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차 문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4번째 줄: 4번째 줄:
 
==고려시대의 차 문화==
 
==고려시대의 차 문화==
  
===불교와 함께 전개된 고려시대 차문화===
+
===불교와 함께 전개된 고려시대 차 문화===
 
고려시대에 행해졌던 진찬의례에 의해, 고려시대는 차문화의 르네상스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연등회(燃燈會)와 팔관회(八關會)때 진차(進茶)예식이 빠지지 않은 것도 그만큼 차가 고려 때 성행하였다는 증거다. 진차란 주과식선을 올리기 전에 임금께서 먼저 차를 명하시면 시신(侍臣)이 곧 차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이때 접려관이 전(殿)을 향하여 잡수십사하고 국궁하여 권한다. 이때 임금께서는 반드시 태자(太子)이하 시신에게 차를 하사하심이 정례가 되었다.
 
고려시대에 행해졌던 진찬의례에 의해, 고려시대는 차문화의 르네상스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연등회(燃燈會)와 팔관회(八關會)때 진차(進茶)예식이 빠지지 않은 것도 그만큼 차가 고려 때 성행하였다는 증거다. 진차란 주과식선을 올리기 전에 임금께서 먼저 차를 명하시면 시신(侍臣)이 곧 차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이때 접려관이 전(殿)을 향하여 잡수십사하고 국궁하여 권한다. 이때 임금께서는 반드시 태자(太子)이하 시신에게 차를 하사하심이 정례가 되었다.
  
28번째 줄: 28번째 줄:
  
  
===고려청자와 고려시대 차문화===
+
===고려청자와 고려시대 차 문화===
 
고려 인종원년(1123)에 송나라 사적단으로 교려에 왔던 서긍(徐兢,1091~1153)이 남긴 『선화봉사 고려도경(宣和奉使 高麗圖經)』이라는 책의 차조(茶組)편에 “토산차는 맛이 쓰고 떫어 입에 넣을 수 없다”고 고려차를 폄하한 글이 실려 있다. 또 그는 고려인은 오직 중국의 납차(臘茶)와 용봉사단을 귀하게 여겨 송나라에서 구입하는 사람이 많다고 기록했다. 그는 다시 나가다구를 적어 놓았는데 “근래에 고려인들은 차 마시기를 기뻐하며 더욱 다구를 다스려 금화오잔(황금의 검은 잔)과 비색소구(靑磁茶碗)와 은로(銀爐)와 물 끓이는 소부가 모두 중국제를 본떴다고 하였다. 이로보아 고려 때에 은 다음의 발달은 비색소구와 금화오잔과 고려자기 발달에 촉진제가 되었던 것 같다.
 
고려 인종원년(1123)에 송나라 사적단으로 교려에 왔던 서긍(徐兢,1091~1153)이 남긴 『선화봉사 고려도경(宣和奉使 高麗圖經)』이라는 책의 차조(茶組)편에 “토산차는 맛이 쓰고 떫어 입에 넣을 수 없다”고 고려차를 폄하한 글이 실려 있다. 또 그는 고려인은 오직 중국의 납차(臘茶)와 용봉사단을 귀하게 여겨 송나라에서 구입하는 사람이 많다고 기록했다. 그는 다시 나가다구를 적어 놓았는데 “근래에 고려인들은 차 마시기를 기뻐하며 더욱 다구를 다스려 금화오잔(황금의 검은 잔)과 비색소구(靑磁茶碗)와 은로(銀爐)와 물 끓이는 소부가 모두 중국제를 본떴다고 하였다. 이로보아 고려 때에 은 다음의 발달은 비색소구와 금화오잔과 고려자기 발달에 촉진제가 되었던 것 같다.
 
고려청자의 탄생은 고려차문화의 발달에 의해 기인되었음을 알 수가 있겠다.
 
고려청자의 탄생은 고려차문화의 발달에 의해 기인되었음을 알 수가 있겠다.
34번째 줄: 34번째 줄: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불교의 차 역사와 전개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승려의 생활), 2005., 한국콘텐츠진흥원)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불교의 차 역사와 전개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승려의 생활), 2005., 한국콘텐츠진흥원)
 +
 +
==기여==
 +
*[[정유정]]: 처음 작성
 +
 +
[[분류:정유정]]
 +
[[분류:한국의 전통차]]
 +
[[분류:나의 인문학 KU 2016]]

2016년 6월 18일 (토) 22:47 판

요약

신라의 茶문화가 귀족과 승려들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면 고려시대의 음다풍은 귀족 및 일반 백성들까지 차를 즐겼다. 고려 때에는 차를 다루는 관청인 다방(茶房)과 차를 재배하는 다소촌(茶所村), 백성을 위한 다점(茶店)이 성행했었다.

고려시대의 차 문화

불교와 함께 전개된 고려시대 차 문화

고려시대에 행해졌던 진찬의례에 의해, 고려시대는 차문화의 르네상스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연등회(燃燈會)와 팔관회(八關會)때 진차(進茶)예식이 빠지지 않은 것도 그만큼 차가 고려 때 성행하였다는 증거다. 진차란 주과식선을 올리기 전에 임금께서 먼저 차를 명하시면 시신(侍臣)이 곧 차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이때 접려관이 전(殿)을 향하여 잡수십사하고 국궁하여 권한다. 이때 임금께서는 반드시 태자(太子)이하 시신에게 차를 하사하심이 정례가 되었다.


차가 성행하면서 사원에서는 물〔水〕과 차(茶)에 밝은 승려도 있었다. 이규보의 시(詩)중에 이런 말이 나온다. “노승들 일도 많다오. 차와 물맛을 평하려 하니” 라는 구절이 이를 말해준다. 특히 고승이 입적하면 임금이 그 덕을 기리면서 차와 향을 내려 위로했다는 기록이 금석문 도처에 나온 것을 보면 당시 차문화가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준다. 또한 고려청자의 발달과 송의 천목다완 등장, 고려 문종의 아들인 대각국사 의천을 통해 송나라와 고려의 차문화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송은 용봉단차를 수입했고 고려는 뇌원차를 송나라로 수출하는데 그 산파역을 했던 의천 대각국사에게 요나라 황제가 제자의 인연을 맺었던 사실이 밝혀졌다. 경기도 풍덕군 덕적산 흥왕사 터에서 발견된 ‘대각국사 묘지명’에는 이런 말이 있다. “요나라(遼) 천우황제가 재차 경책과 차향과 급백 등을 보내와 국사와 스승과 제자의 인연을 맺었다”


송나라 휘종의 『대관다론』에서 용단용병은 천하에 으뜸간다고 칭송할 정도였다. 서긍의 『고려도경』에도 고려의 토산차(土産茶)와 중국의 납차를 비교했는데 토산차는 맛이 쓰고 떫어 입에 넣기가 어렵다고 했고 당시에 오직 귀하게 여긴 것이 용봉사단(龍鳳賜團)이라고 했다. 그 차가 의천을 통해 고려에 성행했으니 의천은 고려차문화 부흥에 산파역을 했음이 분명해진다. 그의 스승에게 차를 준 것에 대한 화답의 시가 다음과 같이 전한다.


북쪽동산에서 새로 말린 차 北苑移新焙

동림에 계신 스님에서 선물했네 東林贈進僧

한가히 차 달일 날을 미리 알고 預知閑煮日

찬 얼음 깨고 샘줄기 찾네 泉脈冷高永


의천은 송 황실로부터 극진한 예우를 받은 뒤 송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뒤 고려에 천태종을 부활하고 선과 천태사상의 진리 속에 다선삼매의 정신세계를 연다. 이처럼 의천은 송나라와 차문화 교류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고려청자와 고려시대 차 문화

고려 인종원년(1123)에 송나라 사적단으로 교려에 왔던 서긍(徐兢,1091~1153)이 남긴 『선화봉사 고려도경(宣和奉使 高麗圖經)』이라는 책의 차조(茶組)편에 “토산차는 맛이 쓰고 떫어 입에 넣을 수 없다”고 고려차를 폄하한 글이 실려 있다. 또 그는 고려인은 오직 중국의 납차(臘茶)와 용봉사단을 귀하게 여겨 송나라에서 구입하는 사람이 많다고 기록했다. 그는 다시 나가다구를 적어 놓았는데 “근래에 고려인들은 차 마시기를 기뻐하며 더욱 다구를 다스려 금화오잔(황금의 검은 잔)과 비색소구(靑磁茶碗)와 은로(銀爐)와 물 끓이는 소부가 모두 중국제를 본떴다고 하였다. 이로보아 고려 때에 은 다음의 발달은 비색소구와 금화오잔과 고려자기 발달에 촉진제가 되었던 것 같다. 고려청자의 탄생은 고려차문화의 발달에 의해 기인되었음을 알 수가 있겠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불교의 차 역사와 전개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승려의 생활), 2005., 한국콘텐츠진흥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