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악 3호분 벽화 디딜방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참고)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 }} | ||
==개관== | ==개관== | ||
− | |||
− | |||
− | |||
− | |||
− | |||
− | |||
안악3호분 동쪽 곁방에는 부엌, 마구간, 외양간, 방앗간 등의 집안 부대시설들이 그려졌다. 그 가운데 방의 서벽 중 입구로 나뉜 북쪽벽에 방앗간이 그려져있다. 발방아를 찧는 여인과 키질을 하는 여인이 그려져 있는데, 방앗간의 구조는 [[아차산 3보루 디딜방아]], [[아차산 6보루 디딜방아]]와 마찬가지로 디딜방아이다. 이 벽화를 통해 디딜방아의 역사가 고구려까지 거슬러 올라감을 알 수 있다. | 안악3호분 동쪽 곁방에는 부엌, 마구간, 외양간, 방앗간 등의 집안 부대시설들이 그려졌다. 그 가운데 방의 서벽 중 입구로 나뉜 북쪽벽에 방앗간이 그려져있다. 발방아를 찧는 여인과 키질을 하는 여인이 그려져 있는데, 방앗간의 구조는 [[아차산 3보루 디딜방아]], [[아차산 6보루 디딜방아]]와 마찬가지로 디딜방아이다. 이 벽화를 통해 디딜방아의 역사가 고구려까지 거슬러 올라감을 알 수 있다. | ||
==지도== | ==지도== | ||
− | <googlemap width=" | + | <googlemap width="600" height="300" lat="38.4492523" lon="125.5064671" type="hybrid" zoom="13"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 38.4492523,125.5064671, 안악 3호분 | |
</googlemap> | </googlemap> | ||
28번째 줄: | 22번째 줄: | ||
|- | |- | ||
|[[안악 3호분 벽화 디딜방아]]|| A는 B시대에 그려졌다||[[고구려]] | |[[안악 3호분 벽화 디딜방아]]|| A는 B시대에 그려졌다||[[고구려]] | ||
+ | |- | ||
+ | |[[안악 3호분 벽화 디딜방아]]|| A는 B에 속한다||[[안악 3호분 벽화]] | ||
|- | |- | ||
|[[안악 3호분 벽화 디딜방아]]|| A는 B와 같은 구조이다||[[아차산 3보루 디딜방아]] | |[[안악 3호분 벽화 디딜방아]]|| A는 B와 같은 구조이다||[[아차산 3보루 디딜방아]] |
2016년 6월 23일 (목) 23:57 기준 최신판
안악 3호분 벽화 디딜방아 | |
---|---|
시대 | 고구려 |
위치 | 안악 3호분 |
주소 | 황해남도 안악군 오국리 |
개관
안악3호분 동쪽 곁방에는 부엌, 마구간, 외양간, 방앗간 등의 집안 부대시설들이 그려졌다. 그 가운데 방의 서벽 중 입구로 나뉜 북쪽벽에 방앗간이 그려져있다. 발방아를 찧는 여인과 키질을 하는 여인이 그려져 있는데, 방앗간의 구조는 아차산 3보루 디딜방아, 아차산 6보루 디딜방아와 마찬가지로 디딜방아이다. 이 벽화를 통해 디딜방아의 역사가 고구려까지 거슬러 올라감을 알 수 있다.
지도
클래스
- 사물
관련 문서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안악 3호분 벽화 디딜방아 | A는 B시대에 그려졌다 | 고구려 |
안악 3호분 벽화 디딜방아 | A는 B에 속한다 | 안악 3호분 벽화 |
안악 3호분 벽화 디딜방아 | A는 B와 같은 구조이다 | 아차산 3보루 디딜방아 |
안악 3호분 벽화 디딜방아 | A는 B와 같은 구조이다 | 아차산 6보루 디딜방아 |
갤러리
주석
- ↑ 사진출처: 문화콘텐츠닷컴
- ↑ 사진출처: http://blog.daum.net/kbshistory/5812480 발길에 차인 고구려 디딜방아 유물, 조선일보, 2005년 12월 22일 기사]
참고
- 안악 3호분, 문화콘텐츠닷컴
- 최종택, 「아차산 고구려 보루 발굴 10년, 성과와 의의」, 한국사 시민강좌, 44, 206~207쪽.
기여
- 김지선: 처음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