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령장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정의) |
잔글 (→반가 부인 염습의)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6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복식콘텐츠_복식정보 | |
− | + | |사진= 하연부인번령장삼.jpg | |
− | + | |사진출처= 무주 백산서원본 하연부인(1380~1465) 초상. | |
− | + | |대표명칭= 번령장삼 | |
− | + | |한자표기= 翻領長衫 | |
+ | |이칭별칭= 長衫 | ||
+ | |구분= 의복 | ||
+ | |착용신분= 외명부, 여기, 반가 부인 | ||
+ | |착용성별= 여자 | ||
+ | }} | ||
==정의== | ==정의== | ||
− | 번령(翻領)은 단령(團領)의 깃을 밖으로 젖혀 입는 호복(胡服)의 한 양식이다. 무주 백산서원본 초상화에서 하연부인 성주이씨(星州李氏, 1380~1465)가 입고 있는 겉옷은 번령장삼으로, 젖혀진 깃으로 인해 안감이 드러나 보인다. 소매는 걷어올렸으며, 허리에는 홍색 | + | 번령(翻領)은 단령(團領)의 깃을 밖으로 젖혀 입는 호복(胡服)의 한 양식이다. 무주 백산서원본 초상화에서 하연부인 성주이씨(星州李氏, 1380~1465)가 입고 있는 겉옷은 번령장삼으로, 젖혀진 깃으로 인해 안감이 드러나 보인다. 소매는 걷어올렸으며, 허리에는 홍색 대(帶)를 둘렀다. 이러한 양식의 번령장삼은 조선전기에 외명부, 여기(女妓), 반가 부인 등이 착용하였다. |
==내용== | ==내용== | ||
====외명부 예복==== | ====외명부 예복==== | ||
− | 태조 이성계(李成桂)와 신의왕후(神懿王后) 사이에서 태어난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경신공주&ridx=0&tot=457 경신공주(慶愼公主, ~1426)]의 | + | 태조 이성계(李成桂)와 신의왕후(神懿王后) 사이에서 태어난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경신공주&ridx=0&tot=457 경신공주(慶愼公主, ~1426)]의 초상화에서 하연부인(1380~1465)의 번령장삼과 유사한 형태의 옷을 볼 수 있다. 경신공주는 겉깃이 젖혀진 흑색의 번령장삼을 입고 있다. 조선초기에는 높은 신분의 외명부들이 번령장삼을 예복으로 착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여기 관복==== | ====여기 관복==== | ||
− | 성종 24년(1493) 편찬된 | + | 성종 24년(1493) 편찬된 『[[악학궤범]]』 권9 '[[여기복식]]'에는 번령장삼과 형태가 비슷한 '흑장삼(黑長衫)', 흑장삼과 함께 착용하는 '대(帶)'의 도설이 실려있다. 도설에 따르면, '장삼은 흑라(黑羅) 혹는 사(紗)로 만들고 소매는 걷어올린다.(長衫, 以黑羅或紗爲之, 捲袖.)'라고 하였다. 홍초(紅綃)로 만들어 금화문(金花紋)을 새긴 대는 하연부인이 하고 있는 것과도 비슷하다. 조선전기에는 번령장삼이 여기(女妓)의 관복으로 착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중국 황제의 옷과 색이 같다는 이유로 여기의 황색 장삼을 조색(皀色)으로 바꾸도록 한 일이 있었고,<ref>『세종실록』 109권, 세종 27년 8월 6일 정미 5번째기사 1445년 명 정통(正統) 10년.</ref> 태종대에는 정재(呈才) 때 창기(倡伎) 들이 임금 앞에서 홍색을 입었으므로, 흑색을 쓰라고 명한 적이 있었으며,<ref>『태종실록』 34권, 태종 17년 7월 7일 경신 3번째기사 1417년 명 영락(永樂) 15년.</ref> 세종대에는 내연(內宴)에서 창기(娼妓)들이 회색 장삼을 입었다는 이유로 벌을 내리기도 하였다.<ref>『세종실록』 111권, 세종 28년 1월 3일 신미 2번째기사 1446년 명 정통(正統) 11년.</ref> 그러나 점차 여기 관복의 색상에 대한 금제(禁制)도 조금씩 변해간 것으로 보인다.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2371 기영회도(耆英會圖)](1584)에서 흑색이 아닌 황색 번령장삼을 입고 춤을 추는 여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반가 부인 염습의==== | ====반가 부인 염습의==== | ||
− |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 묘, 대전 유성구 용인이씨 묘에서 16세기 번령장삼이 출토되었다. | + |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 묘, 대전 유성구 용인이씨 묘에서 16세기 번령장삼이 출토되었다.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상례비요&ridx=0&tot=7 『상례비요』]에 '여상(女喪)에는 원삼(圓衫)이나 몽두의(蒙頭衣), 장오자(長襖子)를 쓴다.(女喪, 則圓衫或蒙頭衣·長襖子.)'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를 근거로 반가 부인의 묘에서 출토된 번령장삼을 [[몽두의]]로 보는 견해가 있다.<ref>이은주, 「조선전기 여성용 장삼의 형태와 용도에 관한 시론」, 『국학연구』 제 38호, 한국국학진흥원, 2019, 213쪽.</ref>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클래스==== | ||
+ | *Actor-인물 : 태조 | ||
+ | *Actor-인물 : 경신공주 | ||
+ | *Actor-인물 : 세종 | ||
+ | *Actor-인물 : 하연 | ||
+ | *Actor-인물 : 하연부인 | ||
+ | *Actor-인물 : 성종 | ||
+ | *Clothing-복식 : [[번령장삼]] | ||
+ | *Clothing-복식 : 대 | ||
+ | *Record-문헌 : 『[[악학궤범]]』 | ||
+ | *Record-그림 : 경신공주 초상 | ||
+ | *Record-그림 : 하연부인 초상 | ||
+ | *Record-그림 : 기영회도 | ||
+ | *Object-유물 : 일선문씨 묘 출토 번령장삼 | ||
+ | *Object-유물 : 용인이씨 묘 출토 번령장삼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관련 내용=== --> | <!-- ===관련 내용=== --> | ||
26번째 줄: | 47번째 줄: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 | 태조 || 경신공주 || A의 딸은 B이다 || A ekc:hasDaughter B |
|- | |- | ||
− | | | + | | 세종 || 하연 || A의 신하는 B이다 || A ekc:hasSubject B |
|- | |- | ||
− | | | + | | 하연 || 하연부인 || A의 아내는 B이다 || A ekc:hasWife B |
|- | |- | ||
− | | | + | | 이조년 || 하연부인 || A의 후손은 B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 | ||
− | | 번령장삼 || 염습 ||A는 B에서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하연부인 초상 || 번령장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하연부인 초상 || 대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번령장삼]] || 대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번령장삼]] || 염습 || A는 B에서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 | ||
+ | |『[[악학궤범]]』|| 흑장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악학궤범]]』|| 대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성종 ||『[[악학궤범]]』||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경신공주 초상 || [[번령장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기영회도 || [[번령장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일선문씨 묘 출토 번령장삼 || [[번령장삼]]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용인이씨 묘 출토 번령장삼 || [[번령장삼]]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하연부인 초상 || 무주 백산서원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네트워크 그래프==== | ||
+ | |||
+ | {{NetworkGraph | title=번령장삼.lst}} | ||
+ |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그래프용_아이콘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41번째 줄: | 89번째 줄: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
파일:경신공주.jpg|경신공주(慶愼公主, ~1426) 초상.<ref>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307쪽.</ref> | 파일:경신공주.jpg|경신공주(慶愼公主, ~1426) 초상.<ref>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307쪽.</ref> | ||
− | 파일:흑장삼.jpg| | + | 파일:흑장삼.jpg|『악학궤범』 권9 「女妓服飾」 '흑장삼(黑長衫)'.<ref>국립국악원, 『樂學軌範』, 호사문고 소장본, 2011, 445쪽.</ref> |
− | 파일: | + | 파일:대.jpg|『악학궤범』 권9 「女妓服飾」 '대(帶)'.<ref>국립국악원, 『樂學軌範』, 호사문고 소장본, 2011, 445쪽.</ref> |
+ | 파일:기영회도부분.jpg|기영회도(耆英會圖) 여기(女妓).<ref>"[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2371 <기영회도(耆英會圖> ]", 국립중앙박물관.</ref> | ||
파일:습의.jpg|용인이씨 묘 출토 습의.<ref>대전시립박물관, 『그리움을 깁고 연정을 짓다』, 2016, 52쪽.</ref> | 파일:습의.jpg|용인이씨 묘 출토 습의.<ref>대전시립박물관, 『그리움을 깁고 연정을 짓다』, 2016, 52쪽.</ref> | ||
파일:소렴의.jpg|용인이씨 묘 출토 소렴의.<ref>대전시립박물관, 『그리움을 깁고 연정을 짓다』, 2016, 56쪽.</ref> | 파일:소렴의.jpg|용인이씨 묘 출토 소렴의.<ref>대전시립박물관, 『그리움을 깁고 연정을 짓다』, 2016, 56쪽.</ref> | ||
51번째 줄: | 100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조선왕조실록』 |
− | * | + | *『[[악학궤범]]』 |
− | * | + | *『상례비요』 |
* 안동대학교박물관,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 묘 발굴조사보고서』, 2000. | * 안동대학교박물관,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 묘 발굴조사보고서』, 2000. | ||
+ | *국립국악원, 『樂學軌範』, 호사문고 소장본, 2011. | ||
* 대전시립박물관, [https://www.daejeon.go.kr/his/musBookView.do?bookSeq=54&menuSeq=675&pageIndex=1&searchCondition=&searchKeyword= 『그리움을 깁고 연정을 짓다』], 2016. | * 대전시립박물관, [https://www.daejeon.go.kr/his/musBookView.do?bookSeq=54&menuSeq=675&pageIndex=1&searchCondition=&searchKeyword= 『그리움을 깁고 연정을 짓다』], 2016. | ||
* 김소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445438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 * 김소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445438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 ||
* 이은주,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562324324 「조선전기 여성용 장삼의 형태와 용도에 관한 시론」], 『국학연구』제 38호, 한국국학진흥원, 2019. | * 이은주,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562324324 「조선전기 여성용 장삼의 형태와 용도에 관한 시론」], 『국학연구』제 38호, 한국국학진흥원, 2019. | ||
− |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대]][[분류:김지원]] | + |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대]] |
+ | [[분류:Clothing]][[분류:Clothing-복식]][[분류:복콘2020-Clothing-복식]] | ||
+ | [[분류:김지원]] |
2022년 1월 16일 (일) 14:01 기준 최신판
번령장삼 (翻領長衫) |
|
대표명칭 | 번령장삼 |
---|---|
한자표기 | 翻領長衫 |
이칭별칭 | 長衫 |
구분 | 의복 |
착용신분 | 외명부, 여기, 반가 부인 |
착용성별 | 여자 |
목차
정의
번령(翻領)은 단령(團領)의 깃을 밖으로 젖혀 입는 호복(胡服)의 한 양식이다. 무주 백산서원본 초상화에서 하연부인 성주이씨(星州李氏, 1380~1465)가 입고 있는 겉옷은 번령장삼으로, 젖혀진 깃으로 인해 안감이 드러나 보인다. 소매는 걷어올렸으며, 허리에는 홍색 대(帶)를 둘렀다. 이러한 양식의 번령장삼은 조선전기에 외명부, 여기(女妓), 반가 부인 등이 착용하였다.
내용
외명부 예복
태조 이성계(李成桂)와 신의왕후(神懿王后) 사이에서 태어난 경신공주(慶愼公主, ~1426)의 초상화에서 하연부인(1380~1465)의 번령장삼과 유사한 형태의 옷을 볼 수 있다. 경신공주는 겉깃이 젖혀진 흑색의 번령장삼을 입고 있다. 조선초기에는 높은 신분의 외명부들이 번령장삼을 예복으로 착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여기 관복
성종 24년(1493) 편찬된 『악학궤범』 권9 '여기복식'에는 번령장삼과 형태가 비슷한 '흑장삼(黑長衫)', 흑장삼과 함께 착용하는 '대(帶)'의 도설이 실려있다. 도설에 따르면, '장삼은 흑라(黑羅) 혹는 사(紗)로 만들고 소매는 걷어올린다.(長衫, 以黑羅或紗爲之, 捲袖.)'라고 하였다. 홍초(紅綃)로 만들어 금화문(金花紋)을 새긴 대는 하연부인이 하고 있는 것과도 비슷하다. 조선전기에는 번령장삼이 여기(女妓)의 관복으로 착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중국 황제의 옷과 색이 같다는 이유로 여기의 황색 장삼을 조색(皀色)으로 바꾸도록 한 일이 있었고,[1] 태종대에는 정재(呈才) 때 창기(倡伎) 들이 임금 앞에서 홍색을 입었으므로, 흑색을 쓰라고 명한 적이 있었으며,[2] 세종대에는 내연(內宴)에서 창기(娼妓)들이 회색 장삼을 입었다는 이유로 벌을 내리기도 하였다.[3] 그러나 점차 여기 관복의 색상에 대한 금제(禁制)도 조금씩 변해간 것으로 보인다. 기영회도(耆英會圖)(1584)에서 흑색이 아닌 황색 번령장삼을 입고 춤을 추는 여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반가 부인 염습의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 묘, 대전 유성구 용인이씨 묘에서 16세기 번령장삼이 출토되었다. 『상례비요』에 '여상(女喪)에는 원삼(圓衫)이나 몽두의(蒙頭衣), 장오자(長襖子)를 쓴다.(女喪, 則圓衫或蒙頭衣·長襖子.)'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를 근거로 반가 부인의 묘에서 출토된 번령장삼을 몽두의로 보는 견해가 있다.[4]
지식관계망
클래스
- Actor-인물 : 태조
- Actor-인물 : 경신공주
- Actor-인물 : 세종
- Actor-인물 : 하연
- Actor-인물 : 하연부인
- Actor-인물 : 성종
- Clothing-복식 : 번령장삼
- Clothing-복식 : 대
- Record-문헌 : 『악학궤범』
- Record-그림 : 경신공주 초상
- Record-그림 : 하연부인 초상
- Record-그림 : 기영회도
- Object-유물 : 일선문씨 묘 출토 번령장삼
- Object-유물 : 용인이씨 묘 출토 번령장삼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태조 | 경신공주 | A의 딸은 B이다 | A ekc:hasDaughter B |
세종 | 하연 | A의 신하는 B이다 | A ekc:hasSubject B |
하연 | 하연부인 | A의 아내는 B이다 | A ekc:hasWife B |
이조년 | 하연부인 | A의 후손은 B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하연부인 초상 | 번령장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하연부인 초상 | 대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번령장삼 | 대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번령장삼 | 염습 | A는 B에서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악학궤범』 | 흑장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악학궤범』 | 대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성종 | 『악학궤범』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경신공주 초상 | 번령장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기영회도 | 번령장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일선문씨 묘 출토 번령장삼 | 번령장삼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용인이씨 묘 출토 번령장삼 | 번령장삼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하연부인 초상 | 무주 백산서원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네트워크 그래프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경신공주(慶愼公主, ~1426) 초상.[5]
『악학궤범』 권9 「女妓服飾」 '흑장삼(黑長衫)'.[6]
『악학궤범』 권9 「女妓服飾」 '대(帶)'.[7]
기영회도(耆英會圖) 여기(女妓).[8]
용인이씨 묘 출토 습의.[9]
용인이씨 묘 출토 소렴의.[10]
주석
- ↑ 『세종실록』 109권, 세종 27년 8월 6일 정미 5번째기사 1445년 명 정통(正統) 10년.
- ↑ 『태종실록』 34권, 태종 17년 7월 7일 경신 3번째기사 1417년 명 영락(永樂) 15년.
- ↑ 『세종실록』 111권, 세종 28년 1월 3일 신미 2번째기사 1446년 명 정통(正統) 11년.
- ↑ 이은주, 「조선전기 여성용 장삼의 형태와 용도에 관한 시론」, 『국학연구』 제 38호, 한국국학진흥원, 2019, 213쪽.
- ↑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307쪽.
- ↑ 국립국악원, 『樂學軌範』, 호사문고 소장본, 2011, 445쪽.
- ↑ 국립국악원, 『樂學軌範』, 호사문고 소장본, 2011, 445쪽.
- ↑ "<기영회도(耆英會圖> ", 국립중앙박물관.
- ↑ 대전시립박물관, 『그리움을 깁고 연정을 짓다』, 2016, 52쪽.
- ↑ 대전시립박물관, 『그리움을 깁고 연정을 짓다』, 2016, 56쪽.
참고문헌
- 『조선왕조실록』
- 『악학궤범』
- 『상례비요』
- 안동대학교박물관,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 묘 발굴조사보고서』, 2000.
- 국립국악원, 『樂學軌範』, 호사문고 소장본, 2011.
- 대전시립박물관, 『그리움을 깁고 연정을 짓다』, 2016.
-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 이은주, 「조선전기 여성용 장삼의 형태와 용도에 관한 시론」, 『국학연구』제 38호, 한국국학진흥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