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3번째 줄: 3번째 줄:
  
 
==작품==
 
==작품==
삼국통일의 명장 '''[[김유신]](金庾信, 595~673)'''이 [[화랑]] 시절 수련하던 모습을 표현한 민족기록화이다. 한 무리의 화랑들이 들판을 가로지르고 있다. '''[[화랑도]](花郞徒)'''는 신라시대 화랑을 우두머리로 한 청소년 수련단체로, 교육적·군사적·사교단체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br/>  
+
삼국통일의 명장 '''[[김유신]](金庾信, 595~673)'''이 [[화랑]] 시절 수련하던 모습을 표현한 민족기록화이다. 한 무리의 화랑들이 들판을 가로지르고 있다. <br/>
[[화랑도]]는 승려 한 명과 [[화랑]] 한 명, [[화랑]]을 따르는 다수의 낭도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백마를 탄 [[화랑]] [[김유신]]을 제외한 사람들은 [[화랑]]이 아닌 일반 낭도들일 것이다. 그에 맞게 복식과 마구(馬具) 장식 등에 차이가 있다. 다만 자색 옷을 입은 [[김유신]] 양 옆의 인물들은 청색 옷을 입고 있는데, 어느 정도 직위가 있는 보좌 격의 인물들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br/>
+
'''[[화랑도]](花郞徒)'''는 신라시대 화랑을 우두머리로 한 청소년 수련단체로, 교육적·군사적·사교단체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br/>  
신라는 관등(官等)에 따라 복식의 빛깔을 제한하였는데, 12관등까지는 황색만 허용되나 10관등은 여기에 청색이 추가되고, 6관등은 비색이 추가되며, 자색 옷은 진골 귀족이면서 1관등~5관등의 관료만 착용할 수 있었다. 본 그림에서는 인물들의 관등을 철저히 고증하여 반영하였다기보다는 단순히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고자 이 같은 색깔을 사용한 듯하다.
+
[[화랑도]]는 승려 한 명과 [[화랑]] 한 명, [[화랑]]을 따르는 다수의 낭도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백마를 탄 [[화랑]] [[김유신]]을 제외한 사람들은 [[화랑]]이 아닌 일반 낭도들일 것이다. <br/>
 +
그에 맞게 복식과 마구(馬具) 장식 등에 차이가 있다. 다만 자색 옷을 입은 [[김유신]] 양 옆의 인물들은 청색 옷을 입고 있는데, 어느 정도 직위가 있는 보좌 격의 인물들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br/>
 +
신라는 관등(官等)에 따라 복식의 빛깔을 제한하였는데, 12관등까지는 황색만 허용되나 10관등은 여기에 청색이 추가되고, 6관등은 비색이 추가되며, 자색 옷은 진골 귀족이면서 1관등~5관등의 관료만 착용할 수 있었다. <br/>
 +
본 그림에서는 인물들의 관등을 철저히 고증하여 반영하였다기보다는 단순히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고자 이 같은 색깔을 사용한 듯하다.
  
 
==작가==
 
==작가==
 
정창섭(丁昌燮): 1927~2011. 청주 출생. 서울대 회화과 졸업. 서울대 미대 교수 역임. <br/>  
 
정창섭(丁昌燮): 1927~2011. 청주 출생. 서울대 회화과 졸업. 서울대 미대 교수 역임. <br/>  
정창섭은 한국의 현대 화가로, 초기에는 큐비즘 양식을 구사하다가 1957년경부터 앵포르멜(informel 非定形) 경향의 작품을 제작하며 본격적인 추상화 작업을 시작했다. 그는 유화를 수묵화와 같은 기법으로 제작하기도 했으며, 1970년대부터는 한지를 사용한 작품들을 제작하여 한국적 추상화를 만든 작가로 평가 받는다. <br/>
+
정창섭은 한국의 현대 화가로, 초기에는 큐비즘 양식을 구사하다가 1957년경부터 앵포르멜(informel 非定形) 경향의 작품을 제작하며 본격적인 추상화 작업을 시작했다. <br/>
 +
그는 유화를 수묵화와 같은 기법으로 제작하기도 했으며, 1970년대부터는 한지를 사용한 작품들을 제작하여 한국적 추상화를 만든 작가로 평가 받는다. <br/>
 
[[File:정창섭 화가_화랑도의 수련.jpg]]
 
[[File:정창섭 화가_화랑도의 수련.jpg]]
 
   
 
   
 
'''주요작품'''
 
'''주요작품'''
* 귀(歸) - 76 - V(Returning - 76 - V, 1976)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65505&cid=46717&categoryId=46765 귀(歸) - 76 - V(Returning - 76 - V, 1976)]
* 묵고 No.9606(Meditation No.9606, 1996)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67090&cid=46717&categoryId=46765 묵고 No.9606(Meditation No.9606, 1996)]
  
 
==관련 자료==
 
==관련 자료==

2023년 9월 15일 (금) 13:57 판

정창섭 「화랑도의 수련」 1977

작품

삼국통일의 명장 김유신(金庾信, 595~673)화랑 시절 수련하던 모습을 표현한 민족기록화이다. 한 무리의 화랑들이 들판을 가로지르고 있다.
화랑도(花郞徒)는 신라시대 화랑을 우두머리로 한 청소년 수련단체로, 교육적·군사적·사교단체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화랑도는 승려 한 명과 화랑 한 명, 화랑을 따르는 다수의 낭도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백마를 탄 화랑 김유신을 제외한 사람들은 화랑이 아닌 일반 낭도들일 것이다.
그에 맞게 복식과 마구(馬具) 장식 등에 차이가 있다. 다만 자색 옷을 입은 김유신 양 옆의 인물들은 청색 옷을 입고 있는데, 어느 정도 직위가 있는 보좌 격의 인물들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는 관등(官等)에 따라 복식의 빛깔을 제한하였는데, 12관등까지는 황색만 허용되나 10관등은 여기에 청색이 추가되고, 6관등은 비색이 추가되며, 자색 옷은 진골 귀족이면서 1관등~5관등의 관료만 착용할 수 있었다.
본 그림에서는 인물들의 관등을 철저히 고증하여 반영하였다기보다는 단순히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고자 이 같은 색깔을 사용한 듯하다.

작가

정창섭(丁昌燮): 1927~2011. 청주 출생. 서울대 회화과 졸업. 서울대 미대 교수 역임.
정창섭은 한국의 현대 화가로, 초기에는 큐비즘 양식을 구사하다가 1957년경부터 앵포르멜(informel 非定形) 경향의 작품을 제작하며 본격적인 추상화 작업을 시작했다.
그는 유화를 수묵화와 같은 기법으로 제작하기도 했으며, 1970년대부터는 한지를 사용한 작품들을 제작하여 한국적 추상화를 만든 작가로 평가 받는다.
정창섭 화가 화랑도의 수련.jpg

주요작품

관련 자료

화랑도 관련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