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이성산성 건물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문서)
(관련 문서)
 
(같은 사용자에 의한 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2번째 줄: 2번째 줄:
 
|대표명칭 = 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대표명칭 = 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시대 = [[삼국시대]]
 
|시대 = [[삼국시대]]
|위치 = [[아차산성]] A지구
+
|위치 = [[하남 이성산성]]
 
|주소 = 경기 하남시 춘궁동 산36번지 외
 
|주소 = 경기 하남시 춘궁동 산36번지 외
|사진 = .jpg | 그림크기 = 150
+
|사진 = 이성산성건물지.jpg | 그림크기 = 150
 
}}
 
}}
 
==개관==
 
==개관==
산성 안에 축조되는 건물들은 일반적으로 창고, 병영, 장대 등 전투에 필요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렇지만 '''하남 이성산성'''은 이 외에도 행정적, 의례적인 요소의 건물들이 보이고 있다. 이것은 산성의 기능이 단순히 군사적인 목적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행정중심지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음을 말해준다. 산성에서 출토된 다량의 목간과 벼루도 이곳에서 정치・외교・군사에 관한 중요한 사실을 문서로 작성해 중앙에 보고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음을 시사한다.  
+
산성 안에 축조되는 건물들은 일반적으로 창고, 병영, 장대 등 전투에 필요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렇지만 [[하남 이성산성]]은 이 외에도 행정적, 의례적인 요소의 건물들이 보이고 있다. 이것은 산성의 기능이 단순히 군사적인 목적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행정중심지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음을 말해준다. 산성에서 출토된 다량의 목간과 벼루도 이곳에서 정치・외교・군사에 관한 중요한 사실을 문서로 작성해 중앙에 보고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음을 시사한다.  
  
'''하남 이성산성'''에 있는 건물지 중 현재까지 발굴된 것만 11개소이며, 주춧돌이 일부 노출되었거나 건물지가 확실한 것을 포함하면 최소한 20개소 이상의 대형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건물지의 특징은 다각형 건물이 많다는 점이다. 그중 9각 건물은 9자가 완전무결함을 상징하는 하늘의 숫자이므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천단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와 대칭되는 지점에 있는 8각건물은 가운데에 건물의 구조와 전혀 관계가 없는 돌기둥 4개가 세워져 있고 8은 땅의 숫자이므로 사직단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하남 이성산성]]에 있는 건물지 중 현재까지 발굴된 것만 11개소이며, 주춧돌이 일부 노출되었거나 건물지가 확실한 것을 포함하면 최소한 20개소 이상의 대형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건물지의 특징은 다각형 건물이 많다는 점이다. 그중 9각 건물은 9자가 완전무결함을 상징하는 하늘의 숫자이므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천단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와 대칭되는 지점에 있는 8각건물은 가운데에 건물의 구조와 전혀 관계가 없는 돌기둥 4개가 세워져 있고 8은 땅의 숫자이므로 사직단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명칭 || 형태||크기(cm)||면적(평)||방향||용척||기능||비고
 
!명칭 || 형태||크기(cm)||면적(평)||방향||용척||기능||비고
 
|-
 
|-
|E지구건물지 ||장방형||3,202x788||76.5|| ||고구려척|| ||[[누각형 건물]]
+
|E지구건물지 ||장방형||3,202x788||76.5|| ||고구려척|| ||누각형 건물
 
|-
 
|-
|C지구1호건물지 ||장방형||3,620x800||89.4|| ||고구려척|| ||[[누각형 건물]]
+
|C지구1호건물지 ||장방형||3,620x800||89.4|| ||고구려척|| ||누각형 건물
 
|-
 
|-
|2호건물지 ||장방형||3,400x790||82.9|| 남서||고구려척||창고 ||[[누각형 건물]]
+
|2호건물지 ||장방형||3,400x790||82.9|| 남서||고구려척||창고 ||누각형 건물
 
|-
 
|-
 
|H지구건물지  ||장방형||1,370x660||27.9||남동 |||| ||벽의 흔적
 
|H지구건물지  ||장방형||1,370x660||27.9||남동 |||| ||벽의 흔적
44번째 줄: 44번째 줄: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A는 B에 속한다||[[유적: 하남 이성산성]]
+
|[[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A는 B에 속한다||[[하남 이성산성]]
 
|-
 
|-
|[[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A는 B와 관련된다||[[유적: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
|[[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A는 B와 같은 형태이다||[[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
 
|}
  
 
=='''갤러리'''==
 
=='''갤러리'''==
 
<gallery>
 
<gallery>
파일:온돌지.jpg|온돌지 평면도 및 단면도<ref>그림출처: 최종택, 앞의 책, 2014a, 23쪽.</ref>
+
파일:12각.jpg|12각건물지<ref>사진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search_photo_list.jsp?VdkVgwKey=13%2C04220000%2C31&queryText=&mc=NS_04_03_01&VdkVgwKey=13%2C04220000%2C31 하남 이성산성, 문화재청]</ref>
파일:1호온돌.jpg|1호온돌 전경<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ref>
+
파일:장방형.jpg|장방형건물지<ref>사진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search_photo_list.jsp?VdkVgwKey=13%2C04220000%2C31&queryText=&mc=NS_04_03_01&VdkVgwKey=13%2C04220000%2C31 하남 이성산성, 문화재청]</ref>
파일:2호온돌.jpg|2호온돌 굴뚝부와 초석 중복 전경<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ref>
+
파일:23호온돌.png|2,3호온돌 전경<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ref>
+
파일:23호온돌2.jpg|2,3호온돌 전경(동에서)<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ref>
+
파일:4호온돌.jpg|4호온돌 전경<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ref>
+
파일:5호온돌.jpg|5호온돌 전경(서에서)<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ref>
+
파일:완형각병.jpg|온돌지에서 출토된 완형의 각병<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96쪽.</ref>
+
파일:주름무늬.png|온돌지에서 출토된 주름무늬병<ref>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97쪽.</ref>
+
 
</gallery>
 
</gallery>
  

2016년 6월 16일 (목) 13:38 기준 최신판

개관

산성 안에 축조되는 건물들은 일반적으로 창고, 병영, 장대 등 전투에 필요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렇지만 하남 이성산성은 이 외에도 행정적, 의례적인 요소의 건물들이 보이고 있다. 이것은 산성의 기능이 단순히 군사적인 목적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행정중심지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음을 말해준다. 산성에서 출토된 다량의 목간과 벼루도 이곳에서 정치・외교・군사에 관한 중요한 사실을 문서로 작성해 중앙에 보고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음을 시사한다.

하남 이성산성에 있는 건물지 중 현재까지 발굴된 것만 11개소이며, 주춧돌이 일부 노출되었거나 건물지가 확실한 것을 포함하면 최소한 20개소 이상의 대형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건물지의 특징은 다각형 건물이 많다는 점이다. 그중 9각 건물은 9자가 완전무결함을 상징하는 하늘의 숫자이므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천단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와 대칭되는 지점에 있는 8각건물은 가운데에 건물의 구조와 전혀 관계가 없는 돌기둥 4개가 세워져 있고 8은 땅의 숫자이므로 사직단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하남 이성산성 내의 주요 건물지[1]
명칭 형태 크기(cm) 면적(평) 방향 용척 기능 비고
E지구건물지 장방형 3,202x788 76.5 고구려척 누각형 건물
C지구1호건물지 장방형 3,620x800 89.4 고구려척 누각형 건물
2호건물지 장방형 3,400x790 82.9 남서 고구려척 창고 누각형 건물
H지구건물지 장방형 1,370x660 27.9 남동 벽의 흔적
D지구8각건물지 8각(2열) 직경880 18.8 남동 당척 사직단 벽의 흔적
B지구9각건물지 9각(2열) 직경1,032 25.8 북서 당척 천단 벽의 흔적
C지구12각건물지 9각(2열) 직경1,024 25.4 당척 벽의 흔적

지도

클래스

  • 유적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A는 B에 속한다 하남 이성산성
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A는 B와 같은 형태이다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갤러리

주석

  1. 이성산성, 문화콘텐츠닷컴
  2. 사진출처: 하남 이성산성, 문화재청
  3. 사진출처: 하남 이성산성, 문화재청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