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명의 사용자에 의한 20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소개 == |
| + | *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 강사 |
| + | *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 강사 |
| + | * 한복문화연구소 여밈 | 대표 |
| + | * (주)오스랩스 | 그래픽리소스 자문위원 |
| + | * (사)한복문화학회 | 산학협력이사 |
| | | |
− | <big><big>'''2020년 2학기 한국 복식 콘텐츠 제작'''</big></big> | + | <br> |
− | ----
| + | *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 박사 수료<br> |
− | *소속: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 + | *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 석사 졸업<br> |
− | *담당교수: [http://www.wikidata.org/entity/Q52661852 서동신] | + | * 배화여자대학교 전통의상과 | 학사 졸업 |
− | *온라인 ZOOM을 활용한 수업방식
| + | |
− | *디지털 콘텐츠 편찬 방법을 습득하기 위한 개인주제는 본인의 석사학위 논문을 활용하고자 한다.
| + | |
| | | |
| + | == 인문정보학 수업== |
| | | |
− | <big><big>'''제목: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big></big><ref>박선희(2019)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f>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 |
| + | ==== 2024-1 청강 ==== |
| + | * [[인문정보학 개론 2024 | 인문정보학 개론]] |
| | | |
− | =='''개요'''== | + | ==== 2023-2 청강 ==== |
−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A%B3%A0%EC%A2%85&ridx=1&tot=1275 고종]</span>(高宗. 1852-1919)은 1897년 10월 13일에 국호를 ‘대한(大韓)’으로 고치고 임금을 ‘황제(皇帝)’로 칭하며 근대적 국가로서의 대한제국(1897~1910)의 성립을 선포한다.<ref>『고종실록』1897년(광무 원년) 10월 13일(음력 9.17)</ref>
| + | * [[공연·전시_디지털_콘텐츠_개발_2023|공연·전시 디지털 콘텐츠 개발]] |
| + | <br> |
| + | ==== 2023-1 청강 ==== |
| + | * [[시각적 인문학 2023|시각적 인문학]] |
| + | * [[인문정보편찬연구I 2023|인문정보편찬연구I]] |
| + | <br> |
| + | ==== 2022-2 청강 ==== |
| + | * [[인문정보편찬연구II 2022|인문정보편찬연구Ⅱ]] |
| + | * [[멀티미디어콘텐츠 2022|멀티미디어콘텐츠]] |
| + | <br> |
| + | ==== 2022-1 청강 ==== |
| + | * [[학술자료정보화연구|학술자료정보화연구]] |
| + | * [[유비쿼터스와 증강현실|유비쿼터스와 증강현실]] |
| + | * [[인문정보 데이터베이스|인문정보 데이터베이스]] |
| + | <br> |
| + | ==== 2021-2 청강==== |
| + | * [[인문정보 데이터베이스|인문정보 데이터베이스]] |
| | | |
− | :전통복식사에서의 대한제국은 전통식에서 서구식으로 바뀌는 과도기적 특징이 있다.<ref>최규순(2011) 1905~1906년 서구식 대례복제도 개정에 나타난 일제의 한국병탄 준비-일본 서구식 대례복 제도와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독립운동사연구, pp. 5-6.</ref> 이러한 복식의 변화는 황제국의 위상에 맞는 근대국가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다양한 시도 가운데 하나였으며, 서구식으로 변화되는 관원의 제복을 시작으로 점차 일반 복식에도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확대되었을 것이다.
| |
| | | |
− | :우리나라 복식사에서 관복(官服)에 서구식 복식이 공식적으로 도입된 것은 1895년 갑오개혁기에 군인과 경찰의 제복(制服)이 규정되면서이다. 이에 서구식 복식이 도입된 이후부터 1910년 일제강점기 전까지의 기간에 국가에서 행해진 의례 행렬에 참가한 경찰의 복식을 의궤에 수록된 반차도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 | ===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 === |
| + | * [[한국 복식 콘텐츠 제작 2020|2020-2 한국 복식 콘텐츠 제작]] |
| | | |
− | :어람용 의궤를 대상으로 하고, 반차도는 위치와 신분을 기록하고 복식을 착장한 모습을 이미지로 묘사한 도상반차도로 한정하였다. 문헌자료는『관보(官報)』를 중심으로 『칙령(勅令)』, 『의주(儀註)』, 『주본(奏本)』,<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A%B3%A0%EC%A2%85&ridx=1&tot=1275 『일성록(日省錄)』]</span>,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A%B3%A0%EC%A2%85%EC%8B%A4%EB%A1%9D&ridx=0&tot=31 『고종실록(高宗實錄)』]</span> 등을 참조하여 경찰 관제와 복제의 변화를 정리한다.
| |
| | | |
− | =='''근대 경찰관제와 복제의 변화'''==
| |
− | :근대적 경찰제도는 크게 네 단계로 나뉘는데 1894년 경무청(警務廳) 체제로 시작되어, 1900년에 경부(警部) 체제로 바뀌며, 1902년에 경무청이 복설되고, 1907년 경시청(警視廳)이 설치된다.
| |
− | :복제는 1895년 4월 11일(음력) 칙령 제78호 ‘육군복장규칙(陸軍服裝規則)’으로 서구식 군인의 제복이 도입되고, 이어 1895년 4월 19일 칙령 제81호 ‘경무사이하 복제’가 제정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서구식 경찰 제복이 시작된다.
| |
− | :경찰 제복은 착용 상황에 따라 상복(常服)과 예복(禮服)으로 나뉘고, 상복은 계절에 따라 하복(夏服)과 동복(冬服)으로 나뉘며 상례시 부착하는 경관표상식도 있다.
| |
− | :상장(常裝)과 예장(禮裝)은 부속품을 포함하여 말하는 것으로, 상장은 상모(常帽), 상의[常衣], 바지[袴], 도(刀), 도대(刀帶), 도서(刀緖), 육혈포(六穴砲), 장갑[手套], 신[靴]로 구성되었고, 예장은 상장의 육혈포가 없고 식대(飾帶)가 있다.
| |
| | | |
− | ===경무청 체제:1894.07.14. ~ 1900.06.13.===
| |
− | :• [[경무청 관제]]의 변천 과정
| |
− | ::- 조선에 흩어져 있던 경찰 업무를 일원화하기 위하여 조선의 좌·우포도청을 합쳐 1894년 7월 14일 ‘경무청관제직장’과 ‘행정경찰장정(行政警察章程)’을 확정·반포하면서 경무청이 설립된다.
| |
− | ::- 경무청의 경찰 계급은 경무사(警務使) 1명, 부관(副管) 1명, 경무관(警務官), 총순(總巡), 순검(巡檢) 약간명[幾員]을 두었다. 산하에는 총무국과 한성부 5부의 경찰지서를 두었고, 지서는 중(中)·동(東)·남(南)·서(西)·북(北)으로 지역을 나누어 한성부(漢城府) 5부(五部) 관내의 모든 경찰 사무를 맡아 관할하였다.
| |
− |
| |
− | :• [[경무청 복제]]의 제정과 개정
| |
− | ::- 경무청이 창설되고 9개월이 지난 1895년 4월 19일 칙령 제81호 ‘경무사이하 복제’가 제정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서구식 경찰 제복이 시작된다. 『관보』를 통해 반포된 경찰 제복은 상복(常服)에 관해서만 <표>형식으로 규정되었고, 도식은 『의주』에서 볼 수 있다.
| |
− | ::- 1895년 <표>에서 누락되었던 복식에 관한 제도는 1897년 복제에서 규정되고, 같은 해 6월 3일 상복(常服)과 하의(夏衣)의 착용 신분을 순검에까지 적용하며 확대된다. 10월 20일에는 칙령 제179호 ‘경관표상식(警官表喪式)’은 『의주』에 도식으로 부착방식을 설명한다.
| |
− | ::- 1897년 1월 14일 누락되었던 제식들이 추가되고, 도식은 찾을 수 없다.
| |
− | ::- 1899년 3월 18일에는 칙령 제6호 ‘경무사 이하 본청 및 각 항구 경무관의 예모(禮帽) 및 예장(禮裝)’으로 최초의 예복(禮服)을 제정하고, 26일 칙령 제9호 ‘경무사·경무관·총순의 복제 개정’으로 경무사·경무관·총순의 상복(常服)을 개정한다. 『관보』에 반포될 때 생략된 도식은 『주본』에 수록되었다.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FAF5FF"
| |
− | !분류
| |
− | !재정
| |
− | !칙령
| |
− | !내용
| |
− | !관보
| |
− | |-style="border-top:solid 2px #757575;"
| |
− |
| |
− | !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FE6FF"| 관제<br />(官制)
| |
− | |1894.07.14.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경무청관제직장> 반포로 경무청 창설
| |
− | |개국503년 7월 14일
| |
− |
| |
− | |-
| |
− | |1895.04.29.
| |
− | |style="text-align:center"|제85호
| |
− | |경무청관제
| |
− | |개국504년 5월 1일
| |
− |
| |
− | |-
| |
− | |1895.07.15.
| |
− | |style="text-align:center"|제137호
| |
− | |경무청관제 개정
| |
− | |개국504년 7월 15일
| |
− |
| |
− | |-
| |
− | ! rowspan="6"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CEE6F2"| 복제<br />(服制)
| |
− | |style="background:#F5FCFF"|1895.04.19.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제81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무사 이하 복제
| |
− | |style="background:#F5FCFF"|개국504년 4월 21일
| |
− | |-
| |
− | |style="background:#F5FCFF"|1895.06.03.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제130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무사 이하 복제 각부 경무관 이하 순검 확대 적용
| |
− | |style="background:#F5FCFF"|개국504년 6월 5일
| |
− | |-
| |
− | |style="background:#F5FCFF"|1895.10.20.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제179호
| |
− | |style="background:#F5FCFF"|警官表喪式
| |
− | |style="background:#F5FCFF"|개국504년 10월 21일
| |
− | |-
| |
− | |style="background:#F5FCFF"|1897.01.14.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제7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무사 이하 복제 개정 첨입
| |
− | |style="background:#F5FCFF"|건양2년 1월 16일
| |
− | |-
| |
− | |style="background:#F5FCFF"|1899.03.18.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제6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무사 이하 본청 각 항구 경무관의 예모·예장
| |
− | |rowspan="2" style="background:#F5FCFF"|광무3년 3월 28일
| |
− | |-
| |
− | |style="background:#F5FCFF"|1899.03.26.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제9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무사·경무관·총순의 복제 개정
| |
− | |}
| |
− |
| |
− |
| |
− | ===경부체제:1900.06.13. ~ 1902.02.18.===
| |
− |
| |
− | :• [[경부 관제]]의 변천 과정
| |
− | ::- 고종은 황제로 즉위한 이후 군권(軍權)과 경찰권(警察權)을 군주에게 보다 직접적이고 강력하게 복속시키고자 경무청을 확대·강화하고자 <ref>손영상. 손영상(2005) 갑오개혁 이후 근대적 경찰 제도의 정립과 운영.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pp. 46-47.</ref> 경부를 설치하고 관제를 정하여 복잡해진 경찰 사무를 집행하게 하였다.<ref>『고종실록』 1900년(광무 4) 6월 9일: “詔曰. 更張之初 警務廳雖屬內部直轄 而現今國內警察事務漸次殷繁 因時制宜 不容少緩 另設警部 新定官制 令政府不日會議以入.”</ref>
| |
− | ::- 1900년 6월 13일 <경부 관제>와 함께 경부가 설립되고, 경무청은 내부 소속이 아닌 ‘부(部)’로 승격되어 독립된 기관으로 운영되며 한성뿐만 아니라 전국의 경찰사무를 관리하게 되었다.<ref>『고종실록』 1900년(고종 37) 6월 12일; 『관보』 1900년(광무 4) 6월 13일 칙령 제20호 <경부관제>. 본 제도의 제정일은 6월 12일이지만, 제46조에서 ‘반포일부터 시행한다’고 했으므로 제도의 시행은 6월 13일부터이다. 또한 황궁보호를 위하여 1900년에는 경부 산하에 궁내경무서, 1901년에는 궁내부 산하에 경위원을 설치한다.</ref>
| |
− |
| |
− | :• [[경부 복제]]의 제정과 개정
| |
− | ::- 경무청의 복제를 준용하여 10월 10일에 경부대신 이하 본부 및 각 항구 경무관·총순과 각 관찰부 총순의 예복과 상복을 규정한다. 이 시기의 특징은 관제의 변화로 계급이 세분화되면서 복식의 제식이 계급에 따라 차등을 두어 여러 단계로 규정된다는 점이다.
| |
− | ::- 1901년 3월 27일 『관보』의 정오(正誤)를 통하여 예복 상의(上衣)에 관한 일부 수정과 첨입이 반포된다. 짧았던 경부체제에서의 경찰복은 아직 보고된 도식이 없어 당시의 제식으로만 그 형태를 고찰할 수 있다.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FAF5FF"
| |
− | !분류
| |
− | !재정 및 시행
| |
− | !칙령
| |
− | !내용
| |
− | !관보
| |
− |
| |
− | |-style="border-top:solid 2px #757575;"
| |
− | !rowspan="6"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FE6FF"| 관제<br />(官制)
| |
− | |제정: 1900.06.09.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고종 경부 설치 지시
| |
− | |광무4년 6월 12일
| |
− |
| |
− | |-
| |
− | |제정: 1900.06.12.<br/>시행: 1900.06.13.
| |
− | |제20호
| |
− | |<경부관제> 반포
| |
− | |광무4년 6월 13일
| |
− |
| |
− | |-
| |
− | |제정: 1900.06.16.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正誤)칙령 제20호 수정
| |
− | |광무4년 6월 16일
| |
− |
| |
− | |-
| |
− | |제정: 1900.09.25.
| |
− | |제35호
| |
− | |<경부관제개정건> 반포
| |
− | |광무4년 9월 25일
| |
− |
| |
− | |-
| |
− | |제정: 1900.12.19.
| |
− | |제51호
| |
− | |<경부관제중 개정건> 반포
| |
− | |광무4년 12월 21일
| |
− |
| |
− | |-
| |
− | |제정: 1901.11.17.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포달(布達) 제77호. 제26조.<br> <궁내부관제 중 경위원 증치에 관한 건> 반포
| |
− | |광무5년 11월 20일
| |
− |
| |
− | |-
| |
− | !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CEE6F2"| 복제<br/>(服制)
| |
− | |rowspan="2" style="background:#F5FCFF"|1900.10.10.
| |
− | |style="background:#F5FCFF"|제37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부대신 이하 본부 및 각 항구 경무관 총순과<br/> 각 관찰부 총순에 예모·예장을 변통
| |
− | |rowspan="2" style="background:#F5FCFF"|융희4년 6월 30일
| |
− |
| |
− | |-
| |
− | |style="background:#F5FCFF"|제38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부대신 이하 본부 및 각 항구 경무관 총순과<br/> 각 관찰부 총순에 상모·상장을 변통
| |
− |
| |
− | |-
| |
− | |style="background:#F5FCFF"|1901.03.27.
| |
− | |style="background:#F5FCFF"|(正誤)
| |
− | |style="background:#F5FCFF"|칙령 제37호 예복 상의 내용 수정과 첨입
| |
− | |style="background:#F5FCFF"|광무5년 3월 27일
| |
− | |}
| |
− |
| |
− |
| |
− |
| |
− | ===복설 경무청 체제:1902.02.18. ~ 1907.07.29.===
| |
− | :• [[복설 경무청 관제]]의 변천 과정
| |
− | ::- 고종은 경무청을 경부로 승격시키고 1년도 안된 1901년 3월 15일에 실효가 없고 폐만 더한다는 이유로 다시 경무청으로 격하시키면서 관제를 이전의 경무청에 의하여 시행하라고 명한다.46)
| |
− | ::- 1902년 <경무청관제>가 반포되면서 경무청이 복설된다.<ref> 『관보』 1902년(광무 6) 2월 18일. 본 <경무청관제>는 왕의 재가를 받은 날짜가 1901년 12월 8일이다. 단, 관제 제34조에 “本令은 頒布日로부터 施行事”라 명시하였고, 『관보』를 통한 공포가 1902년 2월 18일에 이루어졌으므로, 제도의 시행은 이날부터 실시된 것으로 보는 것이 마땅하다.</ref> 초기에는 이전 경부와 마찬가지로, 국내 일체의 경찰 사무를 보았는데, 1905년 2월 내부에 속하여 한성만 관할하는 것으로 축소된다. 1906년 2월에는 다시 경무청 관제가 개정되면서 경찰국이 없어지고 인원은 대폭 줄어든다. 또한 경무청의 궁내경무서는 1901년 11월 17일 궁내부에 경위원이 별도로 설치되어 궁내부관제에 속하게 되면서 1902년부터의 경무청 관제에는 보이지 않는다.
| |
− |
| |
− | :• [[복설 경무청 복제]]의 제정과 개정
| |
− | ::- 복설된 경무청은 1902년 8월에 경부의 복제를 변통하여 예복과 상복을 규정하고,1905년 7월과 1907년 3월에 이를 개정한다.
| |
− | ::- 1905년의 복제는 경시청체제에 들어선 이후인 1907년 10월에 예복과 상복을 개정할때<ref>『관보』 1907년(융희원년) 10월 18일.</ref>까지 유지된다.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FAF5FF"
| |
− | !분류
| |
− | !재정 및 시행
| |
− | !칙령
| |
− | !내용
| |
− | !관보
| |
− |
| |
− | |-style="border-top:solid 2px #757575;"
| |
− | !rowspan="7"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FE6FF"| 관제<br />(官制)
| |
− | |제정: 1901.12.08.<br/>시행: 1902.02.18.
| |
− | |style="text-align:center"|제3호
| |
− | |<경무청관제> 반포
| |
− | |광무6년 2월 18일
| |
− | |-
| |
− |
| |
− | |제정: 1902.02.28.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正誤)칙령 제3호 수정
| |
− | |광무6년 2월 28일
| |
− |
| |
− | |-
| |
− | |제정: 1902.03.18.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칙령3호 <경무청관제> 중 첨입수정
| |
− | |광무6년 3월 18일
| |
− |
| |
− | |-
| |
− | |제정: 1902.08.20.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칙령3호 <경무청관제> 중 첨입수정
| |
− | |광무6년 8월 20일
| |
− |
| |
− | |-
| |
− | |제정: 1905.02.26.<br/>시행: 1905.03.01.
| |
− | |style="text-align:center"|제16호
| |
− | |<경무청관제> 반포
| |
− | |광무9년 3월 1일
| |
− |
| |
− | |-
| |
− | |제정: 1905.04.10.
| |
− | |style="text-align:center"|(正誤)
| |
− | |칙령 제16호 수정
| |
− | |광무9년 4월 10일
| |
− |
| |
− | |-
| |
− | |제정: 1906.02.12.<br>시행: 1906.02.17.
| |
− | |style="text-align:center"|제8호
| |
− | |<경무청관제개정 건> 반포
| |
− | |광무10년 2월 17일
| |
− |
| |
− | |-
| |
− | ! rowspan="7"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CEE6F2"| 복제<br/>(服制)
| |
− | |rowspan="2" style="background:#F5FCFF"|1902.08.03.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제11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무사 이하 각 관찰부 총순의 예모·예장 변통
| |
− | |rowspan="2" style="background:#F5FCFF"|광무6년 8월 6일
|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제12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무사 이하 각 관찰부 총순의 상모·상장 변통
| |
− |
| |
−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F5FCFF"|1905.07.22.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제39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무사이하 총순의 예모·예장 제식 개정
| |
− | |rowspan="2" style="background:#F5FCFF"|광무9년 7월 27일
|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제40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무사이하의 상모·상장·하복 제식 개정
| |
− |
| |
−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F5FCFF"|1907.03.19.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제10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무사 이하 예모·예장 제식 중 개정건
| |
− | |rowspan="2" style="background:#F5FCFF"|광무11년 3월 21일
|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제11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무사 이하 간수장 상모·상장·하복 제식 개정
| |
− |
| |
− | |-
| |
− | |style="background:#F5FCFF"|1907.06.22.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
| |
− | |style="background:#F5FCFF"|칙령 제11호·제40호 중 첨입·수정·삭제
| |
− | |style="background:#F5FCFF"|광무11년 6월 22일
| |
− | |}
| |
− |
| |
− |
| |
− | ===경시청 체제:1907.07.29. ~ 일제강점기 이전===
| |
− | :• 경시청 체제에서 시행된 의례는 아직 복제가 발표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행사이므로 이전 체제의 복식 제도가 적용된다. 따라서 경시청 체제는 관제와 복제의 변화를 간략히 <표>로 대체한다.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FAF5FF"
| |
− | !분류
| |
− | !재정 및 시행
| |
− | !칙령
| |
− | !내용
| |
− | !관보
| |
− |
| |
− | |-style="border-top:solid 2px #757575;"
| |
− | !rowspan="7"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FE6FF"| 관제<br />(官制)
| |
− | |1907.07.27.
| |
− | |style="text-align:center"|제1호
| |
− | |<경시청 설치>경무청관제 중 개정의 건
| |
− | |광무11년 7월 19일
| |
− | |-
| |
− | |1907.12.13.
| |
− | |제39호
| |
− | |경시청관제
| |
− | |광무11년 12월 18일
| |
− |
| |
− | |-
| |
− | |1907.12.27.
| |
− | |제65호
| |
− | |경시청관제 중 개정의 건
| |
− | |융희원년 12월 29일
| |
− |
| |
− | |-
| |
− | |1908.07.20.
| |
− | |제48호
| |
− | |칙령 제39호 개정
| |
− | |융희2년 7월 23일
| |
− |
| |
− | |-
| |
− | |1908.02.17.
| |
− | |제13호
| |
− | |칙령 제39호 개정
| |
− | |융희3년 2월 20일
| |
− |
| |
− | |-
| |
− | |1908.02.04.
| |
− | |제13호
| |
− | |칙령 제39호 개정
| |
− | |융희4년 2월 5일
| |
− |
| |
− | |-
| |
− | |1908.07.01.
| |
− | |제33호
| |
− | |칙령 제39호 개정
| |
− | |융희4년 6월 30일
| |
− |
| |
− | |-
| |
− |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CEE6F2" | 복제<br/>(服制)
| |
− | |style="background:#F5FCFF"|1907.10.15.
| |
− | |style="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F5FCFF"|제28호
| |
− | |style="background:#F5FCFF"|경시총감 급 경시부감 예모 예장
| |
− | |style="background:#F5FCFF"|융희원년 10월 18일
| |
− | |}
| |
− |
| |
− |
| |
− | =='''대한제국기 의궤 반차도에 나타난 경찰신분 및 복식'''==
| |
− | ===의궤별 반차도 수록 현황===
| |
− | ====국장(國葬)·부묘(祔廟)====
| |
− | ====존숭(尊崇)·추존(追尊)====
| |
− | ====책봉(冊封)====
| |
− | ====대례(大禮:등극)·가례(嘉禮:혼례)====
| |
− | ====어진(御眞) 관련====
| |
− |
| |
− | ===반차도에 나타난 경찰신분 및 복식의 특징===
| |
− |
| |
− | =='''반차도에 나타난 경찰 제복 고증'''==
| |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order="0"
| |
− | |
| |
− | |}
| |
− |
|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L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경무청 관제]]||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 |
− | |-
| |
− |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경부 관제]]||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 |
− | |-
| |
− |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복설 경무청 관제]]||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 |
− | |-
| |
− |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경무청 복제]]||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 |
− | |-
| |
− |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경부 복제]]||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 |
− | |-
| |
− |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복설 경무청 복제]]||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 |
− | |-
| |
− | |[[경무청 관제]]||[[경무관]]||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 |
− | |-
| |
− | |[[경무청 관제]]||[[총순]]||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 |
− | |-
| |
− | |[[경무청 관제]]||[[순검]]||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 |
− | |-
| |
− | |[[예장(禮裝)]]||[[예복(禮服)]]||A는 B와 같거나 유사하다|| owl:sameAs
| |
− | |-
| |
− | |[[상장(常裝)]]||[[상복(常服)]]||A는 B와 같거나 유사하다|| owl:sameAs
| |
− | |-
| |
− | |[[경무관]]||[[상복(常服)]]||A는 B를 착용한다|| ekc:wears
| |
− | |-
| |
− | |[[경무관]]||[[예복(禮服)]]||A는 B를 착용한다|| ekc:wears
| |
− | |-
| |
− | |[[경관표상식]]||[[명성황후 발인반차도]]||A는 B에서 사용되었다|| ekc:isUsedIn
| |
− | |-
| |
− | |[[경관표상식]]||[[대행태후 발인반차도]]||A는 B에서 사용되었다|| ekc:isUsedIn
| |
− | |-
| |
− | |[[경관표상식]]||[[순명비 발인반차도]]||A는 B에서 사용되었다|| ekc:isUsedIn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 [[분류:복식콘텐츠]][[분류:단체]][[분류:의궤]][[분류:복식2020단국대]]
| |
| [[분류:박선희]] | | [[분류:박선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