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내소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3명의 사용자에 의한 1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clickable button|[[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 2018 봄 학술답사|Project Home]]}} | ||
{{문화유산정보 | {{문화유산정보 | ||
|대표명칭 = 부안 내소사 | |대표명칭 = 부안 내소사 | ||
5번째 줄: | 6번째 줄: | ||
|지정명칭 = 내소사일원 | |지정명칭 = 내소사일원 | ||
|한자명칭 = 來蘇寺一圓 | |한자명칭 = 來蘇寺一圓 | ||
− | |영문명칭 = | + | |영문명칭 = Naesosa Temple |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 ||
|건립·제작 = 백제 무왕 34년(633) | |건립·제작 = 백제 무왕 34년(633) | ||
15번째 줄: | 16번째 줄: | ||
}} | }} | ||
=='''개관'''== | =='''개관'''== | ||
+ |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5106&cid=46648&categoryId=46648/ 선운사(禪雲寺)]</b>의 말사이다. | ||
−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4987&cid=40942&categoryId=33375/ 백제 무왕]</b> 34년(633)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창건한 절로 처음에는 소래사(蘇來寺)라 | +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4987&cid=40942&categoryId=33375/ 백제 무왕]</b> 34년(633)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창건한 절로 처음에는 소래사(蘇來寺)라 하였다. 소래사가 내소사로 바뀐 것은 중국의 소정방(蘇定方)이 석포리에 상륙한 뒤, 이 절을 찾아와서 군중재(軍中財)를 시주하였기 때문에,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고쳐 불렀다고 전하나 사료적인 근거는 없다. |
+ | <ref>출처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1&cid=46648&categoryId=46648/ 민족문화대백과 '내소사']</b> </ref> | ||
− | + | ==='''Naesosa Temple '''=== | |
− | + | Naesosa Temple was built in 633 by a monk named Haegu Duta, the 34th year of King Mu of Baekje Kingdom. It was initially named Soraesa Temple. When it was constructed, there were two temples: big and small. The big one was destroy by fire and only the small one survived. The temple was rebuilt in 1633, the 11th year of King Injo, and repaired in 1865. The name of the temple changed from Soraesa to Naesosa, reportedly due to the visit by Su Dingfang of Tang Dynasty, but there is no remaining historical document that backs up the episode. | |
− | + | ||
− | + | ||
− | + | ==='''Бүан Нэсуса хийд'''=== | |
−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2&cid=46657&categoryId=46657/ | + | БНСУ-ын Буддын шашны Жугежун урсгалын 24 дэх төв хийд болох Сонүнса хийдээс салбарласан жижиг хийд юм. |
−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 + | Бэгжэгийн Мү хааны ор суусны 34-р он(633)-д Хегүдүтагийн үндэслэн байгуулсан хийд бөгөөд анхандаа Сурэса хийд гэж нэрлэдэг байжээ. Сурэса хэмээх нэршил нь Нэсуса руу солигдсон нь Хятадын Су Жо Бан жанжин Согпури-д газардсаныхаа дараа, энэхүү хийдийг зорьж ирэн армиасаа өргөл барьц өргөсөнд үүнийг дурсах үүднээс ийнхүү өөрчилж нэрлэх болсон гэдэг боловч одоохондоо түүхэн баримт нотолгоо байхгүй. |
− | <ref>출처 : | + | |
+ | =='''보물과 문화재'''== | ||
+ | 현존하는 당우 및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291호로 지정된 | ||
+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3&cid=46656&categoryId=46656/ 대웅보전(大雄寶殿)]</b>을 비롯하여 보물 제277호인 | ||
+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2&cid=46657&categoryId=46657/ 고려동종(高麗銅鐘)]</b>, 보물 제278호인 | ||
+ | 법화경절본사경(法華經折本寫經), 보물 제1268호로 지정된 괘불 등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로 지정된 요사채, | ||
+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5&cid=46656&categoryId=46656/ 설선당(說禪堂)]</b>·보종각(寶鐘閣)·봉래루(蓬萊樓),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4호로 지정된 | ||
+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4&cid=46656&categoryId=46656/ 삼층석탑]</b> 등이 있다. | ||
+ | |||
+ | 이 가운데 대웅보전은 1623년(인조 1)에 완공되었는데 그 의장(意匠)과 기법이 매우 독창적인 조선 중기의 대표작이다. 못 하나 쓰지 않고 나무를 깎아 서로 교합하여 만들었다고 하며, 법당 내부의 벽면에 그려진 관세음보살상 등의 그림도 일품이다. | ||
+ | <ref>출처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1&cid=46648&categoryId=46648/ 민족문화대백과 '내소사']</b></ref> | ||
==위치== | ==위치== | ||
− | <googlemap width=" | + | <googlemap width="800" height="400" lat="35.617840" lon="126.587254" type="normal" zoom="11"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5.617840, 126.587254, [[부안 내소사]] | 35.617840, 126.587254, [[부안 내소사]] | ||
</googlemap> | </googlemap> | ||
35번째 줄: | 46번째 줄: | ||
=='''관련 사이트'''== | =='''관련 사이트'''== | ||
− | *문화재청 (http://www.cha.go.kr/) | + | *<b>문화재청</b> (http://www.cha.go.kr/) |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 + | *<b>한국민족문화대백과</b> (http://encykorea.aks.ac.kr/) |
−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http://www.grandculture.net/) | + | *<b>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b> (http://www.grandculture.net/) |
− | + | ||
=='''출처'''== | =='''출처'''== | ||
47번째 줄: | 57번째 줄: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 !역할|| 이름 || 전공 | + | !일자 || 역할|| 이름 || 전공 |
|- | |- | ||
− | | 정리 || || | + | | 2018.4. || 정리 || 김광우 || 인문정보학 |
|- | |- | ||
− | | 편집 || | + | | 2018.4. || 편집 || 김광우 || 인문정보학 |
|- | |- | ||
|} | |} | ||
+ | |||
[[분류: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봄 답사 자료집]] | [[분류: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봄 답사 자료집]] |
2018년 5월 9일 (수) 16:39 기준 최신판
부안 내소사 | |
---|---|
지정 번호 | 시도기념물 제78호 |
지정일 | 1986.09.09 |
지정 명칭 | 내소사일원 |
한자 명칭 | 來蘇寺一圓 |
영문 명칭 | Naesosa Temple |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
건립·제작 | 백제 무왕 34년(633) |
주소 | 전북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 (석포리) |
위도 | 35.617822 |
경도 | 126.587222 |
웹사이트 | http://www.naesosa.org/ |
개관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이다.
백제 무왕 34년(633)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창건한 절로 처음에는 소래사(蘇來寺)라 하였다. 소래사가 내소사로 바뀐 것은 중국의 소정방(蘇定方)이 석포리에 상륙한 뒤, 이 절을 찾아와서 군중재(軍中財)를 시주하였기 때문에,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고쳐 불렀다고 전하나 사료적인 근거는 없다. [1]
Naesosa Temple
Naesosa Temple was built in 633 by a monk named Haegu Duta, the 34th year of King Mu of Baekje Kingdom. It was initially named Soraesa Temple. When it was constructed, there were two temples: big and small. The big one was destroy by fire and only the small one survived. The temple was rebuilt in 1633, the 11th year of King Injo, and repaired in 1865. The name of the temple changed from Soraesa to Naesosa, reportedly due to the visit by Su Dingfang of Tang Dynasty, but there is no remaining historical document that backs up the episode.
Бүан Нэсуса хийд
БНСУ-ын Буддын шашны Жугежун урсгалын 24 дэх төв хийд болох Сонүнса хийдээс салбарласан жижиг хийд юм. Бэгжэгийн Мү хааны ор суусны 34-р он(633)-д Хегүдүтагийн үндэслэн байгуулсан хийд бөгөөд анхандаа Сурэса хийд гэж нэрлэдэг байжээ. Сурэса хэмээх нэршил нь Нэсуса руу солигдсон нь Хятадын Су Жо Бан жанжин Согпури-д газардсаныхаа дараа, энэхүү хийдийг зорьж ирэн армиасаа өргөл барьц өргөсөнд үүнийг дурсах үүднээс ийнхүү өөрчилж нэрлэх болсон гэдэг боловч одоохондоо түүхэн баримт нотолгоо байхгүй.
보물과 문화재
현존하는 당우 및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291호로 지정된 대웅보전(大雄寶殿)을 비롯하여 보물 제277호인 고려동종(高麗銅鐘), 보물 제278호인 법화경절본사경(法華經折本寫經), 보물 제1268호로 지정된 괘불 등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로 지정된 요사채, 설선당(說禪堂)·보종각(寶鐘閣)·봉래루(蓬萊樓),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4호로 지정된 삼층석탑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대웅보전은 1623년(인조 1)에 완공되었는데 그 의장(意匠)과 기법이 매우 독창적인 조선 중기의 대표작이다. 못 하나 쓰지 않고 나무를 깎아 서로 교합하여 만들었다고 하며, 법당 내부의 벽면에 그려진 관세음보살상 등의 그림도 일품이다. [2]
위치
관련 사이트
- 문화재청 (http://www.cha.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
출처
- ↑ 출처 : 민족문화대백과 '내소사'
- ↑ 출처 : 민족문화대백과 '내소사'
기여
일자 | 역할 | 이름 | 전공 |
---|---|---|---|
2018.4. | 정리 | 김광우 | 인문정보학 |
2018.4. | 편집 | 김광우 | 인문정보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