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역사문화 주제 탐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5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2번째 줄: 2번째 줄:
 
'''주제 : 강화도 고려산의 다섯 개의 연꽃 사찰 (五蓮寺)'''
 
'''주제 : 강화도 고려산의 다섯 개의 연꽃 사찰 (五蓮寺)'''
  
'''주요 노드''' :
+
===주요 노드===
 
* 사찰 : 백련사, 청련사 및 원통암, 적석사
 
* 사찰 : 백련사, 청련사 및 원통암, 적석사
 
* 지형 : 고려산
 
* 지형 : 고려산
10번째 줄: 10번째 줄:
 
* 인물 : 천축조사
 
* 인물 : 천축조사
  
'''전설에 대한 기록'''
+
===전설에 대한 기록===
* 다섯 개의 연사(蓮寺)가 있었던 것은 1696년 강도지에 처음 언급됨
+
* 다섯 개의 연사(蓮寺)가 있었던 것은 1696년 『강도지』에 처음 언급됨
 
** 청련(靑蓮), 홍련(紅蓮), 벽련(碧蓮), 백련(白蓮), 자련(紫蓮)  
 
** 청련(靑蓮), 홍련(紅蓮), 벽련(碧蓮), 백련(白蓮), 자련(紫蓮)  
*** 1783 강화부지 : 홍련(紅蓮)--> 적련(赤蓮)
+
*** 1783 『강화부지』 : 홍련(紅蓮) --> 적련(赤蓮)
*** 이후 1932 숙수증보강도지 : 벽련(碧蓮) --> 흑련(黑蓮), 자련(紫蓮) --> 황련(黃蓮)
+
*** 1932 『숙수증보강도지』 : 벽련(碧蓮) --> 흑련(黑蓮), 자련(紫蓮) --> 황련(黃蓮)
* 전설은 1783년 강화부지에 처음 언급됨;
+
* 전설은 1783년 『강화부지』에 처음 언급됨;
 
**'오색의 연꽃'
 
**'오색의 연꽃'
 
** "이곳에 붉은 연꽃이 떨어지면 그이름을 적련사라 하였고, 흰 연꽃이면 또한 백련사라 하였다 한다. 그리하여 국정사의 동쪽에는 청련사의 터가 있는데..."
 
** "이곳에 붉은 연꽃이 떨어지면 그이름을 적련사라 하였고, 흰 연꽃이면 또한 백련사라 하였다 한다. 그리하여 국정사의 동쪽에는 청련사의 터가 있는데..."
* '416년'은 1905년 백련사중건기에 처음 언급됨  
+
* 전설이 이루어진 정확한 연도 '416년'은 1905년 『백련사중건기』에 처음 언급됨
 
+
  
 +
===노드 리스트===
 
{|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 No. || Class || Node
 
! No. || Class || Node
209번째 줄: 209번째 줄:
 
|}
 
|}
  
 +
===관계 리스트===
  
 
'''백련사 안내판 동사'''
 
'''백련사 안내판 동사'''
238번째 줄: 239번째 줄:
 
#보여주다
 
#보여주다
 
#지정되다
 
#지정되다
 
  
 
'''적석사 안내판 동사'''
 
'''적석사 안내판 동사'''
255번째 줄: 255번째 줄:
 
#힘쓰다
 
#힘쓰다
 
#새롭게 중건 복원하다
 
#새롭게 중건 복원하다
 +
 +
===규장각 자료===
 +
*[http://kostma.aks.ac.kr/e-map/mapSearch_AN.aspx?mType=anArena&sType=anSearch&sWord= 고지도 --> 강화]
 +
• 기전영사례(畿甸營事例)
 +
• 1782년 강화부(江華府) 호장(戶長) 이(李) 기장관안(衹狀官案)
 +
• 1796년 김준기(金俊起) 차첩(差帖)
 +
• 상서(上書) 초(草)
 +
• 계사년 유생(儒生) 곽성묵(郭性黙) 상서(上書)
 +
• 갑신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단자(單子)
 +
• 계축년 화민(化民) 유학(幼學) 황호순(黃浩淳) 원정(原情)
 +
• 1865년 이인기(李寅蘷) 장계(狀啓) 초(抄)
 +
• 1803년 강화부유수(江華府留守) 관(關)
 +
• 초사(招辭)
 +
• 초사(招辭)
 +
• 입안(立案)
 +
• 1752년 유학(幼學) 황운조(黃運祚) 조흘첩(照訖帖)
 +
• 1754년 유학(幼學) 황운조(黃運祚) 조흘첩(照訖帖)
 +
• 1759년 유학(幼學) 황운조(黃運祚) 조흘첩(照訖帖)
 +
• 1763년 유학(幼學) 황운조(黃運祚) 조흘첩(照訖帖)
 +
• 1786년 황운조(黃運祚) 준호구(準戶口)
 +
• 1789년 황운조(黃運祚) 준호구(準戶口)
 +
• 1792년 황운조(黃運祚) 준호구(準戶口)
 +
• 1804년 황면충(黃勉忠) 준호구(準戶口)
 +
• 1811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조흘첩(照訖帖)
 +
• 1816년 황면충(黃勉忠) 준호구(準戶口)
 +
• 1819년 황면충(黃勉忠) 준호구(準戶口)
 +
• 1819년 황면충(黃勉忠) 호구단자(戶口單子)
 +
• 1820년 유학(幼學) 황호순(黃浩淳) 조흘첩(照訖帖)
 +
• 1828년 황면충(黃勉忠) 준호구(準戶口)
 +
• 1831년 황면충(黃勉忠) 준호구(準戶口)
 +
• 1834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 1834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준호구(準戶口)
 +
• 1837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 1840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 1843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 1846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 1849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 1852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 1855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 1858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 1877년 유학(幼學) 황기인(黃璣仁) 조흘첩(照訖帖)
 +
• 1879년 유학(幼學) 황기인(黃璣仁) 호구단자(戶口單子)
 +
• 1879년 유학(幼學) 황면기(黃勉基) 준호구(準戶口)
 +
• 1881년 유학(幼學) 황기인(黃璣仁) 조흘첩(照訖帖)
 +
• 1884년 유학(幼學) 황기인(黃璣仁) 조흘첩(照訖帖)
 +
• 1890년 유학(幼學) 황명희(黃明熙) 조흘첩(照訖帖)
 +
• 1894년 유학(幼學) 황기인(黃璣仁) 준호구(準戶口)
 +
• 1726년 진사(進士) 황상경(黃尙敬)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 신해년 강화부(江華府) 유수 선생안(留守先生案)
 +
• 무신년 강화(江華) 각목장(各牧場) 마자식모색(馬孳息毛色) 검사론(儉奢論)
 +
• 김준기(金俊起) 차첩(差帖)
 +
• 1803년 김준기(金俊起) 관(關)
 +
• 강화부지(江華府志)
 +
• 속수증보강도지(續修增補江都志)
 +
• 어제훈서(御製訓書)
 +
• 1607년 양인(良人) 신직남(辛直男)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2019년 4월 9일 (화) 12:17 기준 최신판

린지

주제 : 강화도 고려산의 다섯 개의 연꽃 사찰 (五蓮寺)

주요 노드

  • 사찰 : 백련사, 청련사 및 원통암, 적석사
  • 지형 : 고려산
  • 전설 : 오련사 전설
  • 기록 : 적석사 사적비, 강도지, 강화부지
  • 사건 : 몽골 침략, 병자호란, 병인양요
  • 인물 : 천축조사

전설에 대한 기록

  • 다섯 개의 연사(蓮寺)가 있었던 것은 1696년 『강도지』에 처음 언급됨
    • 청련(靑蓮), 홍련(紅蓮), 벽련(碧蓮), 백련(白蓮), 자련(紫蓮)
      • 1783 『강화부지』 : 홍련(紅蓮) --> 적련(赤蓮)
      • 1932 『숙수증보강도지』 : 벽련(碧蓮) --> 흑련(黑蓮), 자련(紫蓮) --> 황련(黃蓮)
  • 전설은 1783년 『강화부지』에 처음 언급됨;
    • '오색의 연꽃'
    • "이곳에 붉은 연꽃이 떨어지면 그이름을 적련사라 하였고, 흰 연꽃이면 또한 백련사라 하였다 한다. 그리하여 국정사의 동쪽에는 청련사의 터가 있는데..."
  • 전설이 이루어진 정확한 연도 '416년'은 1905년 『백련사중건기』에 처음 언급됨

노드 리스트

No. Class Node
1 사찰 백련사
2 사찰 청련사(국정 아랫절)
3 사찰 적석사(적련사)
4 사찰 황련사
5 사찰 흑련사
6 사찰 원통암(국정 윗절)
7 지형 고려산(오련산)
8 지형 오련지
9 시대 고려
10 시간 고구려 장수왕 4년 병진년(416)
11 인물 장수왕
12 인물 천축조사
13 개념 오방색
14 식물, 개념 연꽃
15 시간 조선 순조 20년(1821)
16 인물 포겸 스님
17 건축물 청련사 큰 법당
18 시간 1979
19 문화유산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보물 제1787호)
20 시간 13세기 고려
21 묘사 13세기 고려 불상의 조형적, 양식적 특성
22 사건 몽골의 침략
23 시간 1232~1270 사이
24 묘사 고려 불교미술이 추구했던 우아하고 세련된 아름다움
25 묘사 완성도 높은
26 시간 2012
27 문화유산, 식물 (청련사) 보호수 4-9-11 느티나무
28 시간 조선 순조 6년 병인년(1806) 3월
29 인물 처활대사
30 문화유산 처활대사의 사리비
31 문화유산 처활대사의 부도탑
32 시간 조선 고종 광무9년 을미년(1905) 봄
33 인물 인암화상
34 건축물 백련사 본 가람
35 시간 1967 장미년 본
36 인물 비구니 한성탐
37 건축물 백련사 극락전
38 건축물 백련사 삼성각
39 시간 1983
40 사건 도로 불사
41 시간 1986
42 문화유산 백련사 범종
43 문화유산 (백련사) 철불아미타불좌상(보물 제995호)
44 시간 1989
45 시간 2006~2007
46 개념 기록
47 문화유산, 기록 팔만대장경
48 기록 강화부지(1783, 김노진)
49 기록 전등사본말사지(1942, 안진호)
50 기록 강도지(1696, 이형상)
51 묘사 고려산 서쪽 낙조봉 아래
52 건축물, 지형 적석사 우물
53 묘사 맑고 깨끗하고 차고 달다
54 묘사 나라에 재난이 다가오면 물이 마르거나 탁해져 마실 수 없다
55 묘사 명승고적으로 유명한 곳
56 묘사 일물의 경관이 빼어나
57 장소 적석사 낙조
58 개념 강도팔명
59 시간 1998년 8월
60 개념 수해
61 시간 2015
62 건축물 적석사 대웅전
63 묘사 예로부터
64 인물 서산대사
65 인물 취허환열
66 인물 석주 권필
67 사건 병인양요
68 건축물 장년전
69 문화유산 영조 어진
70 문화유산 숙조 어진
71 문화유산 권필 유허비
72 기록, 문화유산 적석사 사적비(1714)
73 시간 1714
74 시간 1866
75 시간 1905
76 인물 김노진
77 기록 해동지도(1750)
78 기관 보창학교
79 인물 이동휘
80 인물 최아무개
81 개념 승려
82 개념 강화지위대
83 인물 정명공주 (선조의 딸)
84 사건 병자호란
85 시간 1761
86 인물 윤기
87 기록 무명자집(1761, 윤기)
88 기록 백련사중건기(1905, 혜안)
89 기록 심도기행(1906, 고재형)
90 기록 속수증보강도지(1932, 박헌용)
91 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92 기록 여지도서 강도부지(1760)

관계 리스트

백련사 안내판 동사

  1. 답사하다
  2. 피어 있다
  3. 발견하다
  4. 채취하여 공중에 날려
  5. 세우다
  6. 걸립되다
  7. 중건케하다
  8. 중수하다
  9. 조성하다
  10. 지정되다
  11. 개축되다
  12. 에 의하다
  13. 봉안되다

청련사 안내판 동사

  1. 찾다
  2. 올라
  3. 중수하다
  4. 날다, 퇴락하다
  5. 새로 짓다
  6. 따고 있다
  7. 피하다
  8. 천도하다
  9. 모시다
  10. 추정되다
  11. 보여주다
  12. 지정되다

적석사 안내판 동사

  1. 날리다
  2. 떨어지다
  3. 창건하다
  4. 짓다
  5. 바뀌다
  6. 에 의하다
  7. 있다
  8. 라고 한다
  9. 선입되다
  10. 기록되다
  11. 것으로 보아
  12. 큰 피해를 입다
  13. 힘쓰다
  14. 새롭게 중건 복원하다

규장각 자료

• 기전영사례(畿甸營事例) • 1782년 강화부(江華府) 호장(戶長) 이(李) 기장관안(衹狀官案) • 1796년 김준기(金俊起) 차첩(差帖) • 상서(上書) 초(草) • 계사년 유생(儒生) 곽성묵(郭性黙) 상서(上書) • 갑신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단자(單子) • 계축년 화민(化民) 유학(幼學) 황호순(黃浩淳) 원정(原情) • 1865년 이인기(李寅蘷) 장계(狀啓) 초(抄) • 1803년 강화부유수(江華府留守) 관(關) • 초사(招辭) • 초사(招辭) • 입안(立案) • 1752년 유학(幼學) 황운조(黃運祚) 조흘첩(照訖帖) • 1754년 유학(幼學) 황운조(黃運祚) 조흘첩(照訖帖) • 1759년 유학(幼學) 황운조(黃運祚) 조흘첩(照訖帖) • 1763년 유학(幼學) 황운조(黃運祚) 조흘첩(照訖帖) • 1786년 황운조(黃運祚) 준호구(準戶口) • 1789년 황운조(黃運祚) 준호구(準戶口) • 1792년 황운조(黃運祚) 준호구(準戶口) • 1804년 황면충(黃勉忠) 준호구(準戶口) • 1811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조흘첩(照訖帖) • 1816년 황면충(黃勉忠) 준호구(準戶口) • 1819년 황면충(黃勉忠) 준호구(準戶口) • 1819년 황면충(黃勉忠) 호구단자(戶口單子) • 1820년 유학(幼學) 황호순(黃浩淳) 조흘첩(照訖帖) • 1828년 황면충(黃勉忠) 준호구(準戶口) • 1831년 황면충(黃勉忠) 준호구(準戶口) • 1834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1834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준호구(準戶口) • 1837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1840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1843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1846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1849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1852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1855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1858년 유학(幼學) 황윤종(黃潤鍾) 호구단자(戶口單子) • 1877년 유학(幼學) 황기인(黃璣仁) 조흘첩(照訖帖) • 1879년 유학(幼學) 황기인(黃璣仁) 호구단자(戶口單子) • 1879년 유학(幼學) 황면기(黃勉基) 준호구(準戶口) • 1881년 유학(幼學) 황기인(黃璣仁) 조흘첩(照訖帖) • 1884년 유학(幼學) 황기인(黃璣仁) 조흘첩(照訖帖) • 1890년 유학(幼學) 황명희(黃明熙) 조흘첩(照訖帖) • 1894년 유학(幼學) 황기인(黃璣仁) 준호구(準戶口) • 1726년 진사(進士) 황상경(黃尙敬)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신해년 강화부(江華府) 유수 선생안(留守先生案) • 무신년 강화(江華) 각목장(各牧場) 마자식모색(馬孳息毛色) 검사론(儉奢論) • 김준기(金俊起) 차첩(差帖) • 1803년 김준기(金俊起) 관(關) • 강화부지(江華府志) • 속수증보강도지(續修增補江都志) • 어제훈서(御製訓書) • 1607년 양인(良人) 신직남(辛直男)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