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연군의 묘(南延君―墓)"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관)
 
(3명의 사용자에 의한 1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답사저자
 
|이름 = 홍한얼
 
|전공 = 윤리학과
 
|과정 = 수료
 
|메일 =
 
}}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대표명칭 = 남연군묘
+
|대표명칭 = 남연군의 묘(南延君―墓)
 
|지정번호 = 충청남도 기념물 제80호
 
|지정번호 = 충청남도 기념물 제80호
|지정명칭 = 남연군묘 도굴 사건
+
|지정명칭 = 남연군의 묘(南延君―墓)
|영문명칭 =  
+
|영문명칭 = Tomb of Prince Namyeon
 
|주소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산 5-28
 
|주소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산 5-28
 
|위도 = 36.7186084
 
|위도 = 36.7186084
 
|경도 = 126.621783
 
|경도 = 126.621783
|사진 =  
+
|사진 = 남연군의묘1.jpg
|지도 = <googlemap width="400" height="300" lat="36.7186084" lon="126.621783"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6.7186084,126.621783, [[종학당(정수루, 숙사)]]
+
|지도 = <googlemap width="400" height="300" lat="36.7186084" lon="126.621783"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6.7186084,126.621783, [[남연군의 묘(南延君―墓)|남연군의 묘]]
 
</googlemap>
 
</googlemap>
 
}}
 
}}
  
 
=='''개관'''==
 
=='''개관'''==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 이구(?∼1822)의 묘이다.
+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 이구(?∼1822)의 묘이다.
  
 
대원군 이하응이 풍수지리설에 따라 2대에 걸쳐 천자가 나올 자리라는 말을 듣고 원래 경기도 연천에 있던 남연군의 묘를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이곳에는 가야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절을 불태우고 탑을 부순 후 이장했으며, 이장한지 7년 후에 차남 명복이 태어났는데 그가 곧 철종의 뒤를 이어 12세에 왕위에 오른 고종이다.
 
대원군 이하응이 풍수지리설에 따라 2대에 걸쳐 천자가 나올 자리라는 말을 듣고 원래 경기도 연천에 있던 남연군의 묘를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이곳에는 가야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절을 불태우고 탑을 부순 후 이장했으며, 이장한지 7년 후에 차남 명복이 태어났는데 그가 곧 철종의 뒤를 이어 12세에 왕위에 오른 고종이다.
26번째 줄: 19번째 줄:
 
그 후 1866년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남연군의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한 일이 있었으며, 이 일로 대원군이 서양에 대한 배척을 강화하는 쇄국정책을 실시하고 천주교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후 1866년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남연군의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한 일이 있었으며, 이 일로 대원군이 서양에 대한 배척을 강화하는 쇄국정책을 실시하고 천주교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묘는 높은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으며, 무덤 주변에서 조선시대의 기와가 많이 나왔다고 전해진다.
+
묘는 높은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으며, 무덤 주변에서 조선시대의 기와가 많이 나왔다고 전해진다.<ref>남연군의묘, 문화재청 문화재검색, http://www.cha.go.kr</ref>
  
 
=='''남연군의 묘와 흥선대원군'''==
 
=='''남연군의 묘와 흥선대원군'''==
34번째 줄: 27번째 줄:
 
그러나 정작 가야산에 지관이 가리키는 자리는 이미 가야사라는 절이 들어서 있었다. 게다가 명당이라는 바로 그 자리에는 금탑이 우뚝 서 있었다. 그 자리에 아버지 묘를 쓰기 위해 흥선군은 차례차례 일을 벌여 나갔다.
 
그러나 정작 가야산에 지관이 가리키는 자리는 이미 가야사라는 절이 들어서 있었다. 게다가 명당이라는 바로 그 자리에는 금탑이 우뚝 서 있었다. 그 자리에 아버지 묘를 쓰기 위해 흥선군은 차례차례 일을 벌여 나갔다.
  
그는 우선 경기도 연천에 있던 아버지의 묘를 임시로 탑 뒤 산기슭으로 옮겼다. 그 땅은 영조 때 판서를 지낸 윤봉구의 사패지로 그 후손에게서 자리를 빌려서 했다. 연천에서 가야산까지 오백리길을 종실의 무덤을 옮기는 일이었으므로 상여는 한 지방을 지날 때마다 지방민들이 동원되어 옮겼는데, 맨 마지막에 운구를 한 ‘나분들’(남은들) 사람들에게 상여가 기증되었다. 이 상여는 지금 남은들 마을에 보존되어 있다.
+
그는 우선 경기도 연천에 있던 아버지의 묘를 임시로 탑 뒤 산기슭으로 옮겼다. 그 땅은 영조 때 판서를 지낸 윤봉구의 사패지로 그 후손에게서 자리를 빌려서 했다. 연천에서 가야산까지 오백리길을 종실의 무덤을 옮기는 일이었으므로 상여는 한 지방을 지날 때마다 지방민들이 동원되어 옮겼는데, 맨 마지막에 운구를 한 ‘나분들’(남은들) 사람들에게 상여가 기증되었다. 이 상여는 지금 남은들 마을에 보존되어 있다.<ref>남연군 묘, 답사여행의 길잡이 4 - 충남, 초판 1995, 20쇄 2012, 돌베개</ref>
 +
 
 +
=='''관련 기사'''==
 +
[[남연군묘 도굴 사건]] / 홍한얼
 +
 
 +
=='''사진 및 도면'''==
 +
 
 +
===사진===
 +
 
 +
===도면===
 +
 
 +
=='''관련 사이트'''==
 +
 
 +
*[http://www.cha.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
 +
 
 +
=='''답사 후기'''==
 +
 
 +
*우연히 풍수지리협회 회장님을 만나 특별 강연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색다른 경험이었습니다.
 +
 
 +
 
 +
=='''출처'''==
 +
 
 +
<references/>
 +
 
 +
=='''기여'''==
 +
 
 +
{|class="wikitable"
 +
!역할|| 이름 || 전공
 +
|-
 +
| 정리 || 김사현 || 인문정보학
 +
|-
 +
| 편집 || 김사현 || 인문정보학
 +
|-
 +
|}
 +
 
 +
[[분류: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봄 답사 자료집]]

2016년 9월 27일 (화) 10:26 기준 최신판


개관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 이구(?∼1822)의 묘이다.

대원군 이하응이 풍수지리설에 따라 2대에 걸쳐 천자가 나올 자리라는 말을 듣고 원래 경기도 연천에 있던 남연군의 묘를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이곳에는 가야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절을 불태우고 탑을 부순 후 이장했으며, 이장한지 7년 후에 차남 명복이 태어났는데 그가 곧 철종의 뒤를 이어 12세에 왕위에 오른 고종이다.

그 후 1866년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남연군의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한 일이 있었으며, 이 일로 대원군이 서양에 대한 배척을 강화하는 쇄국정책을 실시하고 천주교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묘는 높은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으며, 무덤 주변에서 조선시대의 기와가 많이 나왔다고 전해진다.[1]

남연군의 묘와 흥선대원군

1822년에 남연군이 돌아가고 난 뒤 어느 날 한 지관이 찾아와 명당자리를 알려 주었다(한편으로는 흥선군이 당대의 명지관 정만인에게 명당자리를 알려 달라고 했다고도 한다). 지관은 가야산 동쪽에 2대에 걸쳐 천자가 나오는 자리(二代天子之地)가 있고 광천 오서산에는 만대에 영화를 누리는 자리(萬代榮華之地)가 있다고 했다. 흥선군은 두말할 것도 없이 가야산을 택했다.

그러나 정작 가야산에 지관이 가리키는 자리는 이미 가야사라는 절이 들어서 있었다. 게다가 명당이라는 바로 그 자리에는 금탑이 우뚝 서 있었다. 그 자리에 아버지 묘를 쓰기 위해 흥선군은 차례차례 일을 벌여 나갔다.

그는 우선 경기도 연천에 있던 아버지의 묘를 임시로 탑 뒤 산기슭으로 옮겼다. 그 땅은 영조 때 판서를 지낸 윤봉구의 사패지로 그 후손에게서 자리를 빌려서 했다. 연천에서 가야산까지 오백리길을 종실의 무덤을 옮기는 일이었으므로 상여는 한 지방을 지날 때마다 지방민들이 동원되어 옮겼는데, 맨 마지막에 운구를 한 ‘나분들’(남은들) 사람들에게 상여가 기증되었다. 이 상여는 지금 남은들 마을에 보존되어 있다.[2]

관련 기사

남연군묘 도굴 사건 / 홍한얼

사진 및 도면

사진

도면

관련 사이트

답사 후기

  • 우연히 풍수지리협회 회장님을 만나 특별 강연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색다른 경험이었습니다.


출처

  1. 남연군의묘, 문화재청 문화재검색, http://www.cha.go.kr
  2. 남연군 묘, 답사여행의 길잡이 4 - 충남, 초판 1995, 20쇄 2012, 돌베개

기여

역할 이름 전공
정리 김사현 인문정보학
편집 김사현 인문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