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9. 흥왕동(興旺洞)"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새 문서: 209. 흥왕동(興王洞463)) 興王村裡列韓基흥왕촌 마을에는 한씨 집안이 자리 잡아, 山石撑墻水拍籬산돌로 담 두르고 개울물로 울타리 쳤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 | |||
− | |||
− | |||
+ | <big>興王村裡列韓'''基''' (<small>흥왕촌리렬한'''기'''</small>) 흥왕촌 마을에는 한씨 집안이 자리 잡아, <br />山石撑墻水拍'''籬''' (<small>산석탱장수박'''리'''</small>) 산돌로 담 두르고 개울물로 울타리 쳤네.<br />書士指言麗代事 (<small>서사지언려대사</small>) 고려시대 일들을 서생이 말하는데,<br />文宗昔日祝神'''釐''' (<small>문종석일축신'''리'''</small>) 그 옛적 문종이 복을 빌던 곳이라네.<br /> | ||
+ | |||
+ | </big> | ||
○ 흥왕촌(興王村)이 곧 흥왕동(興王洞)이며, 일명 희황촌(羲皇村)이라도고 한다. 청주 한씨는 삼괴정 한경린의 후손 한씨들의 세족이 이곳에 거주하고 있다. | ○ 흥왕촌(興王村)이 곧 흥왕동(興王洞)이며, 일명 희황촌(羲皇村)이라도고 한다. 청주 한씨는 삼괴정 한경린의 후손 한씨들의 세족이 이곳에 거주하고 있다. | ||
○ 예전 흥왕사(興王寺) 평전(平田)에 주촛돌이 남아있어서 지금도 징험할 수 있다. 대개 고려 문종의 축리소(祝釐所)였다. 어떤 이는 “고려 고종 46년(1259)에 교서(校書) 경유(景瑜)의 말을 따라 이곳에다가 이궁(離宮)을 지었다.”고 하였다. | ○ 예전 흥왕사(興王寺) 평전(平田)에 주촛돌이 남아있어서 지금도 징험할 수 있다. 대개 고려 문종의 축리소(祝釐所)였다. 어떤 이는 “고려 고종 46년(1259)에 교서(校書) 경유(景瑜)의 말을 따라 이곳에다가 이궁(離宮)을 지었다.”고 하였다. | ||
− | + | ==참고== | |
+ | * 흥왕동(興王洞) : 화도면 흥왕리이다. |
2019년 5월 31일 (금) 01:06 기준 최신판
興王村裡列韓基 (흥왕촌리렬한기) 흥왕촌 마을에는 한씨 집안이 자리 잡아,
山石撑墻水拍籬 (산석탱장수박리) 산돌로 담 두르고 개울물로 울타리 쳤네.
書士指言麗代事 (서사지언려대사) 고려시대 일들을 서생이 말하는데,
文宗昔日祝神釐 (문종석일축신리) 그 옛적 문종이 복을 빌던 곳이라네.
○ 흥왕촌(興王村)이 곧 흥왕동(興王洞)이며, 일명 희황촌(羲皇村)이라도고 한다. 청주 한씨는 삼괴정 한경린의 후손 한씨들의 세족이 이곳에 거주하고 있다. ○ 예전 흥왕사(興王寺) 평전(平田)에 주촛돌이 남아있어서 지금도 징험할 수 있다. 대개 고려 문종의 축리소(祝釐所)였다. 어떤 이는 “고려 고종 46년(1259)에 교서(校書) 경유(景瑜)의 말을 따라 이곳에다가 이궁(離宮)을 지었다.”고 하였다.
참고
- 흥왕동(興王洞) : 화도면 흥왕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