는 천리(天理)를 논하였고 그 아우 정이(程)는 ‘[[성즉리(性卽理)]]’의 학설을 폈으며, 그 밖에 주돈이(周敦頤)·장재(張載)·소옹(邵雍) 등이 여러 학설을 편 것을 남송(南宋)의 주희(朱熹:朱子)가 집성(集成)·정리하여 철학의 체계를 세운 것이 성리학으로, 일명 주자학(朱子學)이라고도 한다. 한편, 이와는 달리 육상산(陸象山)은 ‘[[심즉리(心卽理)]]’를 주장하였는데, 이것을 왕양명(王陽明)이 계승하여 육왕학(陸王學)을 정립, 이것 역시 성리학이라 하나 대개의 경우는 성리학이라 하면 [[주자학]]을 가리킨다.
*한국유학의 철학적 전개 : 배종호, 원광대학교 출판부, 1989
+
 
*퇴계의 연거와 사상형성 : 권오봉, 포항공과대학, 1989
+
*성리학은 [[이]](理)·[[기]](氣)의 개념을 구사하면서 우주(宇宙)의 생성(生成)과 구조(構造), 인간 심성(心性)의 구조, 사회에서의 인간의 자세(姿勢) 등에 관하여 깊이 사색함으로써 한·당의 훈고학이 다루지 못하였던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내성적(內省的)·실천철학적인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유학사상을 수립하였다. 그 내용은 크게 나누어 태극설(太極說)·이기설(理氣說)·심성론(心性論)·성경론(誠敬論)으로 구별할 수 있다.
*한국유학연구 : 유명종, 이문출판사, 1988
+
 
*한국유학사 : 이병도, 아세아문화사, 1987
+
===참고 자료===
*조선후기성리학 : 유명종, 이문사, 1985
+
 
*한국사상대계-성리학사상편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편·발행, 1984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2540&cid=40942&categoryId=31445 네이버 지식백과  성리학]
*한국유학논구 : 윤사순, 현암사, 1980
+
 
*퇴계철학의 연구 : 윤사순,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
[[201310212 이지형 | 201310212 이지형]]
*조선조유학사상연구 : 김길환, 일지사, 1980
+
 
*정도전사상의 연구 : 한영우,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3
+
[[분류:서원 KU]]
*율곡의 생애와 사상 : 이병도, 서문당, 1973
+
*조선유학사 : 현상윤, 민중서관, 1949
+
*고려 성리학 수용의 사상적 배경 : 이원명,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성리학의 수용과 그 의의 〈한국사론〉 18 : 배종호, 국사편찬위원회, 1988
+
*성리학 〈한국사연구입문〉 : 김태영, 지식산업사, 1987(2판)
+
*퇴율이전 조선성리학의 문제발전 〈동방학지〉 42 : 류인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4
+
*성리학 〈한국학연구입문〉 : 윤사순, 지식산업사, 1981
+
*16세기 사림파의 성리학 이해 〈한국사론〉 7 : 김항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1
+
*조선성리학의 재평가 〈창작과 비평〉 33 : 이태진, 창작과 비평사, 1974
+

2014년 6월 17일 (화) 22:13 판

성리학

요약

  • 중국 송(宋) ·명(明)나라 때 학자들에 의하여 성립된 학설.

내용

  • 도학(道學)·이학(理學)·성명학(性命學) 또는 이것을 대성시킨 이의 이름을 따서 정주학(程朱學)이라고도 한다. 유학(儒學)은 중국 사상의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그것이 성립되던 상대(上代)에는 종교나 철학 등으로 분리되지 않은 단순한 도덕사상이었으며, 그 대표적 인물에 공자(孔子)맹자(孟子)가 있다. 공자는 춘추시대(春秋時代)의 어지러운 사회를 바로잡으려고 천하를 주유(周遊)하면서 인(仁)예(禮)를 설하였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고향에 돌아와 육경(六經:詩·書·禮·樂·易·春秋)을 제자에게 가르치며 도리(道理)를 후세에 전하였다.
  • 선진시대(先秦時代)에 이르러 유학은 도덕 실천의 학으로서 크게 일어났으나, 시황제(始皇帝)의 분서갱유(焚書坑儒)로 큰 시련을 겪은 다음 한·당대(漢唐代)에는 경전(經典)을 수집·정리하고, 그 자구(字句)에 대한 주(注)와 해석을 주로 하는 소위 훈고학(訓學)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송·명 시대에 이르러 유학은 정치적 또는 종교적 사회체제의 변화에 따라 노불(老佛) 사상을 가미하면서 이론적으로 심화되고 철학적인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 즉, 북송(北宋)의 정호(程顥)는 천리(天理)를 논하였고 그 아우 정이(程)는 ‘성즉리(性卽理)’의 학설을 폈으며, 그 밖에 주돈이(周敦頤)·장재(張載)·소옹(邵雍) 등이 여러 학설을 편 것을 남송(南宋)의 주희(朱熹:朱子)가 집성(集成)·정리하여 철학의 체계를 세운 것이 성리학으로, 일명 주자학(朱子學)이라고도 한다. 한편, 이와는 달리 육상산(陸象山)은 ‘심즉리(心卽理)’를 주장하였는데, 이것을 왕양명(王陽明)이 계승하여 육왕학(陸王學)을 정립, 이것 역시 성리학이라 하나 대개의 경우는 성리학이라 하면 주자학을 가리킨다.
  • 성리학은 (理)·(氣)의 개념을 구사하면서 우주(宇宙)의 생성(生成)과 구조(構造), 인간 심성(心性)의 구조, 사회에서의 인간의 자세(姿勢) 등에 관하여 깊이 사색함으로써 한·당의 훈고학이 다루지 못하였던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내성적(內省的)·실천철학적인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유학사상을 수립하였다. 그 내용은 크게 나누어 태극설(太極說)·이기설(理氣說)·심성론(心性論)·성경론(誠敬論)으로 구별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성리학

201310212 이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