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석탄역사체험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32번째 줄: 32번째 줄:
  
 
* 강원랜드와 탄광에서 일하던 광부들이 포함된 사북읍 번영회가 공동으로 탄광문화관광촌을 지속적으로 조성중에 있으며 현재는 1차로 사북석탄유물보존관 및 탄광역사체험장(갱도 열차체험) 등을 관광객들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있다.
 
* 강원랜드와 탄광에서 일하던 광부들이 포함된 사북읍 번영회가 공동으로 탄광문화관광촌을 지속적으로 조성중에 있으며 현재는 1차로 사북석탄유물보존관 및 탄광역사체험장(갱도 열차체험) 등을 관광객들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있다.
 +
 +
=='''관련 사실'''==
 +
===사북탄광 노사분규===
 +
1980년 4월21일 사북 탄광 노조들은 임금 인상을 위한 농성에 들어갔다. 이를 진압하러 나선 경찰과 맞서는 과정에서 4명의 광부들이 경찰의 지프에 치이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리고 이에 흥분한 광부들에 의해 한 명의 경찰이 사망하였으며, 광부들이 사북 지역을 장악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4월 24일 정부 측 대책위원들과 노동자 대표들의 합의가 이루어져 사태가 해결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2주 후 합동수사본부는 70여 명의 광부와 부녀자들을 연행하고, 25명을 군법회의에 회부했다. 사건이 발생한 지 30년이 지났지만, 당시의 진상은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지지 않고 있다. <ref>"[http://news.joins.com/article/4129440 그때오늘]" 중앙일보 </ref>
  
 
=='''관련 사이트'''==
 
=='''관련 사이트'''==
41번째 줄: 45번째 줄:
 
임승수, 『사북탄광』, 오늘의문학사, 2016
 
임승수, 『사북탄광』, 오늘의문학사, 2016
  
 
+
=='''주석'''==
 
+
<references/>
[[분류:사북 석탄 역사 체험관]]
+
[[분류:류정민]]
+

2017년 4월 6일 (목) 06:26 판


개요

강원도 정선 소재 국내 최대 규모의 석탄역사 체험터. 폐광된 사북탄광을 관광자원으로 개발한 곳. 해 지하 암반 굴착 장비, 적재장비, 운반 장비 등을 전시.

사북.JPG

위치

구성

사북석탄유물보존관

  • 강원도 정선에 있는 사북석탄유물보존관은 국내 최대 규모의 석탄역사 체험터이다. 폐광된 사북탄광을 관광자원으로 해 지하 암반 굴착 장비, 적재장비, 운반 장비 등을 전시하여 광부들의 실생활을 엿볼 수 있도록 했다.
  • 사북탄광은 1950년대에 개발을 시작해 2004년 폐광될 때까지 재직 광원이 6,300명에 이르고 1987년 석탄생산이 200만 톤을 넘었을 정도로 규모가 큰 탄광이었다.
  • 사북석탄유물보존관 1층에는 광부들의 샤워실, 보안장비실, 채탄장비실, 사진전 외 14실이 있고, 2층에는 광부복장체험 안전등실, 도면실, 문서자료실 외 9실로 구성되어 있다. 야외에는 광산정비전시장, 광부인차탑승체험장, 경석장, 영상실 등이 있다. 특히 실제 폐광을 입갱할 수 있는 광부인차 탑승 체험은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사북은 매년 석탄문화제로 고장의 역사를 널리 알리고 있다.

사북 탄광 문화 관광촌

  • 1962년부터 2004년까지 석탄을 캐던 동양 최대의 민영탄광인 동원탄좌가 폐광된 이후 관광객에게 공개되고 있는 곳이다. 당시의 샤워실, 채탄 장비실, 세화실 및 광산 장비 등 폐광된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어 현장감과 사실감을 느낄 수 있다.
  • 강원랜드와 탄광에서 일하던 광부들이 포함된 사북읍 번영회가 공동으로 탄광문화관광촌을 지속적으로 조성중에 있으며 현재는 1차로 사북석탄유물보존관 및 탄광역사체험장(갱도 열차체험) 등을 관광객들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있다.

관련 사실

사북탄광 노사분규

1980년 4월21일 사북 탄광 노조들은 임금 인상을 위한 농성에 들어갔다. 이를 진압하러 나선 경찰과 맞서는 과정에서 4명의 광부들이 경찰의 지프에 치이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리고 이에 흥분한 광부들에 의해 한 명의 경찰이 사망하였으며, 광부들이 사북 지역을 장악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4월 24일 정부 측 대책위원들과 노동자 대표들의 합의가 이루어져 사태가 해결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2주 후 합동수사본부는 70여 명의 광부와 부녀자들을 연행하고, 25명을 군법회의에 회부했다. 사건이 발생한 지 30년이 지났지만, 당시의 진상은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지지 않고 있다. [1]

관련 사이트

참고문헌

임승수, 『사북탄광』, 오늘의문학사, 2016

주석

  1. "그때오늘"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