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이한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정재 : 의식 요소로서의 정재 & 종합예술로서의 정재)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관련 위키페이지 구성 | ** 관련 위키페이지 구성 | ||
** 온톨로지 설계 | ** 온톨로지 설계 | ||
− | |||
− | |||
* 데이터 소스 | * 데이터 소스 | ||
21번째 줄: | 19번째 줄: | ||
}} | }} | ||
+ | ==유사 사례 예시: 순조 29년 자경전 진찬== | ||
− | ===순조실록 30권, 순조 29년 2월 12일 병자 / 1829년 / 청 도광(道光) 9년=== | + | ===Text: 순조실록 30권, 순조 29년 2월 12일 병자 / 1829년 / 청 도광(道光) 9년=== |
丙子/受內進饌于慈慶殿。 【上具翼善冠袞龍袍出次, 奏風雲慶會之樂, 夢金尺之舞。 陞座奏萬壽永無疆引。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 行禮後, 奏《太平年》之曲、《致和平》之曲、《慶豊樂》之曲。 尙食奉御饌以進, 奏《瑞雲曜日》之曲。 尙食進花, 奏《慶春光》之曲、《艶陽春》之曲。 頒花後, 司唱二人唱樂章, 奏長生寶宴之樂舞。 王世子詣壽酒亭, 以第一爵授尙食以進, 女執事讀致詞。 訖, 奏《壽齊天》之曲。 尙宮出楹外稱有敎: ‘稱觴之辰與王世子同之,’ 奏《殿前歡》之曲。 尙食進鹽水, 奏《萬波停息》之曲。 尙食捧小膳以進, 奏《壽燿南極》之曲進湯, 奏《景籙無疆》之曲, 進大膳、奏淮安之曲, 進饅頭, 奏《日昇月恒》之曲。 王世子嬪詣壽酒亭, 以第二爵, 授尙食以進, 奏《帝壽昌》之曲獻仙桃。 女官讀致詞訖, 奏《應天長》之曲。 尙宮出中門稱有敎: ‘稱觴之辰與王世子嬪同之,’ 奏《金殿樂》之曲。 進茶奏《樂昇平》之曲。 女執事奉饌果床, 進于王世子王世子嬪前, 奏《乾淸坤寧》之曲。 左命婦班首詣進爵位, 以第三爵, 授尙食以進, 奏《壽寧》之曲, 響鈸舞。 典言讀致詞訖, 奏岡陵之曲ㆍ《祝華》之曲。 右命婦班首進第四爵, 竝如上儀, 而樂奏《賀聖朝》之曲, 牙拍舞《樂千春》之曲。 《獻天壽》之曲。 尙宮出中門稱有敎 ‘稱觴之辰與左右命婦同之。’ 宗親班首詣進爵位, 以第五爵。 授尙食以進, 奏《千年萬歲》之曲抛毬樂。 女執事讀致詞訖, 奏《天籙永昌》之曲。 尙宮出楹外, 稱有敎, 敬擧卿等之觴, 奏《長春不老》之曲。 儀賓班首詣進爵位, 以第六爵, 授尙食以進, 奏《演百福》之曲壽延長之舞。 女執事讀致詞訖, 奏《萬斯年》之曲。 尙宮出楹外, 稱有敎, 敬擧卿等之觴, 奏《禎祥》之曲。 戚臣班首詣進爵位, 以第七爵, 授尙食以進, 奏《萬壽長樂》之曲, 荷皇恩。 女執事讀致詞訖, 奏《堯階樂》之曲。 尙宮出楹外稱有敎: ‘敬擧卿等之觴。’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 還就拜位行山呼禮, 奏《昌運頌》之曲。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行禮後還就座, 奏《嘉樂》之曲。 典膳供左右命婦饌卓, 女執事供宗親儀賓戚臣饌卓, 奏《慶太平》之曲舞豉。 王世子進前, 上以爵授尙食以進, 王世子跪受爵擧飮還就座, 奏《喜新春》之曲蓮花臺。 王世子嬪進前, 上以爵授尙食以進。 王世子嬪跪受爵擧飮還就座, 奏《慶芳春》之曲。 《樂萬歲》之曲。 《淸平樂》之曲。 《天保》之樂。 尙食進別行果于上前, 奏《天仙子》之曲。 進別行果于王世子王世子嬪前, 奏《武寧》之曲旗隊。 典膳行酒于左右命婦, 女執事行酒于宗親儀賓戚臣。 司唱二人唱樂章, 奏《萬方寧》之曲船遊樂。 尙食退御膳, 奏《長生樂》之曲。 女執事退王世子王世子嬪饌果床, 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饌卓, 奏《慶成》之曲。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行禮禮畢, 奏飛龍引, 五羊仙。 上入大次, 女官奉入致詞凾, 奏五雲仙鶴引。】 | 丙子/受內進饌于慈慶殿。 【上具翼善冠袞龍袍出次, 奏風雲慶會之樂, 夢金尺之舞。 陞座奏萬壽永無疆引。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 行禮後, 奏《太平年》之曲、《致和平》之曲、《慶豊樂》之曲。 尙食奉御饌以進, 奏《瑞雲曜日》之曲。 尙食進花, 奏《慶春光》之曲、《艶陽春》之曲。 頒花後, 司唱二人唱樂章, 奏長生寶宴之樂舞。 王世子詣壽酒亭, 以第一爵授尙食以進, 女執事讀致詞。 訖, 奏《壽齊天》之曲。 尙宮出楹外稱有敎: ‘稱觴之辰與王世子同之,’ 奏《殿前歡》之曲。 尙食進鹽水, 奏《萬波停息》之曲。 尙食捧小膳以進, 奏《壽燿南極》之曲進湯, 奏《景籙無疆》之曲, 進大膳、奏淮安之曲, 進饅頭, 奏《日昇月恒》之曲。 王世子嬪詣壽酒亭, 以第二爵, 授尙食以進, 奏《帝壽昌》之曲獻仙桃。 女官讀致詞訖, 奏《應天長》之曲。 尙宮出中門稱有敎: ‘稱觴之辰與王世子嬪同之,’ 奏《金殿樂》之曲。 進茶奏《樂昇平》之曲。 女執事奉饌果床, 進于王世子王世子嬪前, 奏《乾淸坤寧》之曲。 左命婦班首詣進爵位, 以第三爵, 授尙食以進, 奏《壽寧》之曲, 響鈸舞。 典言讀致詞訖, 奏岡陵之曲ㆍ《祝華》之曲。 右命婦班首進第四爵, 竝如上儀, 而樂奏《賀聖朝》之曲, 牙拍舞《樂千春》之曲。 《獻天壽》之曲。 尙宮出中門稱有敎 ‘稱觴之辰與左右命婦同之。’ 宗親班首詣進爵位, 以第五爵。 授尙食以進, 奏《千年萬歲》之曲抛毬樂。 女執事讀致詞訖, 奏《天籙永昌》之曲。 尙宮出楹外, 稱有敎, 敬擧卿等之觴, 奏《長春不老》之曲。 儀賓班首詣進爵位, 以第六爵, 授尙食以進, 奏《演百福》之曲壽延長之舞。 女執事讀致詞訖, 奏《萬斯年》之曲。 尙宮出楹外, 稱有敎, 敬擧卿等之觴, 奏《禎祥》之曲。 戚臣班首詣進爵位, 以第七爵, 授尙食以進, 奏《萬壽長樂》之曲, 荷皇恩。 女執事讀致詞訖, 奏《堯階樂》之曲。 尙宮出楹外稱有敎: ‘敬擧卿等之觴。’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 還就拜位行山呼禮, 奏《昌運頌》之曲。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行禮後還就座, 奏《嘉樂》之曲。 典膳供左右命婦饌卓, 女執事供宗親儀賓戚臣饌卓, 奏《慶太平》之曲舞豉。 王世子進前, 上以爵授尙食以進, 王世子跪受爵擧飮還就座, 奏《喜新春》之曲蓮花臺。 王世子嬪進前, 上以爵授尙食以進。 王世子嬪跪受爵擧飮還就座, 奏《慶芳春》之曲。 《樂萬歲》之曲。 《淸平樂》之曲。 《天保》之樂。 尙食進別行果于上前, 奏《天仙子》之曲。 進別行果于王世子王世子嬪前, 奏《武寧》之曲旗隊。 典膳行酒于左右命婦, 女執事行酒于宗親儀賓戚臣。 司唱二人唱樂章, 奏《萬方寧》之曲船遊樂。 尙食退御膳, 奏《長生樂》之曲。 女執事退王世子王世子嬪饌果床, 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饌卓, 奏《慶成》之曲。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行禮禮畢, 奏飛龍引, 五羊仙。 上入大次, 女官奉入致詞凾, 奏五雲仙鶴引。】 | ||
30번째 줄: | 29번째 줄: | ||
至德享天, 壽曜拱辰。 丹扆布化, 肇三十春。 乾尊坤厚, 翼子詒孫。 絪縕瑞旭, 豔溢華尊, 龍雲慶會, 軒鼓虞絃。 時萬時億, 歲歲此筵。 至德融和, 誕受天佑。 而壽而康, 慶溢區宇。 猗玆四旬, 肇萬八千。 中元介眉, 彌月開筵。 挹彼北斗, 酌以東海, 祝我無疆, 曷任誠愛? | 至德享天, 壽曜拱辰。 丹扆布化, 肇三十春。 乾尊坤厚, 翼子詒孫。 絪縕瑞旭, 豔溢華尊, 龍雲慶會, 軒鼓虞絃。 時萬時億, 歲歲此筵。 至德融和, 誕受天佑。 而壽而康, 慶溢區宇。 猗玆四旬, 肇萬八千。 中元介眉, 彌月開筵。 挹彼北斗, 酌以東海, 祝我無疆, 曷任誠愛? | ||
+ | ==Process Sequence== | ||
+ | |||
+ | # 上具翼善冠袞龍袍出次, 奏《風雲慶會》之樂, 《夢金尺》之舞。 | ||
+ | # 陞座, 奏《萬壽永無疆引》。 | ||
+ | #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 行禮後, 奏《太平年》之曲、《致和平》之曲、《慶豊樂》之曲。 | ||
+ | # 尙食奉御饌以進, 奏《瑞雲曜日》之曲。 | ||
+ | # 尙食進花, 奏《慶春光》之曲、《艶陽春》之曲。 | ||
+ | # 頒花後, 司唱二人唱樂章, 奏《長生寶宴》之樂舞。 | ||
+ | # 王世子詣壽酒亭, 以第一爵授尙食以進, | ||
+ | # 女執事讀致詞, 訖, 奏《壽齊天》之曲。 | ||
+ | # 尙宮出楹外稱有敎: ‘稱觴之辰與王世子同之,’ 奏《殿前歡》之曲。 | ||
+ | # 尙食進鹽水, 奏《萬波停息》之曲。 | ||
+ | # 尙食捧小膳以進, 奏《壽燿南極》之曲。 | ||
+ | # 進湯, 奏《景籙無疆》之曲, | ||
+ | # 進大膳、奏《淮安》之曲, | ||
+ | # 進饅頭, 奏《日昇月恒》之曲。 | ||
+ | # 王世子嬪詣壽酒亭, 以第二爵, 授尙食以進, 奏《帝壽昌》之曲, 《獻仙桃》。 | ||
+ | # 女官讀致詞, 訖, 奏《應天長》之曲。 | ||
+ | # 尙宮出中門稱有敎: ‘稱觴之辰與王世子嬪同之,’ 奏《金殿樂》之曲。 | ||
+ | # 進茶, 奏《樂昇平》之曲。 | ||
+ | # 女執事奉饌果床, 進于王世子王世子嬪前, 奏《乾淸坤寧》之曲。 | ||
+ | # 左命婦班首詣進爵位, 以第三爵, 授尙食以進, 奏《壽寧》之曲, 響鈸舞。 | ||
+ | # 典言讀致詞, 訖, 奏《岡陵》之曲ㆍ《祝華》之曲。 | ||
+ | # 右命婦班首進第四爵, 竝如上儀, 而樂奏《賀聖朝》之曲, 《牙拍舞》, 《樂千春》之曲。 《獻天壽》之曲。 | ||
+ | # 尙宮出中門稱有敎 ‘稱觴之辰與左右命婦同之。’ | ||
+ | # 宗親班首詣進爵位, 以第五爵授尙食以進。 奏《千年萬歲》之曲, 《抛毬樂》。 | ||
+ | # 女執事讀致詞, 訖, 奏《天籙永昌》之曲。 | ||
+ | # 尙宮出楹外, 稱有敎, 敬擧卿等之觴, 奏《長春不老》之曲。 | ||
+ | # 儀賓班首詣進爵位, 以第六爵授尙食以進。奏《演百福》之曲, 《壽延長》之舞。 | ||
+ | # 女執事讀致詞, 訖, 奏《萬斯年》之曲。 | ||
+ | # 尙宮出楹外, 稱有敎, 敬擧卿等之觴, 奏《禎祥》之曲。 | ||
+ | # 戚臣班首詣進爵位, 以第七爵授尙食以進。 奏《萬壽長樂》之曲, 《荷皇恩》。 | ||
+ | # 女執事讀致詞, 訖, 奏《堯階樂》之曲。 | ||
+ | # 尙宮出楹外稱有敎: ‘敬擧卿等之觴。’ | ||
+ | #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 還就拜位行山呼禮, 奏《昌運頌》之曲。 | ||
+ | #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行禮後還就座, 奏《嘉樂》之曲。 | ||
+ | # 典膳供左右命婦饌卓, 女執事供宗親儀賓戚臣饌卓, 奏《慶太平》之曲, 《舞豉》。 | ||
+ | # 王世子進前, 上以爵授尙食以進, 王世子跪受爵擧飮還就座, 奏《喜新春》之曲, 《蓮花臺》。 | ||
+ | # 王世子嬪進前, 上以爵授尙食以進。 王世子嬪跪受爵擧飮還就座, 奏《慶芳春》之曲。 《樂萬歲》之曲。 《淸平樂》之曲。 《天保之樂》。 | ||
+ | # 尙食進別行果于上前, 奏《天仙子》之曲。 | ||
+ | # 尙食進別行果于王世子王世子嬪前, 奏《武寧》之曲, 《劍旗隊》。 | ||
+ | # 典膳行酒于左右命婦, 女執事行酒于宗親儀賓戚臣。 | ||
+ | # 司唱二人唱樂章, 奏《萬方寧》之曲, 《船遊樂》。 | ||
+ | # 尙食退御膳, 奏《長生樂》之曲。 | ||
+ | # 女執事退王世子王世子嬪饌果床, 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饌卓, 奏《慶成》之曲。 | ||
+ | #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行禮, 禮畢, 奏《飛龍引》, 《五羊仙》。 | ||
+ | # 上入大次, 女官奉入致詞凾, 奏《五雲仙鶴引》。 | ||
+ | |||
+ | |||
+ | # 임금이 익선관과 곤룡포를 갖추어 입고 위차(位次)에 나오니, 풍운경회(風雲慶會)의 음악과 몽금척(夢金尺)의 춤을 추었다. | ||
+ | # 임금이 좌석에 올라 앉자 만수영무강인(萬壽永無疆引)을 연주하였다. | ||
+ | # 왕세자와 왕세자빈 및 좌우명부(左右命婦)·종친·의빈(儀賓)·척신(戚臣)들이 행례한 뒤에 태평년지곡(太平年之曲)·치화평지곡(致和平之曲)·경풍락지곡(慶豊樂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식(尙食)이 어찬(御饌)을 받들어 올리자 서운요일지곡(瑞雲曜日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식이 꽃을 올리자 경춘광지곡(慶春光之曲)과 염양춘지곡(艶陽春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사창(司唱) 2명이 악장(樂章)을 창하고 장생보연지악무(長生寶宴之樂舞)를 연주하였다. | ||
+ | # 왕세자가 수주정(壽酒亭)에 나아가 제1작(第一爵)을 상식(尙食)에게 주어 올리게 하고 | ||
+ | # 여집사(女執事)가 치사(致詞)를 읽었다. 읽기가 끝나자 수제천지곡(壽齊天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궁이 영외(楹外)에 나가서 전교가 있다고 일컫고 ‘칭상(稱觴)하는 날에 왕세자와 함께 하였노라’ 하고, 전전환지곡(殿前歡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식이 염수(鹽水)를 올리자 만파정식지곡(萬波停息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식이 소찬(小饌)을 받들어 올리자 수휘남극지곡(壽輝南極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식이 탕(湯)을 올리자 경록무강지곡(景籙無疆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식이 대찬(大饌)을 올리자 회안지곡(淮安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식이 만두(饅頭)를 올리자 일승월항지곡(日昇月恒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왕세자빈이 수주정에 나아가 제2작을 상식에게 주어 올리게 하자 제수창지곡(帝壽昌之曲)을 연주하고 헌선도(獻仙桃)를 추었다. | ||
+ | # 여관(女官)이 치사를 읽기를 끝내자 응천장지곡(應天長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궁(尙宮)이 중문(中門)에 나와서 전교가 있다고 일컫고 ‘칭상하는 날에 왕세자빈과 함께 하였노라’고 하였다. 금전락지곡(金殿樂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다(茶)를 올리자 낙승평지곡(樂升平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여집사가 찬과상(饌果床)을 받들고 왕세자와 왕세자빈 앞에 올리자 건청곤녕지곡(乾淸坤寧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좌명부(左命婦) 중의 반수(班首)가 진작위(進爵位)에 나아가 제3작을 상식에게 주어 올리게 하자 수녕지곡(壽寧之曲)을 연주하고 향발무(響鈸舞)를 추었다. | ||
+ | # 전언(典言)이 치사 읽기를 끝내자 강릉지곡(岡陵之曲)과 축화지곡(祝華之曲)이 연주되었다. | ||
+ | # 우명부 중에 반수가 제4작을 위에서 한 의식과 모두 같이 올리자 음악은 하성조지곡(賀聖朝之曲)을 연주하고 아박무(牙拍舞)를 추었으며, 낙천춘시곡(樂千春之曲)과 헌천수지곡(獻天壽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궁이 중문에 나아가 전교가 있다고 일컫고 ‘칭상하는 날에 좌·우명부와 함께 하였노라.’ 하였다. | ||
+ | # 종친 중에 반수가 진작위에 나아가 제5작을 상식에게 주어 올리게 하자 천년만세지곡(千年萬世之曲)을 연주하고 포구악(抛毬樂)을 추었다. | ||
+ | # 여집사가 치사를 읽기를 끝내자 천록영창지곡(天籙永昌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궁이 영외에 나아가 전교가 있다고 일컫고, ‘경 등의 술잔을 공경스레 들었노라’ 하였다. 그리고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의빈 중에 반수가 진작 위에 나아가 제6작을 상식에게 주어 올리게 하자 연백복지곡(演百福之曲)을 연주하고 수연장지무(壽延長之舞)를 추었다. | ||
+ | # 여집사가 치사 읽기를 끝내자 만사년지곡(萬斯年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궁이 영외에 나아가 전교가 있다고 일컫고 ‘경 등의 술잔을 공경스레 들었노라’ 하였다. 그러자 정상지곡(楨祥之曲)이 연주되었다. | ||
+ | # 척신 중에 반수가 진작 위에 나아가 제7작을 상식에게 주어 올리자 만년장락지곡(萬年長樂之曲)을 연주하고 하황은(荷皇恩)을 추었다. | ||
+ | # 여집사가 치사 읽기를 끝내자 요계락지곡(堯堦樂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궁이 영외에 나아가 전교가 있다고 일컫고 ‘경 등의 술잔을 공경스레 들었노라’ 하였다. | ||
+ | # 왕세자와 왕세자빈 및 좌우명부·종친·의빈·척신이 배위(拜位)에 돌아와 서서 산호(山呼)를 부르는 예를 행하고 창운송지곡(昌運頌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왕세자와 왕세자빈 및 좌우명부·종친·의빈·척신이 행례한 뒤에 돌아와 자리에 앉자 가락지곡(嘉樂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전선(典膳)이 좌·우명부의 찬탁(饌卓)을 올리고 여집사가 종친·의빈·척신의 찬탁을 바치자 경태평지곡(慶太平之曲)을 연주하고 무고(舞鼓)를 추었다. | ||
+ | # 왕세자가 앞으로 나아가자 임금이 술잔을 상식에게 주어 가져다가 주게 하니 왕세자가 꿇어앉아서 그 잔을 받아 마시고, 돌아와 좌석에 앉자 희신춘지곡(喜新春之曲)을 연주하고 연화대(蓮花臺)를 추었다. | ||
+ | # 왕세자빈이 앞에 나아가자 술잔을 상식에게 전하여 내리니 왕세자빈이 꿇어앉아서 그 술잔을 받아 마시고 좌석에 돌아가 앉자 경방춘지곡(慶芳春之曲)과 낙만세지곡(樂萬歲之曲)과 청평락지곡(淸平樂之曲)과 천보지락(天保之樂)을 연주하였다. | ||
+ | # 상식이 별행과(別行果)를 임금의 앞에 올리자 천선자지곡(天仙子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상식이 별행과를 왕세자와 왕세자빈 앞에 올리고 무영지곡(武寧之曲)을 연주하고, 검기대(劍旗隊)를 추었다. | ||
+ | # 전선(典膳)이 좌·우명부에게 술을 올리고, 여집사가 종친·의빈·척신에게 술을 올렸다. | ||
+ | # 사창(司唱) 2명이 악장(樂章)을 노래하고, 만방영지곡(萬方寧之曲)을 연주하고 선유악(船遊樂)을 추었다. | ||
+ | # 상식이 어선(御膳)을 물리자 장생락지곡(長生樂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여집사가 왕세자와 왕세자빈의 찬과상(饌果床)을 물리고, 좌·우 명부와 종친·의빈·척신의 찬탁(饌卓)을 물리자 경성지곡(慶成之曲)을 연주하였다. | ||
+ | # 왕세자와 왕세자빈과 좌우명부·종친·의빈·척신이 행례하고, 예가 끝난 뒤에 비룡인(飛龍引)을 연주하고 오양선(五羊仙)을 연주하였다. | ||
+ | # 임금이 대차(大次)에 들어가고 여관(女官)이 치사함(致詞函)을 받들고 들어가자 오운선학인(五雲仙鶴引)을 연주하였다. | ||
+ | |||
+ | ===Data Extraction===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text || actor || post || action || music || dance | ||
+ | |- | ||
+ | | 1. 上具翼善冠袞龍袍出次, 奏《風雲慶會》之樂, 《夢金尺》之舞。 || 上 || || 出次 || 《風雲慶會》 || 《夢金尺》 | ||
+ | |- | ||
+ | | 2. 陞座, 奏《萬壽永無疆引》。 || 上 || || 陞座 || 《萬壽永無疆引》 || | ||
+ | |- | ||
+ | | 3.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 行禮。後, 奏《太平年》之曲、《致和平》之曲、《慶豊樂》之曲。 || 王世子, 王世子嬪, 左右命婦, 宗親, 儀賓, 戚臣 || || 行禮 || 《太平年》, 《致和平》, 《慶豊樂》 || | ||
+ | |- | ||
+ | | 4. 尙食奉御饌以進, 奏《瑞雲曜日》之曲。 || 尙食 || || 奉御饌以進 || 《瑞雲曜日》 || | ||
+ | |- | ||
+ | | 5. 尙食進花, 奏《慶春光》之曲、《艶陽春》之曲。 || 尙食 || || 進花 || 《慶春光》, 《艶陽春》 || | ||
+ | |- | ||
+ | | 6. 頒花後, 司唱二人唱樂章, 奏《長生寶宴》之樂舞。 || 司唱二人 || || 唱樂章 || 《長生寶宴》 || 《長生寶宴舞》 | ||
+ | |- | ||
+ | | 7. 王世子詣壽酒亭, 以第一爵授尙食以進, || 王世子 || 壽酒亭 || 進第一爵 || 《壽齊天》 || | ||
+ | |- | ||
+ | | 8. 女執事讀致詞, 訖, 奏《壽齊天》之曲。 || 女執事 || || 讀致詞 || 《壽齊天》 || | ||
+ | |- | ||
+ | | 9. 尙宮出楹外稱有敎: ‘稱觴之辰與王世子同之,’ 奏《殿前歡》之曲。 || 尙宮 || 楹外 || 稱有敎 || 《殿前歡》 || | ||
+ | |- | ||
+ | | 10. 尙食進鹽水, 奏《萬波停息》之曲。 || 尙食 || || 進鹽水 || 《萬波停息》 || | ||
+ | |- | ||
+ | | 11. 尙食捧小膳以進, 奏《壽燿南極》之曲。 || 尙食 || || 捧小膳以進 || 《壽燿南極》 || | ||
+ | |- | ||
+ | | 12. 進湯, 奏《景籙無疆》之曲, || 尙食 || || 進湯 || 《景籙無疆》 || | ||
+ | |- | ||
+ | | 13. 進大膳、奏《淮安》之曲, || 尙食 || || 進大膳 || 《淮安》 || | ||
+ | |- | ||
+ | | 14. 進饅頭, 奏《日昇月恒》之曲。 || 尙食 || || 進饅頭 || 《日昇月恒》 || | ||
+ | |- | ||
+ | | 15. 王世子嬪詣壽酒亭, 以第二爵, 授尙食以進, 奏《帝壽昌》之曲, 《獻仙桃》。 || 王世子嬪 || 壽酒亭 || 進第二爵 || 《帝壽昌》 || 《獻仙桃》 | ||
+ | |} | ||
+ | |||
+ | ===Network Graph=== | ||
+ | |||
+ | {{NetworkGraph | title=순조_29년_자경전_내진찬.lst}} | ||
+ | |||
+ | ==정재== | ||
{{글상자 | {{글상자 | ||
66번째 줄: | 201번째 줄: | ||
**국립국악원 재현 공연 영상 자료 | **국립국악원 재현 공연 영상 자료 | ||
− | = 온톨로지 설계 = | + | ==온톨로지 설계== |
* 의식으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설계 | * 의식으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설계 | ||
** 절차, 음악, 정재의 시계열적 시퀀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존 네트워크와 별개의 Process 네트워크 설계 | ** 절차, 음악, 정재의 시계열적 시퀀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존 네트워크와 별개의 Process 네트워크 설계 |
2021년 5월 14일 (금) 08:16 기준 최신판
목차
정재 : 의식 요소로서의 정재 & 종합예술로서의 정재
- 정해년진찬에서 행해진 정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관련 위키페이지 구성
- 온톨로지 설계
- 데이터 소스
- 권수
- 연향 시 행사 광경, 공연된 각종 정재의 모습 (무대연출 포함), 반주음악, 사용된 악기, 정재에 쓰인 의장, 전악, 악공, 여령의 복식
- 권일
- 의주 : 대왕대비전이 주빈인 정월 17일의 내진찬과 야진찬, 왕이 주빈인 정월 28일의 회작과 야연, 왕세자가 주빈인 정월 29일의 회작과 야연의 의식 절차와 그에 수반되는 악곡과 정재
- 권수
*1887년(고종24) 정월 27일 내진찬에서 절차에 따른 음악과 정재에서 정재가 추어지는 순서 일부 |
유사 사례 예시: 순조 29년 자경전 진찬
Text: 순조실록 30권, 순조 29년 2월 12일 병자 / 1829년 / 청 도광(道光) 9년
丙子/受內進饌于慈慶殿。 【上具翼善冠袞龍袍出次, 奏風雲慶會之樂, 夢金尺之舞。 陞座奏萬壽永無疆引。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 行禮後, 奏《太平年》之曲、《致和平》之曲、《慶豊樂》之曲。 尙食奉御饌以進, 奏《瑞雲曜日》之曲。 尙食進花, 奏《慶春光》之曲、《艶陽春》之曲。 頒花後, 司唱二人唱樂章, 奏長生寶宴之樂舞。 王世子詣壽酒亭, 以第一爵授尙食以進, 女執事讀致詞。 訖, 奏《壽齊天》之曲。 尙宮出楹外稱有敎: ‘稱觴之辰與王世子同之,’ 奏《殿前歡》之曲。 尙食進鹽水, 奏《萬波停息》之曲。 尙食捧小膳以進, 奏《壽燿南極》之曲進湯, 奏《景籙無疆》之曲, 進大膳、奏淮安之曲, 進饅頭, 奏《日昇月恒》之曲。 王世子嬪詣壽酒亭, 以第二爵, 授尙食以進, 奏《帝壽昌》之曲獻仙桃。 女官讀致詞訖, 奏《應天長》之曲。 尙宮出中門稱有敎: ‘稱觴之辰與王世子嬪同之,’ 奏《金殿樂》之曲。 進茶奏《樂昇平》之曲。 女執事奉饌果床, 進于王世子王世子嬪前, 奏《乾淸坤寧》之曲。 左命婦班首詣進爵位, 以第三爵, 授尙食以進, 奏《壽寧》之曲, 響鈸舞。 典言讀致詞訖, 奏岡陵之曲ㆍ《祝華》之曲。 右命婦班首進第四爵, 竝如上儀, 而樂奏《賀聖朝》之曲, 牙拍舞《樂千春》之曲。 《獻天壽》之曲。 尙宮出中門稱有敎 ‘稱觴之辰與左右命婦同之。’ 宗親班首詣進爵位, 以第五爵。 授尙食以進, 奏《千年萬歲》之曲抛毬樂。 女執事讀致詞訖, 奏《天籙永昌》之曲。 尙宮出楹外, 稱有敎, 敬擧卿等之觴, 奏《長春不老》之曲。 儀賓班首詣進爵位, 以第六爵, 授尙食以進, 奏《演百福》之曲壽延長之舞。 女執事讀致詞訖, 奏《萬斯年》之曲。 尙宮出楹外, 稱有敎, 敬擧卿等之觴, 奏《禎祥》之曲。 戚臣班首詣進爵位, 以第七爵, 授尙食以進, 奏《萬壽長樂》之曲, 荷皇恩。 女執事讀致詞訖, 奏《堯階樂》之曲。 尙宮出楹外稱有敎: ‘敬擧卿等之觴。’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 還就拜位行山呼禮, 奏《昌運頌》之曲。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行禮後還就座, 奏《嘉樂》之曲。 典膳供左右命婦饌卓, 女執事供宗親儀賓戚臣饌卓, 奏《慶太平》之曲舞豉。 王世子進前, 上以爵授尙食以進, 王世子跪受爵擧飮還就座, 奏《喜新春》之曲蓮花臺。 王世子嬪進前, 上以爵授尙食以進。 王世子嬪跪受爵擧飮還就座, 奏《慶芳春》之曲。 《樂萬歲》之曲。 《淸平樂》之曲。 《天保》之樂。 尙食進別行果于上前, 奏《天仙子》之曲。 進別行果于王世子王世子嬪前, 奏《武寧》之曲旗隊。 典膳行酒于左右命婦, 女執事行酒于宗親儀賓戚臣。 司唱二人唱樂章, 奏《萬方寧》之曲船遊樂。 尙食退御膳, 奏《長生樂》之曲。 女執事退王世子王世子嬪饌果床, 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饌卓, 奏《慶成》之曲。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行禮禮畢, 奏飛龍引, 五羊仙。 上入大次, 女官奉入致詞凾, 奏五雲仙鶴引。】
致詞:
至德享天, 壽曜拱辰。 丹扆布化, 肇三十春。 乾尊坤厚, 翼子詒孫。 絪縕瑞旭, 豔溢華尊, 龍雲慶會, 軒鼓虞絃。 時萬時億, 歲歲此筵。 至德融和, 誕受天佑。 而壽而康, 慶溢區宇。 猗玆四旬, 肇萬八千。 中元介眉, 彌月開筵。 挹彼北斗, 酌以東海, 祝我無疆, 曷任誠愛?
Process Sequence
- 上具翼善冠袞龍袍出次, 奏《風雲慶會》之樂, 《夢金尺》之舞。
- 陞座, 奏《萬壽永無疆引》。
-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 行禮後, 奏《太平年》之曲、《致和平》之曲、《慶豊樂》之曲。
- 尙食奉御饌以進, 奏《瑞雲曜日》之曲。
- 尙食進花, 奏《慶春光》之曲、《艶陽春》之曲。
- 頒花後, 司唱二人唱樂章, 奏《長生寶宴》之樂舞。
- 王世子詣壽酒亭, 以第一爵授尙食以進,
- 女執事讀致詞, 訖, 奏《壽齊天》之曲。
- 尙宮出楹外稱有敎: ‘稱觴之辰與王世子同之,’ 奏《殿前歡》之曲。
- 尙食進鹽水, 奏《萬波停息》之曲。
- 尙食捧小膳以進, 奏《壽燿南極》之曲。
- 進湯, 奏《景籙無疆》之曲,
- 進大膳、奏《淮安》之曲,
- 進饅頭, 奏《日昇月恒》之曲。
- 王世子嬪詣壽酒亭, 以第二爵, 授尙食以進, 奏《帝壽昌》之曲, 《獻仙桃》。
- 女官讀致詞, 訖, 奏《應天長》之曲。
- 尙宮出中門稱有敎: ‘稱觴之辰與王世子嬪同之,’ 奏《金殿樂》之曲。
- 進茶, 奏《樂昇平》之曲。
- 女執事奉饌果床, 進于王世子王世子嬪前, 奏《乾淸坤寧》之曲。
- 左命婦班首詣進爵位, 以第三爵, 授尙食以進, 奏《壽寧》之曲, 響鈸舞。
- 典言讀致詞, 訖, 奏《岡陵》之曲ㆍ《祝華》之曲。
- 右命婦班首進第四爵, 竝如上儀, 而樂奏《賀聖朝》之曲, 《牙拍舞》, 《樂千春》之曲。 《獻天壽》之曲。
- 尙宮出中門稱有敎 ‘稱觴之辰與左右命婦同之。’
- 宗親班首詣進爵位, 以第五爵授尙食以進。 奏《千年萬歲》之曲, 《抛毬樂》。
- 女執事讀致詞, 訖, 奏《天籙永昌》之曲。
- 尙宮出楹外, 稱有敎, 敬擧卿等之觴, 奏《長春不老》之曲。
- 儀賓班首詣進爵位, 以第六爵授尙食以進。奏《演百福》之曲, 《壽延長》之舞。
- 女執事讀致詞, 訖, 奏《萬斯年》之曲。
- 尙宮出楹外, 稱有敎, 敬擧卿等之觴, 奏《禎祥》之曲。
- 戚臣班首詣進爵位, 以第七爵授尙食以進。 奏《萬壽長樂》之曲, 《荷皇恩》。
- 女執事讀致詞, 訖, 奏《堯階樂》之曲。
- 尙宮出楹外稱有敎: ‘敬擧卿等之觴。’
-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 還就拜位行山呼禮, 奏《昌運頌》之曲。
-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行禮後還就座, 奏《嘉樂》之曲。
- 典膳供左右命婦饌卓, 女執事供宗親儀賓戚臣饌卓, 奏《慶太平》之曲, 《舞豉》。
- 王世子進前, 上以爵授尙食以進, 王世子跪受爵擧飮還就座, 奏《喜新春》之曲, 《蓮花臺》。
- 王世子嬪進前, 上以爵授尙食以進。 王世子嬪跪受爵擧飮還就座, 奏《慶芳春》之曲。 《樂萬歲》之曲。 《淸平樂》之曲。 《天保之樂》。
- 尙食進別行果于上前, 奏《天仙子》之曲。
- 尙食進別行果于王世子王世子嬪前, 奏《武寧》之曲, 《劍旗隊》。
- 典膳行酒于左右命婦, 女執事行酒于宗親儀賓戚臣。
- 司唱二人唱樂章, 奏《萬方寧》之曲, 《船遊樂》。
- 尙食退御膳, 奏《長生樂》之曲。
- 女執事退王世子王世子嬪饌果床, 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饌卓, 奏《慶成》之曲。
-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行禮, 禮畢, 奏《飛龍引》, 《五羊仙》。
- 上入大次, 女官奉入致詞凾, 奏《五雲仙鶴引》。
- 임금이 익선관과 곤룡포를 갖추어 입고 위차(位次)에 나오니, 풍운경회(風雲慶會)의 음악과 몽금척(夢金尺)의 춤을 추었다.
- 임금이 좌석에 올라 앉자 만수영무강인(萬壽永無疆引)을 연주하였다.
- 왕세자와 왕세자빈 및 좌우명부(左右命婦)·종친·의빈(儀賓)·척신(戚臣)들이 행례한 뒤에 태평년지곡(太平年之曲)·치화평지곡(致和平之曲)·경풍락지곡(慶豊樂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식(尙食)이 어찬(御饌)을 받들어 올리자 서운요일지곡(瑞雲曜日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식이 꽃을 올리자 경춘광지곡(慶春光之曲)과 염양춘지곡(艶陽春之曲)을 연주하였다.
- 사창(司唱) 2명이 악장(樂章)을 창하고 장생보연지악무(長生寶宴之樂舞)를 연주하였다.
- 왕세자가 수주정(壽酒亭)에 나아가 제1작(第一爵)을 상식(尙食)에게 주어 올리게 하고
- 여집사(女執事)가 치사(致詞)를 읽었다. 읽기가 끝나자 수제천지곡(壽齊天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궁이 영외(楹外)에 나가서 전교가 있다고 일컫고 ‘칭상(稱觴)하는 날에 왕세자와 함께 하였노라’ 하고, 전전환지곡(殿前歡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식이 염수(鹽水)를 올리자 만파정식지곡(萬波停息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식이 소찬(小饌)을 받들어 올리자 수휘남극지곡(壽輝南極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식이 탕(湯)을 올리자 경록무강지곡(景籙無疆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식이 대찬(大饌)을 올리자 회안지곡(淮安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식이 만두(饅頭)를 올리자 일승월항지곡(日昇月恒之曲)을 연주하였다.
- 왕세자빈이 수주정에 나아가 제2작을 상식에게 주어 올리게 하자 제수창지곡(帝壽昌之曲)을 연주하고 헌선도(獻仙桃)를 추었다.
- 여관(女官)이 치사를 읽기를 끝내자 응천장지곡(應天長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궁(尙宮)이 중문(中門)에 나와서 전교가 있다고 일컫고 ‘칭상하는 날에 왕세자빈과 함께 하였노라’고 하였다. 금전락지곡(金殿樂之曲)을 연주하였다.
- 다(茶)를 올리자 낙승평지곡(樂升平之曲)을 연주하였다.
- 여집사가 찬과상(饌果床)을 받들고 왕세자와 왕세자빈 앞에 올리자 건청곤녕지곡(乾淸坤寧之曲)을 연주하였다.
- 좌명부(左命婦) 중의 반수(班首)가 진작위(進爵位)에 나아가 제3작을 상식에게 주어 올리게 하자 수녕지곡(壽寧之曲)을 연주하고 향발무(響鈸舞)를 추었다.
- 전언(典言)이 치사 읽기를 끝내자 강릉지곡(岡陵之曲)과 축화지곡(祝華之曲)이 연주되었다.
- 우명부 중에 반수가 제4작을 위에서 한 의식과 모두 같이 올리자 음악은 하성조지곡(賀聖朝之曲)을 연주하고 아박무(牙拍舞)를 추었으며, 낙천춘시곡(樂千春之曲)과 헌천수지곡(獻天壽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궁이 중문에 나아가 전교가 있다고 일컫고 ‘칭상하는 날에 좌·우명부와 함께 하였노라.’ 하였다.
- 종친 중에 반수가 진작위에 나아가 제5작을 상식에게 주어 올리게 하자 천년만세지곡(千年萬世之曲)을 연주하고 포구악(抛毬樂)을 추었다.
- 여집사가 치사를 읽기를 끝내자 천록영창지곡(天籙永昌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궁이 영외에 나아가 전교가 있다고 일컫고, ‘경 등의 술잔을 공경스레 들었노라’ 하였다. 그리고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을 연주하였다.
- 의빈 중에 반수가 진작 위에 나아가 제6작을 상식에게 주어 올리게 하자 연백복지곡(演百福之曲)을 연주하고 수연장지무(壽延長之舞)를 추었다.
- 여집사가 치사 읽기를 끝내자 만사년지곡(萬斯年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궁이 영외에 나아가 전교가 있다고 일컫고 ‘경 등의 술잔을 공경스레 들었노라’ 하였다. 그러자 정상지곡(楨祥之曲)이 연주되었다.
- 척신 중에 반수가 진작 위에 나아가 제7작을 상식에게 주어 올리자 만년장락지곡(萬年長樂之曲)을 연주하고 하황은(荷皇恩)을 추었다.
- 여집사가 치사 읽기를 끝내자 요계락지곡(堯堦樂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궁이 영외에 나아가 전교가 있다고 일컫고 ‘경 등의 술잔을 공경스레 들었노라’ 하였다.
- 왕세자와 왕세자빈 및 좌우명부·종친·의빈·척신이 배위(拜位)에 돌아와 서서 산호(山呼)를 부르는 예를 행하고 창운송지곡(昌運頌之曲)을 연주하였다.
- 왕세자와 왕세자빈 및 좌우명부·종친·의빈·척신이 행례한 뒤에 돌아와 자리에 앉자 가락지곡(嘉樂之曲)을 연주하였다.
- 전선(典膳)이 좌·우명부의 찬탁(饌卓)을 올리고 여집사가 종친·의빈·척신의 찬탁을 바치자 경태평지곡(慶太平之曲)을 연주하고 무고(舞鼓)를 추었다.
- 왕세자가 앞으로 나아가자 임금이 술잔을 상식에게 주어 가져다가 주게 하니 왕세자가 꿇어앉아서 그 잔을 받아 마시고, 돌아와 좌석에 앉자 희신춘지곡(喜新春之曲)을 연주하고 연화대(蓮花臺)를 추었다.
- 왕세자빈이 앞에 나아가자 술잔을 상식에게 전하여 내리니 왕세자빈이 꿇어앉아서 그 술잔을 받아 마시고 좌석에 돌아가 앉자 경방춘지곡(慶芳春之曲)과 낙만세지곡(樂萬歲之曲)과 청평락지곡(淸平樂之曲)과 천보지락(天保之樂)을 연주하였다.
- 상식이 별행과(別行果)를 임금의 앞에 올리자 천선자지곡(天仙子之曲)을 연주하였다.
- 상식이 별행과를 왕세자와 왕세자빈 앞에 올리고 무영지곡(武寧之曲)을 연주하고, 검기대(劍旗隊)를 추었다.
- 전선(典膳)이 좌·우명부에게 술을 올리고, 여집사가 종친·의빈·척신에게 술을 올렸다.
- 사창(司唱) 2명이 악장(樂章)을 노래하고, 만방영지곡(萬方寧之曲)을 연주하고 선유악(船遊樂)을 추었다.
- 상식이 어선(御膳)을 물리자 장생락지곡(長生樂之曲)을 연주하였다.
- 여집사가 왕세자와 왕세자빈의 찬과상(饌果床)을 물리고, 좌·우 명부와 종친·의빈·척신의 찬탁(饌卓)을 물리자 경성지곡(慶成之曲)을 연주하였다.
- 왕세자와 왕세자빈과 좌우명부·종친·의빈·척신이 행례하고, 예가 끝난 뒤에 비룡인(飛龍引)을 연주하고 오양선(五羊仙)을 연주하였다.
- 임금이 대차(大次)에 들어가고 여관(女官)이 치사함(致詞函)을 받들고 들어가자 오운선학인(五雲仙鶴引)을 연주하였다.
Data Extraction
text | actor | post | action | music | dance |
---|---|---|---|---|---|
1. 上具翼善冠袞龍袍出次, 奏《風雲慶會》之樂, 《夢金尺》之舞。 | 上 | 出次 | 《風雲慶會》 | 《夢金尺》 | |
2. 陞座, 奏《萬壽永無疆引》。 | 上 | 陞座 | 《萬壽永無疆引》 | ||
3. 王世子、王世子嬪、及左右命婦、宗親、儀賓、戚臣, 行禮。後, 奏《太平年》之曲、《致和平》之曲、《慶豊樂》之曲。 | 王世子, 王世子嬪, 左右命婦, 宗親, 儀賓, 戚臣 | 行禮 | 《太平年》, 《致和平》, 《慶豊樂》 | ||
4. 尙食奉御饌以進, 奏《瑞雲曜日》之曲。 | 尙食 | 奉御饌以進 | 《瑞雲曜日》 | ||
5. 尙食進花, 奏《慶春光》之曲、《艶陽春》之曲。 | 尙食 | 進花 | 《慶春光》, 《艶陽春》 | ||
6. 頒花後, 司唱二人唱樂章, 奏《長生寶宴》之樂舞。 | 司唱二人 | 唱樂章 | 《長生寶宴》 | 《長生寶宴舞》 | |
7. 王世子詣壽酒亭, 以第一爵授尙食以進, | 王世子 | 壽酒亭 | 進第一爵 | 《壽齊天》 | |
8. 女執事讀致詞, 訖, 奏《壽齊天》之曲。 | 女執事 | 讀致詞 | 《壽齊天》 | ||
9. 尙宮出楹外稱有敎: ‘稱觴之辰與王世子同之,’ 奏《殿前歡》之曲。 | 尙宮 | 楹外 | 稱有敎 | 《殿前歡》 | |
10. 尙食進鹽水, 奏《萬波停息》之曲。 | 尙食 | 進鹽水 | 《萬波停息》 | ||
11. 尙食捧小膳以進, 奏《壽燿南極》之曲。 | 尙食 | 捧小膳以進 | 《壽燿南極》 | ||
12. 進湯, 奏《景籙無疆》之曲, | 尙食 | 進湯 | 《景籙無疆》 | ||
13. 進大膳、奏《淮安》之曲, | 尙食 | 進大膳 | 《淮安》 | ||
14. 進饅頭, 奏《日昇月恒》之曲。 | 尙食 | 進饅頭 | 《日昇月恒》 | ||
15. 王世子嬪詣壽酒亭, 以第二爵, 授尙食以進, 奏《帝壽昌》之曲, 《獻仙桃》。 | 王世子嬪 | 壽酒亭 | 進第二爵 | 《帝壽昌》 | 《獻仙桃》 |
Network Graph
정재
정재목록
의식 절차에는 없고, 여흥을 위해 정해년진찬에서 추어진 춤
|
- 권삼
- 공령 : 정재 종목 및 악기 편성
- 악기풍물 : 악기와 정재 도구
- 국립국악원 재현 공연 영상 자료
- 권삼
온톨로지 설계
- 의식으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설계
- 절차, 음악, 정재의 시계열적 시퀀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존 네트워크와 별개의 Process 네트워크 설계
- 상위 개념 (Story) - 중간 개념 (Topic) - 하위 개념 (Episode)를 수직-수평으로 연결 (피라미드 형태로 시각화)
- 각 노드들은 종합예술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노드와 연결
- 종합예술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설계
- 정재 별 여령 구성, 정재에 따른 특징적인 물품 & 도열 & 창사 (있는 경우), 모든 정재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물품 & 도열 등
- 복식, 음악, 악장 등의 타 연구 내용과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