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향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영문)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5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지정일 = 1971년 8월 26일 | |지정일 = 1971년 8월 26일 | ||
|지정명칭 = 제주향교 | |지정명칭 = 제주향교 | ||
− | |한자명칭 = | + | |한자명칭 = 濟州鄕校 |
− | |영문명칭 = | + | |영문명칭 = Je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
|분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 |분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 ||
|건립·제작 = 조선시대 | |건립·제작 = 조선시대 |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1동 298번지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1동 298번지 | ||
|사진 = 제주향교전경.jpg | |사진 = 제주향교전경.jpg | ||
− | |웹사이트 = | + | |웹사이트 = |
}} | }}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영문=== | ===영문=== | ||
− | + | Jeju Hyanggyo is a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established for the educ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he rituals to Confucius and other former saints. It was established in Gyodong, Jeju Province in the first year of King Taejo's reign of Joseon (1392), and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in the 27th year of King Sunjo (1827). The remaining buildings include Myeongnyundang, a study site, Daesungjeon and Gyeseongsa shrine. Myeongnyundang used to be a beautiful building, but it is now rebuilt with concrete. The shrine houses the memorial tablets of Confucius and other saints.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 Hyanggyo received land, books, and slaves from the state to teach students, but now it is only attending rituals after the Gabo Reform (1894). | |
=='''상세'''== | =='''상세'''== | ||
− | ==='''대성전'''=== | + | ==='''[[제주향교 대성전 | 대성전]]'''=== |
[[파일:제주향교대성전.jpg|제주향교 대성전]]<br> | [[파일:제주향교대성전.jpg|제주향교 대성전]]<br> | ||
문묘(文廟)의 시설 가운데 공자(孔子)의 위판(位版)을 봉안한 전각. | 문묘(文廟)의 시설 가운데 공자(孔子)의 위판(位版)을 봉안한 전각.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동영상'''=== | ==='''동영상'''===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Hlg00X5-pio"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 | |||
=='''관련 사이트'''== | =='''관련 사이트'''== |
2019년 4월 25일 (목) 15:46 기준 최신판
제주향교 | |
---|---|
지정 번호 |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2호 |
지정일 | 1971년 8월 26일 |
지정 명칭 | 제주향교 |
한자 명칭 | 濟州鄕校 |
영문 명칭 | Je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
분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
건립·제작 | 조선시대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1동 298번지 |
위도 | |
경도 | |
웹사이트 |
개관
국문[1]
제주향교는 공자를 비롯한 옛 성현들에게 제사지내고 지방민의 교육을 위해 세운 국립교육기관이다. 조선 태조 원년(1392) 제주성내 교동에 세웠으며 순조 27년(1827)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오늘에 이른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로는 공부하는 곳인 명륜당, 사당인 대성전과 계성사 등이 있다. 명륜당은 원래 아름다운 건물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콘크리트로 다시 지었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여러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책, 노비 등을 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 지금은 제사만 지내고 있다.
영문
Jeju Hyanggyo is a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established for the educ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he rituals to Confucius and other former saints. It was established in Gyodong, Jeju Province in the first year of King Taejo's reign of Joseon (1392), and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in the 27th year of King Sunjo (1827). The remaining buildings include Myeongnyundang, a study site, Daesungjeon and Gyeseongsa shrine. Myeongnyundang used to be a beautiful building, but it is now rebuilt with concrete. The shrine houses the memorial tablets of Confucius and other saints.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 Hyanggyo received land, books, and slaves from the state to teach students, but now it is only attending rituals after the Gabo Reform (1894).
상세
대성전
문묘(文廟)의 시설 가운데 공자(孔子)의 위판(位版)을 봉안한 전각.
명륜당
향교에 부설되어 있는 강학당(講學堂).
‘명륜(明倫)’이란 인간사회의 윤리를 밝힌다는 뜻으로, 『맹자』 등문공편(滕文公篇)에 “학교를 세워 교육을 행함은 모두 인륜을 밝히는 것이다.”라 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
사진
동영상
관련 사이트
참고문헌
출처
- ↑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2_1_0&ccbaCpno=2113900020000#
답사 후기
기여
역할 | 이름 | 전공 |
정리 | 최여명 | 한국문화학 |
편집 | 최여명 | 한국문화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