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증동국여지승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Created page with "== Meta Data == * 타입: 문헌 * 한글항목명 : 신증동국여지승람 * 한자항목명 : 新增東國輿地勝覽 * 편자: 자운서원팀 [ht...")
(같은 사용자에 의한 1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정보
+
== Meta Data ==
|대표명칭 = 신증동국여지승람
+
* 타입: 문헌
|지정번호 =  
+
* 한글항목명 : 신증동국여지승람
|지정일 =  
+
* 한자항목명 : 新增東國輿地勝覽
|지정명칭 =  
+
* 편자: [[자운서원팀 KU |자운서원팀]] [http://kadhlab102.com/wiki/index.php/201410325%EC%9E%A5%EC%84%A0%EC%98%81 장선영]
|영문명칭 =
+
----
|분류 = 관찬지리서/목판본
+
|건립·제작 = 이행, 윤은보, 신공제, 홍언필, 이사균
+
|주소 = 미국 클레어몬트 대학
+
|위도 =
+
|경도 =
+
|사진 = Sinjeung.jpg
+
}}
+
==문화유산 해설==
+
1530년(중종 25) 이행(李荇)·윤은보(尹殷輔)·신공제(申公濟)·홍언필(洪彦弼)·이사균(李思鈞) 등이 『동국여지승람』을 증수, 편찬한 책으로,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관찬지리서이다. 원래 『동국여지승람』은 1481년(성종 12) 50권으로 편찬되었는데, 1530년에 속편 5권을 합쳐 전 55권으로 완성, 이에 ‘신증(新增)’의 두자를 삽입하여 간행하였다. 임진왜란을 겪은 뒤 이 책은 더욱 희귀해져 일본 경도대학소장본이 유일하며, 1611년(광해군 3)에 복간한 목판본이 규장각도서 등 국내에 소장되어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0600&cid=46618&categoryId=46618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증동국여지승람"]</ref>
+
<ref>[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itkcdb/text/bookList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g012&gunchaId=&NodeId=&setid=683460 참조: 한국고전종합DB '신증동국여지승람']</ref>
+
  
==아차산과의 관련성==
+
== 내용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 11권 양주목에 '[[아차산|아차산(峩嵯山)]]"이 주 남쪽 67리 지점에 있다"는 기록과, [[아차산 봉수대지|아차산 봉수(峨嵯山烽燧)]]가 "북쪽으로 대이산(大伊山)을 응하고, 서쪽으로 서울 목멱산(木覓山 서울 남산) 첫째 봉을 응한다"는 기록이 있다. 제3권 한성부에서는 '목멱산 봉수(木覓山烽燧)'에 대하여 "동쪽의 첫째 것은 [[양주|양주(楊州)]] [[아차산|아차산(峩嵯山)]]과 응하니, 이것은 함경도와 강원도의 봉화[烽]요.." , 동잠실(東蠶室)에 대하여 "구잠실(舊蠶室)은 성 동쪽 [[아차산|아차산(峨嵯山)]] 아래에 있고, 신잠실(新蠶室)은 [[한강]] 원단동(圓壇洞)에 있는데, 모두 환관(宦官)들이 주관한다."는 기록에서도 [[아차산]]이 언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
구분 : 목판본
또한 [[아차산]] 동쪽 산기슭에  은석사(銀石寺)와 [[대성암|범굴사(梵窟寺)]] 두 개의 절이 있음을 기록하고 있다(俱在峨嵯山東麓). [[대성암|범굴사]]는 지금의 [[대성암]]을 이르며, 은석사는 흔적을 찾을 수 없다.
+
저자 : [[이행 KU |이행]], [[홍언필 KU |홍언필]]
 +
시대 : [[조선 KU |조선]] 중기(1530)
 +
<br/>
 +
<br/>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다. [[성종 KU |성종]] 때 명()의 《[[대명일통지 KU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1462년)가 수입되자 왕이 [[노사신 KU |노사신]]·[[양성지 KU |양성지]]·[[강희맹 KU |강희맹]] 등에 그것을 참고하여 [[세종 KU |세종]] 때의 《[[신찬팔도지리지 KU |신찬팔도지리지]]》를 대본으로 지리서를 편찬케 하였다. 그들은 [[성종 KU |성종]] 12년(1481년)에 50권을 완성하였고, 성종 17년에 다시 증산(增刪)·수정하여 35권을 간행하였다. 그 후 [[연산군 KU |연산군]] 5년에 개수(改修)를 거쳐 [[중종 KU |중종]](中宗) 25년(1530년)에 이행(李荇) 등의 증보판이 나오니 이것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라고 한다. 전55권 55책.
 +
----
  
==관련 항목==
+
== 웹 자원 ==
{|class="wikitable"
+
[http://ko.wikipedia.org/wiki/%EC%8B%A0%EC%A6%9D%EB%8F%99%EA%B5%AD%EC%97%AC%EC%A7%80%EC%8A%B9%EB%9E%8C 위키피디아 신증동국여지승람]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br/>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9216&cid=40942&categoryId=33383 두산백과 신증동국여지승람]
|-
+
----
|신증동국여지승람 || ~에 대한 기록이 있다 || [[아차산]], [[아차산 봉수대지]], [[장한평]]
+
|-
+
|신증동국여지승람 || ~에 만들어졌다 || [[조선|조선시대]]
+
|}
+
  
==주석==
+
[[분류:서원 KU]]
<references/>
+
 
+
==기여==
+
*[[김누리]]: 처음 작성
+
 
+
[[분류:아차산성]][[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

2014년 6월 8일 (일) 13:49 판

Meta Data

  • 타입: 문헌
  • 한글항목명 : 신증동국여지승람
  • 한자항목명 : 新增東國輿地勝覽
  • 편자: 자운서원팀 장선영

내용

구분 : 목판본
저자 : 이행, 홍언필
시대 : 조선 중기(1530)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다. 성종 때 명(明)의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1462년)가 수입되자 왕이 노사신·양성지·강희맹 등에 그것을 참고하여 세종 때의 《신찬팔도지리지》를 대본으로 지리서를 편찬케 하였다. 그들은 성종 12년(1481년)에 50권을 완성하였고, 성종 17년에 다시 증산(增刪)·수정하여 35권을 간행하였다. 그 후 연산군 5년에 개수(改修)를 거쳐 중종(中宗) 25년(1530년)에 이행(李荇) 등의 증보판이 나오니 이것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라고 한다. 전55권 55책.


웹 자원

위키피디아 신증동국여지승람
두산백과 신증동국여지승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