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02 이소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에 의한 50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center><font size=6>정해년 진찬 음식과 식재료 및 조리공간의 관계망 설계</font></center> | <center><font size=6>정해년 진찬 음식과 식재료 및 조리공간의 관계망 설계</font></center> | ||
− | + | ='''정해년 진찬의 역사적 배경과 기록'''= | |
신정왕후(1808~1890)의 팔순을 맞아 정해년(1887년, 고종24년) 1월 27~29일 3일간 경복궁 만경전에서 연회를 베풀었다. 정해년 진찬에는 행사의 주인공인 신정왕후를 비롯한 왕실가족과 친인척 등 손님으로 초대된 내외빈, 진찬을 준비한 진찬소 당상과 낭청, 그리고 궁인 및 차비, 악공, 여령, 숙수 등이 참여했다. 정해년 진찬의 전모는 <정해 진찬의궤>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의궤에 기록된 도식이나 진찬도병으로 당시의 연회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br /> | 신정왕후(1808~1890)의 팔순을 맞아 정해년(1887년, 고종24년) 1월 27~29일 3일간 경복궁 만경전에서 연회를 베풀었다. 정해년 진찬에는 행사의 주인공인 신정왕후를 비롯한 왕실가족과 친인척 등 손님으로 초대된 내외빈, 진찬을 준비한 진찬소 당상과 낭청, 그리고 궁인 및 차비, 악공, 여령, 숙수 등이 참여했다. 정해년 진찬의 전모는 <정해 진찬의궤>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의궤에 기록된 도식이나 진찬도병으로 당시의 연회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br /> | ||
<정해 진찬의궤> ‘찬품’부분에는 연회마다 대상별 받은 상차림의 명칭과 그 상차림에 차린 음식, 기물 등이 자세히 적혀 있다. 상차림에 오른 음식은 각각 재료와 분량, 고임의 높이가 적혀 있다. ‘수리’부분에는 음식을 조리하고 상을 차리는 장소인 내숙설소의 분업화된 공간의 규모가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정해년 진찬에 소용된 연회음식과 식재료의 쓰임, 음식이 만들어지는 공간과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br /> | <정해 진찬의궤> ‘찬품’부분에는 연회마다 대상별 받은 상차림의 명칭과 그 상차림에 차린 음식, 기물 등이 자세히 적혀 있다. 상차림에 오른 음식은 각각 재료와 분량, 고임의 높이가 적혀 있다. ‘수리’부분에는 음식을 조리하고 상을 차리는 장소인 내숙설소의 분업화된 공간의 규모가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정해년 진찬에 소용된 연회음식과 식재료의 쓰임, 음식이 만들어지는 공간과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br /> | ||
− | + | ='''Semantic Network / 정해년 진찬음식 시맨틱 설계'''= | |
− | + | ||
정해년 진찬 중 만경전 정일진찬을 중심으로 어떤 상차림들이 차려지고, 음식마다 어떤 식재료를 이용해 어디서 만들어지며, 하나의 식재료는 어떤 음식들과 상차림에 투입되고, 분업화된 조리공간에서는 어떤 음식들이 다루어지는 과정을 온톨로지(ontology) 개념에 입각하여 정해년 진찬 음식의 입체적인 관계망을 설계해보았다. <br /> | 정해년 진찬 중 만경전 정일진찬을 중심으로 어떤 상차림들이 차려지고, 음식마다 어떤 식재료를 이용해 어디서 만들어지며, 하나의 식재료는 어떤 음식들과 상차림에 투입되고, 분업화된 조리공간에서는 어떤 음식들이 다루어지는 과정을 온톨로지(ontology) 개념에 입각하여 정해년 진찬 음식의 입체적인 관계망을 설계해보았다. <br /> | ||
‘온톨로지’란 정보화의 대상이 되는 세계를 전자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데이터 기술 체계이다. 정보 요소 하나하나가 서로에 대해 어떤 의미의 관계가 있는지를 보여 주기 때문에 ‘의미 기반 데이터베이스’(Semantics-based Database, Semantic Database)라고도 한다.<ref>[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20/DigitalCuration.pdf 金炫, 「유교문화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세계유교문화박물관 디지털 아카이브 마스터플랜 연구, 2020. 3.]</ref><br /> | ‘온톨로지’란 정보화의 대상이 되는 세계를 전자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데이터 기술 체계이다. 정보 요소 하나하나가 서로에 대해 어떤 의미의 관계가 있는지를 보여 주기 때문에 ‘의미 기반 데이터베이스’(Semantics-based Database, Semantic Database)라고도 한다.<ref>[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20/DigitalCuration.pdf 金炫, 「유교문화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세계유교문화박물관 디지털 아카이브 마스터플랜 연구, 2020. 3.]</ref><br /> | ||
− | |||
− | |||
− | |||
+ | ==정해년 진찬음식 관련 데이터 소스와 활용 콘텐츠==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id !! 권 !! 편명 !! 활용 콘텐츠 | + | |- |
+ | !id !! 권 !! 편명 !! 활용 콘텐츠 | ||
|- | |- | ||
| [[R1887-00-03]] || 정해진찬의궤권수 || 圖式_도식 || - 채화(상화:고임음식 위에 꽂는 종이나 비단으로 만든 꽃) 그림<br /> | | [[R1887-00-03]] || 정해진찬의궤권수 || 圖式_도식 || - 채화(상화:고임음식 위에 꽂는 종이나 비단으로 만든 꽃) 그림<br /> | ||
38번째 줄: | 36번째 줄: | ||
| [[R1887-03-01]] || 정해진찬의궤권삼 || 修理_수리 || -내숙설소가가 내 분업화된 조리 및 배선 공간 명칭과 규모 | | [[R1887-03-01]] || 정해진찬의궤권삼 || 修理_수리 || -내숙설소가가 내 분업화된 조리 및 배선 공간 명칭과 규모 | ||
|-}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클래스(Classes) 범주화== | ||
위와 같은 데이터 소스 내용을 바탕으로 핵심 데이터 클래스(Core Data Classes)를 설계해 본다. <br /> | 위와 같은 데이터 소스 내용을 바탕으로 핵심 데이터 클래스(Core Data Classes)를 설계해 본다. <br /> | ||
− | 1. 문맥 요소 클래스 (Contextual Element Classes) | + | ==='''1. 문맥 요소 클래스 (Contextual Element Classes) 설계'''=== |
− | 이것은 Person, Place, Event, Record, Concept 등의 문맥 요소 클래스는 텍스트 소스 에 등장하는 인명, 지명, 역사적 사건, 문헌명, 개념 용어 등을 표출하여 정보화하기 위한 것이다. <br /> | + | 이것은 Person, Place, Event, Record, Concept 등의 문맥 요소 클래스는 텍스트 소스 에 등장하는 인명, 지명, 역사적 사건, 문헌명, 개념 용어 등을 표출하여 정보화하기 위한 것이다.<ref>[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17/다산정보화구상170513(김현).pdf 김현, 「다산 저작 텍스트의 전자정보화를 위한 온톨로지 설계」 , 『고전자료의 현대화 연구: 세계사 속의 다산학』 (AKSR2016-J08)]</ref> <br /> |
+ | 표. 정해년 진찬 음식의 클래스 분류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Class !! Explanation | ||
+ | |- | ||
+ | |Record||<정해 진찬의궤> 원문 | ||
+ | |- | ||
+ | |Actor||인물 | ||
+ | |- | ||
+ | |Menu||상차림 | ||
+ | |- | ||
+ | |food||연회음식, 음식 | ||
+ | |- | ||
+ | |Ingredient||식재료 | ||
+ | |- | ||
+ | |Form||고임의 높이 | ||
+ | |- | ||
+ | |Object||상화 | ||
+ | |- | ||
+ | |Kitchen||음식을 만드는 장소 |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2. 시각 자료 클래스 (Visual Reference) 설계'''=== | ||
+ | 시작자료는 클래스마다 상이나 음식이미지 아이콘을 활용한다. 시각자료는 글로 표현되는 자료보다 데이터가 보여주는 추세나 스토리를 즉각적으로 알아볼 수 있게 해준다. <br /> | ||
− | == | + | 표. 정해년 진찬 음식의 시각자료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Class !! Image | ||
+ | |- | ||
+ | |Menu||[[File:menu.png| 80픽셀 |]] | ||
+ | |- | ||
+ | |Food||[[만경전진찬_대왕대비전_진어찬안_icon]] | ||
+ | |- | ||
+ | |Object||[[File:정해진찬의궤_도식_상화_삼층대수파련.jpg| 80픽셀 |]] | ||
+ | |- | ||
+ | |Kitchen||http://digerati.aks.ac.kr/DhLab/2021/102/icon/book/architecture.png |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3. 속성(Attribute: Data Type Property) 설계'''=== | |
+ | 클래스에 소속하는 각각의 개체(Individual Objects)들의 성격과 내용은 속성(Attribute: Data Type Property)과 관계성(Relation: Object Property) 정보의 형태로 기술된다. 이 정보가 문자와 숫자로 기술되고, 적용 범위가 해당 개체에만 한정되는 것을 ‘속성’(Attribute: Data TypeProperty)이라고 하고, 그 정보가 다른 개체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면 이를 ‘관계성’(Relation: Object Property)이라고 한다.<ref>[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17/다산정보화구상170513(김현).pdf 김현(2016) 앞의 논문]</ref><br /> | ||
+ | 정해년 진찬 음식의 경우, 각 음식 1그릇에 들어가는 완성음식의 수량이나 채화의 개수 등이 속성(Attribute)으로 표시하였다.<br /> | ||
+ | ==='''4. 관계성(Relation: Object Property) 설계'''=== | ||
+ | 클래스에 소속하는 각각의 개체(Individual Objects)들이 다른 클래스 또는 동일 클래스 내의 다른 개체들과 맺고 있는 관계의 양상은 관계성(Relation: Object Property) 정보의 형태로 기술된다.<ref>[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17/다산정보화구상170513(김현).pdf 김현(2016) 앞의 논문]</ref><br /> | ||
+ | 정해년 진찬 음식의 관계성 설계는 다음과 같다.<br /> | ||
+ | 표. 정해년 진찬 음식의 관계성 정보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Relation !! Explanation | ||
+ | |- | ||
+ | |hasPart||A(Menu)는 B(Food)를 부분으로 삼는다. | ||
+ | |- | ||
+ | |hasIngredient||A(Food)는 B(Ingredient)를 재료로 삼는다. | ||
+ | |- | ||
+ | |Includes||A(Food)는 B(Sec. Food)를 포함한다. | ||
+ | |- | ||
+ | |hasForm||A(Food)는 B(Form)를 형태로 한다. | ||
+ | |- | ||
+ | |Serves||A(Kitchen)은 B(Food)를 차린다. | ||
+ | |- | ||
+ | |Cooks||A(Kitchen)은 B(Food)를 조리한다. | ||
+ | |- | ||
+ | |Prepares||A(Kitchen)은 B(Food or Ingredient)를 준비한다. | ||
+ | |- | ||
+ | |isPreviousInSequence||A(Kitchen)에서 B(Kitchen)로 이동한다.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정해년 진찬 음식 온톨로지 설계 다이어그램== | |
+ | [[File:정해년 진찬음식_다이아그램.jpg| 700픽셀 | ]] | ||
+ | ='''Query'''= | ||
+ | {{SemanticQuery | db=RoyalCuisine | project=food | key=삼색매화강정}} | ||
+ | ='''Network'''= | ||
+ | {{SemanticNetwork | db=RoyalCuisine | project=food | key=삼색매화강정}} | ||
{{SemanticNetwork2 | db=RoyalCuisine | project=food | key=삼색매화강정}} | {{SemanticNetwork2 | db=RoyalCuisine | project=food | key=삼색매화강정}} | ||
− | + | ='''참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62869&categoryId=62869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조대비의 팔순잔치(이효지.한복려.정길자 공저, 한국문화재재단)] | |
− | + | * [[Dry Martini]] | |
+ | * [[정해년진찬 식재료]] | ||
+ | * [[만경전 진찬 음식 만드는 장소]] | ||
2021년 6월 20일 (일) 16:07 기준 최신판
정해년 진찬의 역사적 배경과 기록
신정왕후(1808~1890)의 팔순을 맞아 정해년(1887년, 고종24년) 1월 27~29일 3일간 경복궁 만경전에서 연회를 베풀었다. 정해년 진찬에는 행사의 주인공인 신정왕후를 비롯한 왕실가족과 친인척 등 손님으로 초대된 내외빈, 진찬을 준비한 진찬소 당상과 낭청, 그리고 궁인 및 차비, 악공, 여령, 숙수 등이 참여했다. 정해년 진찬의 전모는 <정해 진찬의궤>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의궤에 기록된 도식이나 진찬도병으로 당시의 연회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정해 진찬의궤> ‘찬품’부분에는 연회마다 대상별 받은 상차림의 명칭과 그 상차림에 차린 음식, 기물 등이 자세히 적혀 있다. 상차림에 오른 음식은 각각 재료와 분량, 고임의 높이가 적혀 있다. ‘수리’부분에는 음식을 조리하고 상을 차리는 장소인 내숙설소의 분업화된 공간의 규모가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정해년 진찬에 소용된 연회음식과 식재료의 쓰임, 음식이 만들어지는 공간과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Semantic Network / 정해년 진찬음식 시맨틱 설계
정해년 진찬 중 만경전 정일진찬을 중심으로 어떤 상차림들이 차려지고, 음식마다 어떤 식재료를 이용해 어디서 만들어지며, 하나의 식재료는 어떤 음식들과 상차림에 투입되고, 분업화된 조리공간에서는 어떤 음식들이 다루어지는 과정을 온톨로지(ontology) 개념에 입각하여 정해년 진찬 음식의 입체적인 관계망을 설계해보았다.
‘온톨로지’란 정보화의 대상이 되는 세계를 전자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데이터 기술 체계이다. 정보 요소 하나하나가 서로에 대해 어떤 의미의 관계가 있는지를 보여 주기 때문에 ‘의미 기반 데이터베이스’(Semantics-based Database, Semantic Database)라고도 한다.[1]
정해년 진찬음식 관련 데이터 소스와 활용 콘텐츠
id | 권 | 편명 | 활용 콘텐츠 |
---|---|---|---|
R1887-00-03 | 정해진찬의궤권수 | 圖式_도식 | - 채화(상화:고임음식 위에 꽂는 종이나 비단으로 만든 꽃) 그림 - 음식관련 기물 |
R1887-02-03 | 정해진찬의궤권이 | 饌品_찬품 | - 음식과 상차림을 준비하는 내숙설소(조리공간)의 위치와 규모 - 상차림의 명칭과 그 상차림을 받는 대상 |
R1887-02-03C | 정해진찬의궤권이 | 饌品_채화 | - 고임음식 위에 꽂는 상화의 명칭과 수량 다만, 어떤 음식에 어떤 상화를 꽂는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 |
R1887-03-01 | 정해진찬의궤권삼 | 修理_수리 | -내숙설소가가 내 분업화된 조리 및 배선 공간 명칭과 규모 |
Class | Explanation |
---|---|
Record | <정해 진찬의궤> 원문 |
Actor | 인물 |
Menu | 상차림 |
food | 연회음식, 음식 |
Ingredient | 식재료 |
Form | 고임의 높이 |
Object | 상화 |
Kitchen | 음식을 만드는 장소 |
Class | Image |
---|---|
Menu | |
Food | 만경전진찬_대왕대비전_진어찬안_icon |
Object | |
Kitchen |
Relation | Explanation |
---|---|
hasPart | A(Menu)는 B(Food)를 부분으로 삼는다. |
hasIngredient | A(Food)는 B(Ingredient)를 재료로 삼는다. |
Includes | A(Food)는 B(Sec. Food)를 포함한다. |
hasForm | A(Food)는 B(Form)를 형태로 한다. |
Serves | A(Kitchen)은 B(Food)를 차린다. |
Cooks | A(Kitchen)은 B(Food)를 조리한다. |
Prepares | A(Kitchen)은 B(Food or Ingredient)를 준비한다. |
isPreviousInSequence | A(Kitchen)에서 B(Kitchen)로 이동한다. |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