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월정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갤러리)
 
(2명의 사용자에 의한 41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대표명칭 = 평창 월정사(月精寺)
+
|대표명칭 = 평창 월정사
|지정번호 = 국보유적  제75호
+
|지정명칭 = 평창 월정사
|지정명칭 =  
+
|한자명칭 = 平昌 月精寺
|영문명칭 =  woljeongsa
+
|영문명칭 =  Woljeongsa Temple
 +
|건립·제작 = 643년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동산리 63)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동산리 63)
 
|위도 = 37.731891  
 
|위도 = 37.731891  
 
|경도 = 128.592569
 
|경도 = 128.592569
|사진 =
+
|사진 =Woljeongsa.JPG
 
|웹사이트 =  http://woljeongsa.org/
 
|웹사이트 =  http://woljeongsa.org/
 
}}
 
}}
  
=='''개요'''==
+
===Woljeongsa Temple===
오대산에 있는 월정사는 60여개의 사찰과 8여개의 암자를 거느리고 있는 매우 큰 규모의 사찰로, 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되었다. 이후 월정사는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며 여러번 화재로 건물이 전소되고 다시 중건되기를 반복했다. 한국전쟁 때도 모든 건물이 다 타버렸을 정도로 큰 피해를 입었는데 현재 남은 건물은 모두 그 이후에 재건된 것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436&cid=42840&categoryId=42847 월정사]" 한국문화유산답사회,『답사여행의 길잡이3 - 동해·설악』, 돌배게, 2011,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4월 2일 확인</ref> 월정사는 과거 [[한암]], [[탄허]] 스님 등 이름난 고승들이 머물렀던 절로도 유명하며, 오늘날에는 전나무 숲길이 아름다워 사람들이 많이 찾는 관광명소이기도 하다. 실제로 이 전나무 숲은 tvn의 드라마 <도깨비>의(2016년 12월 30일 촬영분) 촬영지가 되기도 했다.<ref>"[http://woljeongsa.org/bbs/board.php?bo_table=10404020&wr_id=993 드라마 <도깨비> 월정사 전나무숲길 촬영] 『오대산 월정사 홈페이지』, 2017년 4월 2일 확인.</ref> 아울러 월정사는 우리나라 고찰 가운데 보물급 문화재가 가장 많은 절이다. 1999년에는 경내에 [[월정사 성보박물관]]을 개관하여 월정사 본사를 포함해 강원 남부 60여개의 말사에서 모은 불교 문화재들을 전시하고 연구하고 있다. 월정사에서 8km쯤 산길을 오르면 월정사의 말사이자 이웃한 절이라고 할 수 있는 [[평창 상원사|상원사]]가 나온다.
+
  
==위치==
+
Woljeongsa Temple, located in a forested valley east of Odaesan Mountain, and is in charge of over 60 temples and 8 monasteries in the area. Seongbo Museum that exhibits Buddhist relics and artifacts from the Goryeo Dynasty (918-1392) is also located in the temple. Woljeongsa was built by the Buddhist monk Ja Jang (590-658)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of Silla (632-647).  
<googlemap width="700" height="400" lat="37.731891" type="map" lon="128.592569" zoom="8"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7.731891, 128.592569, [[평창 월정사]]
+
37.786887, 128.564153, [[평창 상원사]]
+
37.393320, 127.053657, [[한국학 중앙연구원]]
+
</googlemap>
+
  
=='''역사'''==
+
=='''정의'''==
월정사는 643년(선덕여왕 12) 당나라 유학을 마친 자장율사가 오대산에 들어오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당시 자장은 절을 세운 것은 아니었고, 문수보살을 만나기 위해 허름한 움막을 지었던 것이다. 따라서 절이 시작된 것은 이후 범일의 제자였던 [[신의]]가 이곳에 암자를 짓고 살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고려말 민지가 지은 《봉암사리개건사암제일조사전기》라는 문헌에는 자장을 월정사의 최초 창건자로 보는 인식이 뚜렷히 나타나있고, 오늘날에도 월정사의 시초는 자장율사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ref>"[http://www.whlee.kr/bbs/board.php?bo_table=05_1&wr_id=43&page=6 [월정사 역사와문화-1]" 『원행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문수성지 오대산 월정사, 2014년 2월 3일 작성, 2017년 4월 2일 확인</ref>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절.
  
자장의 영향으로 인해 오대산은 문수보살을 모시는 문수신앙의 성지로 시작했다. 하지만 이후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면 오대산은 문수보살 뿐만아니라 다양한 불보살이 상주한다는 5만보살신앙으로 발전한다. 오대산의 다섯 봉우리는 중앙의 문수보살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에는 각각 관음보살(동), 지장보살(서), 대세지보살(남), 미륵보살(북) 1만 분씩 상주하는 성지로 거듭난 것이다. <ref>"http://woljeongsa.org/bbs/content.php?co_id=101010&tabs=2#tab 월정사소개] 『오대산 월정사 홈페이지』, 2017년 4월 2일 확인.</ref> 하지만 이때까지도 움막으로 기록되고 있던 월정사가 어엿한 사찰로서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신의]]가 이곳에 법당을 세우면서부터다. 이 시기를 전후로 월정사는 오대산 신앙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게 된다.
+
=='''내용'''==
  
고려전기, 월정사는 창건 이래 최대 흥성기를 맞이했다. 사실 이전까지도 사찰로서 월정사의 규모는 그리 크지 않았다. 그러나 고려 초, [[선종]]의 아홉 갈래 승려집단을 일컫는 [[구산선문]] 중 강릉의 사굴산문이 세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월정사 또한 그 세력권에 포함되어 함께 발전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흥한 것도 잠시, 몽고의 침입 이후 다시 사세가 심하게 기울었다.<ref>"[http://www.whlee.kr/bbs/board.php?bo_table=05_1&wr_id=43&page=6 [월정사 역사와문화-5]" 『원행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문수성지 오대산 월정사, 2014년 2월 5일 작성, 2017년 4월 2일 확인</ref>  
+
===개요===
 +
[[오대산]]에 있는 월정사는 60여개의 사찰과 8여개의 암자를 거느리고 있는 매우 큰 규모의 사찰로, 643년(선덕여왕 12)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되었다. 이후 월정사는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며 여러번 화재로 건물이 전소되고 다시 중건되기를 반복했다. 한국전쟁 때도 모든 건물이 다 타버렸을 정도로 큰 피해를 입었는데 현재 남은 건물은 모두 이후에 재건된 것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436&cid=42840&categoryId=42847 월정사]" 한국문화유산답사회,『답사여행의 길잡이3 - 동해·설악』, 돌배게, 2011,<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월정사는 과거 [[한암]], [[탄허]] 스님 등 이름난 고승들이 머물렀던 절로도 유명하며, 오늘날에는 전나무 숲길이 아름다워 사람들이 많이 찾는 관광명소이기도 하다.<ref>실제로 이 전나무 숲은 tvn의 드라마 <도깨비>의(2016년 12월 30일 촬영분) 촬영지가 되기도 했다. "[http://woljeongsa.org/bbs/board.php?bo_table=10404020&wr_id=993 드라마 <도깨비> 월정사 전나무숲길 촬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오대산 월정사 홈페이지』<sup>online</sup></online></html></ref> 아울러 월정사는 우리나라 고찰 가운데 보물급 문화재가 가장 많은 절이다. 1999년에는 경내에 [[월정사 성보박물관]]을 개관하여 월정사 본사를 포함해 강원 남부 60여개의 말사에서 모은 불교 문화재들을 전시하고 연구하고 있다. 월정사에서 8km쯤 산길을 오르면 월정사의 말사이자 이웃한 절이라고 할 수 있는 [[평창 상원사|상원사]]가 나온다.
  
  
 +
===역사===
 +
월정사는 643년(선덕여왕 12) 당나라 유학을 마친 자장율사가 오대산에 들어오면서 시작되었다. <ref>그러나 당시 자장은 절을 세운 것은 아니었고, 문수보살을 만나기 위해 허름한 움막을 지었던 것이다. 고려말 민지가 지은 《봉암사리개건사암제일조사전기》라는 문헌에는 자장을 월정사의 최초 창건자로 보는 인식이 뚜렷히 나타나있고, 오늘날에도 월정사의 시초는 자장율사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http://www.whlee.kr/bbs/board.php?bo_table=05_1&wr_id=43&page=6 월정사 역사와문화-1]" 『원행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문수성지 오대산 월정사, 작성일: 2014년 2월 3일</ref> 자장의 영향으로 인해 오대산은 문수보살을 모시는 문수신앙의 성지로 시작했다. 이후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면 오대산은 문수보살 뿐만아니라 다양한 불보살이 상주한다는 5만보살신앙으로 발전한다. <ref>[http://woljeongsa.org/bbs/content.php?co_id=101010&tabs=2#tab 월정사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오대산 월정사 홈페이지』<sup>online</sup></online></html></ref> 하지만 이때까지도 움막으로 기록되고 있던 월정사가 어엿한 사찰로서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신의]]가 이곳에 법당을 세우면서부터다. 이 시기를 전후로 월정사는 오대산 신앙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게 된다.
  
=='''설화'''==
+
'''고려전기''', 월정사는 창건 이래 최대 흥성기를 맞이했다. 고려 초, [[선종]]의 아홉 갈래 승려집단을 일컫는 [[구산선문]] 중 강릉의 사굴산문이 세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월정사 또한 그 세력권에 포함되어 함께 발전하게 되었다. 하지만 흥한 것도 잠시, 몽고의 침입 이후 다시 사세가 심하게 기울었다.<ref>"[http://www.whlee.kr/bbs/board.php?bo_table=05_1&wr_id=43&page=6 월정사 역사와문화-5]" 『원행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문수성지 오대산 월정사, 작성일: 2014년 2월 5일</ref> 이후 1377년(충렬왕 33)에는 절이 화재로 전소되었고, 다시 이일 스님이 중창하여 조선시대까지 이어졌다.
  
 +
'''조선시대'''에는 숭유억불정책 때문에 불교가 전반적으로 쇠퇴했지만, 오대산 불교는 몇 가지 계기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해나갔다. 첫번째는 조선 초기에 활약한 [[나옹]]의 문도들이 대거 오대산에 머무르면서 상원사와 월정사를 비롯한 오대산 불교권 전체가 주목을 받았던 것이다. 두번째는 조선의 6대왕 세조가 이곳에서 기도하던 중 불치의 병을 고치고, 이후 상원사를 중창하는데 적극적인 후원을 했기 때문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1358&cid=43723&categoryId=43732 오대산의 월정사]" 신정일,『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9: 우리산하』, 다음생각, 2012,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세번째는 16세기 말 쇠락했던 사찰을 [[사명대사]]가 중창하고,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는 왕실의 외사고(外史庫)가 이곳에 건립된 것이다. 이러한 여러 사건들은 억불정책 속에서도 월정사가 오히려 사세를 더욱 키워나갈 수 있도록 했다.
  
==가상현실==
+
'''해방 전후'''로는 당시 조계종의 최고 지도자를 4번이나 역임했던 [[한암]]이 오대산에 머무르면서, 상원사와 월정사는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사찰로서 위상을 확립하게 된다. <ref>"[http://woljeongsa.org/bbs/content.php?co_id=101010&tabs=3#tab 월정사소개]" 『오대산 월정사 홈페이지』</ref> 하지만 곧 한국전쟁이 터지면서 1951년 1.4후퇴 때 사찰 대부분이 불타버렸지만, 이후에 [[탄허]], [[만화]], [[현해]] 등에 의해 다시 중건되어 월정사의 명맥은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2017년 현재 월정사의 주지는 정념스님이다.
  
 +
 +
===지리===
 +
평창 월정사가 위치한 오대산은 태백산맥의 한줄기로서 비로봉, 호령봉, 상왕봉, 두로봉, 동대산 등 다섯 봉우리가 오목하게 원을 그리며 누대를 이루고 있는 까닭에 붙여진 명칭이다. 즉, 오대산은 어느 하나의 봉우리를 지칭한다기보다는 다섯 봉우리를 아우르는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이 봉우리에는 각각 중대(적멸보궁), 북대(미륵암), 서대(수정암), 동대(관음암), 남대(지장암)의 다섯 암자가 있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437&cid=42840&categoryId=42847 오대산의 다섯 봉우리와 암자]" 한국문화유산답사회,『답사여행의 길잡이3 - 동해,설악』, 2011,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오대산은 자장이 월정사를 개창한 이래 불교신앙의 성산으로 추앙되어 왔다. 일찍이 고려시대부터 오대산은 "나라 안의 명산 중에서도 이곳이 가장 좋은 곳이니 불법이 길이 번창할 곳이다."(《삼국유사》「대산월정사 오류성중」) 라는 말이 있었다.<ref>"[http://www.whlee.kr/bbs/board.php?bo_table=05_1&wr_id=43&page=6 월정사 역사와문화-1]" 『원행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문수성지 오대산 월정사, 2014년 2월 3일 작성</ref>  또한 옛 사람들은 오대산을 '삼재가 들지 않는 명당 터'라 여기기도 했고 '어떤 재앙이 닥쳐도 안전한 땅'이라고 믿었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1358&cid=43723&categoryId=43732 오대산의 월정사]"신정일,『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9: 우리산하』, 다음생각, 2012,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사실 오대산은 중국 산서성 북동부에 있는 청량산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청량산 또한 동서남북중의 다섯 봉우리가 누대를 이루고 있어 오대산이라고 부르며, 예로부터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불교 성지 가운데 하나였다.  특히 이곳은 문수보살이 머무는 곳으로 알려져있고, 월정사를 최초 창건한 자장이 신라로 돌아오기 이전에 문수보살을 만난 곳도 바로 이곳이다. <ref>"[http://www.whlee.kr/bbs/board.php?bo_table=05_1&wr_id=43&page=6 월정사 역사와문화-1]" 『원행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문수성지 오대산 월정사, 작성일: 2014년 2월 3일</ref>
 +
 +
오대산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림지대로 동식물상이 다양하고 풍부하며, 1975년에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월정사로부터 상원사로 이어지는 10km의 계곡은 5백년 된 전나무들과 고산식물, 잡목들로 우거진 숲으로 수려하고 웅장한 경관을 자랑한다.
 +
 +
 +
=='''경내 문화재'''==
 +
*국보 48호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
*보물 제139호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
*보물 제1375호[[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
 +
 +
 +
=='''위치'''==
 +
<googlemap width="700" height="200" lat="37.731891" type="map" lon="128.592569" zoom="8"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7.731891, 128.592569, [[평창 월정사]]
 +
37.786887, 128.564153, [[평창 상원사]]
 +
37.393320, 127.053657, [[한국학 중앙연구원]]
 +
</googlemap>
 +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html>
 
<html>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http://digerati.aks.ac.kr/Pavilions/tour2013-1/site_10/site_1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http://digerati.aks.ac.kr/Pavilions/tour2013-1/site_10/site_1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갤러리===
 +
<gallery>
 +
File: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jpg |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ref><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 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File: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jpg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ref><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 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gallery>
  
 
+
=='''참고문헌'''==
==주석==
+
이도흠, 『오대산 월정사 이야기』, 민족사, 2013
 +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2017년 5월 21일 (일) 23:01 기준 최신판


Woljeongsa Temple

Woljeongsa Temple, located in a forested valley east of Odaesan Mountain, and is in charge of over 60 temples and 8 monasteries in the area. Seongbo Museum that exhibits Buddhist relics and artifacts from the Goryeo Dynasty (918-1392) is also located in the temple. Woljeongsa was built by the Buddhist monk Ja Jang (590-658)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of Silla (632-647).

정의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절.

내용

개요

오대산에 있는 월정사는 60여개의 사찰과 8여개의 암자를 거느리고 있는 매우 큰 규모의 사찰로, 643년(선덕여왕 12)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되었다. 이후 월정사는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며 여러번 화재로 건물이 전소되고 다시 중건되기를 반복했다. 한국전쟁 때도 모든 건물이 다 타버렸을 정도로 큰 피해를 입었는데 현재 남은 건물은 모두 그 이후에 재건된 것이다.[1] 월정사는 과거 한암, 탄허 스님 등 이름난 고승들이 머물렀던 절로도 유명하며, 오늘날에는 전나무 숲길이 아름다워 사람들이 많이 찾는 관광명소이기도 하다.[2] 아울러 월정사는 우리나라 고찰 가운데 보물급 문화재가 가장 많은 절이다. 1999년에는 경내에 월정사 성보박물관을 개관하여 월정사 본사를 포함해 강원 남부 60여개의 말사에서 모은 불교 문화재들을 전시하고 연구하고 있다. 월정사에서 8km쯤 산길을 오르면 월정사의 말사이자 이웃한 절이라고 할 수 있는 상원사가 나온다.


역사

월정사는 643년(선덕여왕 12) 당나라 유학을 마친 자장율사가 오대산에 들어오면서 시작되었다. [3] 자장의 영향으로 인해 오대산은 문수보살을 모시는 문수신앙의 성지로 시작했다. 이후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면 오대산은 문수보살 뿐만아니라 다양한 불보살이 상주한다는 5만보살신앙으로 발전한다. [4] 하지만 이때까지도 움막으로 기록되고 있던 월정사가 어엿한 사찰로서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신의가 이곳에 법당을 세우면서부터다. 이 시기를 전후로 월정사는 오대산 신앙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게 된다.

고려전기, 월정사는 창건 이래 최대 흥성기를 맞이했다. 고려 초, 선종의 아홉 갈래 승려집단을 일컫는 구산선문 중 강릉의 사굴산문이 세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월정사 또한 그 세력권에 포함되어 함께 발전하게 되었다. 하지만 흥한 것도 잠시, 몽고의 침입 이후 다시 사세가 심하게 기울었다.[5] 이후 1377년(충렬왕 33)에는 절이 화재로 전소되었고, 다시 이일 스님이 중창하여 조선시대까지 이어졌다.

조선시대에는 숭유억불정책 때문에 불교가 전반적으로 쇠퇴했지만, 오대산 불교는 몇 가지 계기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해나갔다. 첫번째는 조선 초기에 활약한 나옹의 문도들이 대거 오대산에 머무르면서 상원사와 월정사를 비롯한 오대산 불교권 전체가 주목을 받았던 것이다. 두번째는 조선의 6대왕 세조가 이곳에서 기도하던 중 불치의 병을 고치고, 이후 상원사를 중창하는데 적극적인 후원을 했기 때문이다.[6] 세번째는 16세기 말 쇠락했던 사찰을 사명대사가 중창하고,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는 왕실의 외사고(外史庫)가 이곳에 건립된 것이다. 이러한 여러 사건들은 억불정책 속에서도 월정사가 오히려 사세를 더욱 키워나갈 수 있도록 했다.

해방 전후로는 당시 조계종의 최고 지도자를 4번이나 역임했던 한암이 오대산에 머무르면서, 상원사와 월정사는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사찰로서 위상을 확립하게 된다. [7] 하지만 곧 한국전쟁이 터지면서 1951년 1.4후퇴 때 사찰 대부분이 불타버렸지만, 이후에 탄허, 만화, 현해 등에 의해 다시 중건되어 월정사의 명맥은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2017년 현재 월정사의 주지는 정념스님이다.


지리

평창 월정사가 위치한 오대산은 태백산맥의 한줄기로서 비로봉, 호령봉, 상왕봉, 두로봉, 동대산 등 다섯 봉우리가 오목하게 원을 그리며 누대를 이루고 있는 까닭에 붙여진 명칭이다. 즉, 오대산은 어느 하나의 봉우리를 지칭한다기보다는 다섯 봉우리를 아우르는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이 봉우리에는 각각 중대(적멸보궁), 북대(미륵암), 서대(수정암), 동대(관음암), 남대(지장암)의 다섯 암자가 있다. [8] 오대산은 자장이 월정사를 개창한 이래 불교신앙의 성산으로 추앙되어 왔다. 일찍이 고려시대부터 오대산은 "나라 안의 명산 중에서도 이곳이 가장 좋은 곳이니 불법이 길이 번창할 곳이다."(《삼국유사》「대산월정사 오류성중」) 라는 말이 있었다.[9] 또한 옛 사람들은 오대산을 '삼재가 들지 않는 명당 터'라 여기기도 했고 '어떤 재앙이 닥쳐도 안전한 땅'이라고 믿었다. [10]

사실 오대산은 중국 산서성 북동부에 있는 청량산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청량산 또한 동서남북중의 다섯 봉우리가 누대를 이루고 있어 오대산이라고 부르며, 예로부터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불교 성지 가운데 하나였다. 특히 이곳은 문수보살이 머무는 곳으로 알려져있고, 월정사를 최초 창건한 자장이 신라로 돌아오기 이전에 문수보살을 만난 곳도 바로 이곳이다. [11]

오대산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림지대로 동식물상이 다양하고 풍부하며, 1975년에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월정사로부터 상원사로 이어지는 10km의 계곡은 5백년 된 전나무들과 고산식물, 잡목들로 우거진 숲으로 수려하고 웅장한 경관을 자랑한다.


경내 문화재


위치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참고문헌

이도흠, 『오대산 월정사 이야기』, 민족사, 2013

주석

  1. "월정사" 한국문화유산답사회,『답사여행의 길잡이3 - 동해·설악』, 돌배게, 2011,『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실제로 이 전나무 숲은 tvn의 드라마 <도깨비>의(2016년 12월 30일 촬영분) 촬영지가 되기도 했다. "드라마 <도깨비> 월정사 전나무숲길 촬영 『오대산 월정사 홈페이지』online
  3. 그러나 당시 자장은 절을 세운 것은 아니었고, 문수보살을 만나기 위해 허름한 움막을 지었던 것이다. 고려말 민지가 지은 《봉암사리개건사암제일조사전기》라는 문헌에는 자장을 월정사의 최초 창건자로 보는 인식이 뚜렷히 나타나있고, 오늘날에도 월정사의 시초는 자장율사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월정사 역사와문화-1" 『원행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문수성지 오대산 월정사, 작성일: 2014년 2월 3일
  4. 월정사소개" 『오대산 월정사 홈페이지』online
  5. "월정사 역사와문화-5" 『원행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문수성지 오대산 월정사, 작성일: 2014년 2월 5일
  6. "오대산의 월정사" 신정일,『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9: 우리산하』, 다음생각, 2012,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월정사소개" 『오대산 월정사 홈페이지』
  8. "오대산의 다섯 봉우리와 암자" 한국문화유산답사회,『답사여행의 길잡이3 - 동해,설악』, 2011,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9. "월정사 역사와문화-1" 『원행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문수성지 오대산 월정사, 2014년 2월 3일 작성
  10. "오대산의 월정사"신정일,『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9: 우리산하』, 다음생각, 2012,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1. "월정사 역사와문화-1" 『원행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문수성지 오대산 월정사, 작성일: 2014년 2월 3일
  12. 『문화유산 지식포털』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13. 『문화유산 지식포털』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