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도직물 굴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심도직물== ===심도직물_굴뚝=== 심도직물 터에 남아있는 굴뚝으로 1947년부터 2005년까지 국내 굴지의 직물회사로 명성이 높았던 심도직물...)
 
21번째 줄: 21번째 줄:
 
===우리 옷감이야기 103(교문사)===
 
===우리 옷감이야기 103(교문사)===
 
  1950~60년대 인조 뉴똥 생산이 이뤄지면서 의복용으로 많이 사용됐다. '현대패션 110년'이란 책 역시 "1950년대 옷감은 한복감으로 고급에 속했던 실크, 즉 뉴똥이 인기가 있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1950~60년대 인조 뉴똥 생산이 이뤄지면서 의복용으로 많이 사용됐다. '현대패션 110년'이란 책 역시 "1950년대 옷감은 한복감으로 고급에 속했던 실크, 즉 뉴똥이 인기가 있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
 +
===노동사목표지석===

2019년 5월 27일 (월) 21:05 판

심도직물

심도직물_굴뚝

심도직물 터에 남아있는 굴뚝으로 1947년부터 2005년까지 국내 굴지의 직물회사로 명성이 높았던 심도직물(주)이 자리잡았던 곳입니다'라는 문구가 새겨 있다.

기록

경기사전(京畿事典)

1959년 간행. 경기사전에 따르면 심도직물공업사의 소재지는 강화면 궁청리 394이고, 종업원수는 230명.

심도직물 표지판

강화군청이 설치. 강화군은 지난 2005~2008년 심도직물 터에 공원을 조성했고, 30미터에 달했던 굴뚝의 끝부분을 따로 남겨 심도직물을 기념하고 있다.

'60~70년대에 직원이 1천200명 정도였고 거쳐 간 사람들 수만 해도 1만 명이 넘었다고 한다.

강화사

1978년 강화문화원 발행. 심도직물, '심도(沁都) 견직 공업 주식회사'를 다음과 같이 설명. "전 국회의원인 김재소가 출자 경영하는 업체로 현재 역직기 210대의 현대식 시설을 갖추고 1천200여 명의 종업원을 고용하고 있는데 생산되는 견직물은 국내는 물론 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심도직물은 인천 노동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인천민주화운동사 연표

인천민주평화인권센터에서 펴낸 '인천민주화운동사 연표'를 보면 1967년 5월 14일 강화도 심도직물 노동조합(전국섬유노동조합 직할분회)이 결성된 이후 천주교 인천교구와 함께 해고 노동자의 복직투쟁 등이 전개됐다. 천주교 인천교구 한상욱 노동사목위원회 부위원장은 "심도직물 사건은 한국 천주교가 사회참여를 시작한 출발점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로마교황청과 연계해 한국의 노동 문제를 국제 문제로 확대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우리 옷감이야기 103(교문사)

1950~60년대 인조 뉴똥 생산이 이뤄지면서 의복용으로 많이 사용됐다. '현대패션 110년'이란 책 역시 "1950년대 옷감은 한복감으로 고급에 속했던 실크, 즉 뉴똥이 인기가 있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노동사목표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