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901A.episod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Synopsis== | ==Synopsis== | ||
− | 1854년 미국에 의해 | + | 19세기 서양은 근대화를 이루고, '유럽공법'이라는 문명국 간의 법에 의거한 국제사회를 형성하고 있었다.<ref>김용구, 『세계관 충돌의 국제정치학―동양 禮와 서양 公法』, 나남출판, 1997, 49쪽.</ref> 이 유럽적인 공법은 중국에서 활동하던 미국인 선교사 월리엄 마틴(William A. P. Martin, 丁韙良, 1827∼1916)이 1864년 미국의 국제법 저서 『국제법 원리, 국제법학사 개요 첨부』를 한역(漢譯)하여 출판하면서 ‘만국공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ref>조성윤, ‘만국공법(萬國公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9.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6389</ref> 그렇게 함으로써 이 공법이 온 세계만국에 적용되는 것으로 착각하게 만들었다.<ref>이경미, 『제복의 탄생』, 민속원, 2012, 37쪽.</ref> |
+ | 이러한 배경으로 일본은 1854년 미국에 의해 개항하여 불평등조약을 맺었고, 1868년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근대화를 이룬다. 이들은 대규모 사절단을 서양에 파견하고, 그들의 서구세계 경험에 의거하여 서구식 대례복을 제정하게 된다.<ref>이경미, 『제복의 탄생』, 민속원, 2012, 44쪽.</ref> | ||
==Storytelling Network== | ==Storytelling Network== |
2022년 4월 26일 (화) 15:02 판
#Links E0-901A 미일수호통상조약 hasContextualElement E0-901A 메이지_유신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이와쿠라_사절단_파견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사진-이와쿠라_사절단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사진-이와쿠라_사절단의_미국_대통령_회견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사진-이와쿠라_사절단의_프랑스_대통령_회견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일본_서구식_문관대례복_제정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일본_서구식_문관대례복_개정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일본_시종직_식부직_대례복_제정 hasContextualElement E0-901A 판화-일본박람회-021003991 hasContextualElement #End
Theme
Episode 1: 일본의 서구식 대례복 제정
Synopsis
19세기 서양은 근대화를 이루고, '유럽공법'이라는 문명국 간의 법에 의거한 국제사회를 형성하고 있었다.[1] 이 유럽적인 공법은 중국에서 활동하던 미국인 선교사 월리엄 마틴(William A. P. Martin, 丁韙良, 1827∼1916)이 1864년 미국의 국제법 저서 『국제법 원리, 국제법학사 개요 첨부』를 한역(漢譯)하여 출판하면서 ‘만국공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2] 그렇게 함으로써 이 공법이 온 세계만국에 적용되는 것으로 착각하게 만들었다.[3] 이러한 배경으로 일본은 1854년 미국에 의해 개항하여 불평등조약을 맺었고, 1868년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근대화를 이룬다. 이들은 대규모 사절단을 서양에 파견하고, 그들의 서구세계 경험에 의거하여 서구식 대례복을 제정하게 된다.[4]
Storytelling Network
- ↑ 김용구, 『세계관 충돌의 국제정치학―동양 禮와 서양 公法』, 나남출판, 1997, 49쪽.
- ↑ 조성윤, ‘만국공법(萬國公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9.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6389
- ↑ 이경미, 『제복의 탄생』, 민속원, 2012, 37쪽.
- ↑ 이경미, 『제복의 탄생』, 민속원, 2012, 4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