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 고려궁지(高麗宮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물)
 
(같은 사용자에 의한 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3번째 줄: 3번째 줄:
 
</big>
 
</big>
  
○ 고려 고종 19년 임진년(1232)에 최우(崔瑀)가 왕을 보좌하여 강화도로 천도하였다가 원종 11년 경오(1270)에 예전의 서울로 돌아갔다. 충렬왕은 왕 16년 경인년(1290)에 또 강화에 도읍하였고 18년 임진(1292)에 개경으로 돌아갔다. 지금 그 성터와 궁터가 모두 강화부의 동남쪽 정자산 바깥에 있다. 강안전(康安殿)은 연경궁의 안에 있었는데 세속에 전하기를 “그 터에서 옛날의 종이 묻혀 있다고 하는데 발굴하려 하니 천둥이 치고 비가 내렸다.”라고 하였다. 궁터 4, 5리 안에는 담장, 산재한 주춧돌, 붕괴된 기와, 깨진 옹기 등이 군데군데 밭 사이에 쌓여 있다.
+
○ 고려 고종 19년 임진년(1232)에 최우(崔瑀)가 왕을 보좌하여 강화도로 천도하였다가 원종 11년 경오(1270)에 예전의 서울로 돌아갔다. 충렬왕은 왕 16년 경인년(1290)에 또 강화에 도읍하였고 18년 임진(1292)에 개경으로 돌아갔다. [http://mahan.wonkwang.ac.kr/culture/2003-4/p-3.htm 지금 그 성터와 궁터가 모두 강화부의 동남쪽 정자산 바깥에 있다]. 강안전(康安殿)은 연경궁의 안에 있었는데 세속에 전하기를 “그 터에서 옛날의 종이 묻혀 있다고 하는데 발굴하려 하니 천둥이 치고 비가 내렸다.”라고 하였다. 궁터 4, 5리 안에는 담장, 산재한 주춧돌, 붕괴된 기와, 깨진 옹기 등이 군데군데 밭 사이에 쌓여 있다.
  
 
○ 지금 장령(長嶺)의 성문현(城門峴)과 선원(仙源)의 대문현(大門峴)과 인정(仁政)의 서문동(西門洞) 그리고 대묘동(大廟洞)·도감동(都監洞)의 지명은 여전히 남아있다.
 
○ 지금 장령(長嶺)의 성문현(城門峴)과 선원(仙源)의 대문현(大門峴)과 인정(仁政)의 서문동(西門洞) 그리고 대묘동(大廟洞)·도감동(都監洞)의 지명은 여전히 남아있다.
40번째 줄: 40번째 줄:
  
 
==기행지도==
 
==기행지도==
<googlemap lat="37.649507" lon="126.524359" type= "normal"  zoom="13"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googlemap width="800" height="570" lat="37.755627" lon="126.488011" type= "normal"  zoom="14.7"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000000
  
() 37.747316, 126.487190, [[강화부]]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1003-15
 
() 37.647308, 126.525496, [[237.굴곶포(屈串浦)]] 현 불은면 덕성리 굴이포 일명 '구리포'
 
  
3#000000
 
  
 +
(M) 37.753860, 126.478324, [[64. 명륜당(明倫堂)]] 현 향교길 강화군 강화읍 강화향교
 +
(N) 37.754014, 126.478194, [[65. 강당(講堂) 안연재(安燕齋)]] 현 강화읍 관청리 936-3
 +
(O) 37.755553, 126.482822, [[66. 북문(北門)]] 강화산성북문 강화읍 국화리 산3
 +
(P) 37.763184, 126.484513, [[67. 여제단(厲祭壇)]]?? 현 강화읍 대산리 1195
 +
(Q) 37.759656, 126.476231, [[68. 당주동(唐州洞)]] 현 강화군 송해면 당골길
  
(M)[[250.사복포(司僕浦)]] 현 불은면 덕성리
+
(R) 37.755592, 126.486896, [[69. 북장대(北將臺)]] 현 강화읍 대산리 북산공원
(N)[[251.능촌동(陵村洞)]] 현 불은면 덕성리
+
(S) 37.760032, 126.486663, [[70. 북장춘목(北場春牧)]] 현 강화읍 대월로277번길,북산(송악)의북쪽 우마장,강화10경
(O) 37.677455, 126.496196, [[252.능촌(陵村)]] 현 불은면 두운리 1482 능촌입구
+
(T) 37.755495, 126.487113, [[71. 기우청단(祈雨晴壇)]] 고려산 화산 마니악 송악산 혈구산 갑곶진중 여기는 송악
(P) 37.687287, 126.501630, [[253.고잔동(高盞洞)]] 현 불은면 고능리 710-4
+
(U) 37.754340, 126.484252, [[72. 행궁 궁아제단(宮娥祭壇)]] 현 강화군 강화읍 북문길(부의 관아북쪽 송악산)
(Q) 37.688276, 126.501549, [[254.지천(芝川)]] 현 불은면 고릉리 (고잔마을 지레)
+
(V) 37.755006, 126.484252, [[73. 척천정(尺天亭)]] 현 강화읍 관청리(행궁의 북쪽)
(R) 37.692192, 126.495413, [[255.곶내동(串內洞)]] 현 불은면 고릉리 고능로262번길(아침가리마을)
+
(W) , [[74. 장녕전(長寧殿)]] 현
(S) 37.683937, 126.491910, [[256.두두미(斗頭尾)]]현 불은면 두운리 712-2(두두미마을)
+
(X) , [[75. 세심재(洗心齋)]] 현
</googlemap>
+
(Y) , [[76. 연초헌(燕超軒)]] 현
 +
(Z) 37.754223, 126.489997, [[77. 규장외각(奎章外閣)]] 현 강화읍 관청리 산32(??)(행궁의 동쪽)
 +
() 37.752387, 126.485997, [[78. 상아(上衙)]] 현 강화읍 관청리 강화유수부동헌
 +
() , [[79. 객사(客舍)]] 현
 +
() , [[80. 민풍시(民風詩)]] 현
 +
() , [[81. 도과(道科)]] 현
 +
() , [[82. 공도회(公都會)]]
 +
() , [[83. 이아(貳衙)]] 현
 +
() , [[84. 중영(中營)]] 현
 +
() 37.747652, 126.476736, [[85. 진무영(鎭撫營) 열무당(閱武堂)]] 현 연무당 옛터
 +
() 37.748305, 126.484933, [[86. 선원비각(仙源碑閣)]] 현 강화읍 동문안길21번길 13 선원김상용순절비
 +
() 37.747529, 126.483159, [[87. 시장(市場)]] 현 강화읍 신문리 1003-6(시장??)
 +
() 37.747903, 126.485195, [[88. 용흥궁(龍興宮)]] 강화읍 관청리 441
 +
() 37.746572, 126.488306, [[89. 육궁(六宮)]] 현 강화읍 관청리 148-5 (동문안쪽??)
 +
() , [[90. 부내 심부윤(沈府尹*)]] 현
 +
() , [[91. 부내 최판서(崔判書*)]] 현
 +
() , [[92. 부내 김효자(金孝子*)]] 현
 +
() , [[93. 성황단(城隍壇)]] 현
 +
() 37.751875, 126.485356, [[94. 고려궁지(高麗宮址)]] 현 강화읍 북문길 42 강화 고려궁지
 +
() 37.749639, 126.491383, [[95. 동문(東門)]] 현 강화읍 관청리 49 동문로
 +
() 37.754337, 126.473381, [[96. 강화부성(江華府城*)]] 현 강화산성 강화읍 국화리
  
  
  
 +
</googlemap>
  
 
==인물==
 
==인물==
  
* 이곡(1298∼1351) 고려 말엽의 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稼亭).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1286&cid=46644&categoryId=46644 이곡]1298∼1351) 고려 말엽의 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稼亭).
* 허금(1340∼1388) 고려의 문신. 본관은 공암(孔巖 : 陽川). 자는 재중(在中), 호는 야당(埜堂).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27430&cid=46621&categoryId=46621 허금](1340∼1388) 고려의 문신. 본관은 공암(孔巖 : 陽川). 자는 재중(在中), 호는 야당(埜堂).
* 이원(1368∼1430)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차산(次山), 호는 용헌(容軒). 수문하시중 암(嵒)의 손자이며, 밀직부사 강(岡)의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2915&cid=46622&categoryId=46622 이원](1368∼1430)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차산(次山), 호는 용헌(容軒). 수문하시중 암(嵒)의 손자이며, 밀직부사 강(岡)의
 
아들이다.
 
아들이다.
* 함부림(1360∼1410)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윤물(潤物), 호는 난계(蘭溪).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1593&cid=40942&categoryId=33382 함부림](1360∼1410)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윤물(潤物), 호는 난계(蘭溪).
* 안숭선(1392∼1452)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중지(仲止), 호는 옹재(雍齋).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9830&cid=46622&categoryId=46622 안숭선](1392∼1452)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중지(仲止), 호는 옹재(雍齋).
* 권맹손(1390∼1456)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예천. 자는 효백(孝伯), 호는 송당(松堂).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0117&cid=46622&categoryId=46622 권맹손](1390∼1456)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예천. 자는 효백(孝伯), 호는 송당(松堂).
 
+
 
+
 
+
  
 
==참고==
 
==참고==
 
*? 古館倚雲'''峰'''의 峰은 侵韻에 해당하는 岑이 되어야 할 듯한데 고재형의 원문에도 峰으로 되어 있어서 의문이다.
 
*? 古館倚雲'''峰'''의 峰은 侵韻에 해당하는 岑이 되어야 할 듯한데 고재형의 원문에도 峰으로 되어 있어서 의문이다.

2019년 5월 15일 (수) 09:09 기준 최신판

麗王何事昔移 (려왕하사석이)     고려왕은 무슨 일로 도읍을 옮겨 왔나,
延慶康安摠虛 (연경강안총허) 연경궁과 강안전이 모두 다 허무하네.
埋地洪鍾誰敢發 (매지홍종수감발) 땅에 묻힌 큰 종을 누가 감히 꺼내겠나,
滿天雷雨卽時 (만천뢰우즉시) 하늘 가득 우레 소리가 곧바로 몰아친다는데.

○ 고려 고종 19년 임진년(1232)에 최우(崔瑀)가 왕을 보좌하여 강화도로 천도하였다가 원종 11년 경오(1270)에 예전의 서울로 돌아갔다. 충렬왕은 왕 16년 경인년(1290)에 또 강화에 도읍하였고 18년 임진(1292)에 개경으로 돌아갔다. 지금 그 성터와 궁터가 모두 강화부의 동남쪽 정자산 바깥에 있다. 강안전(康安殿)은 연경궁의 안에 있었는데 세속에 전하기를 “그 터에서 옛날의 종이 묻혀 있다고 하는데 발굴하려 하니 천둥이 치고 비가 내렸다.”라고 하였다. 궁터 4, 5리 안에는 담장, 산재한 주춧돌, 붕괴된 기와, 깨진 옹기 등이 군데군데 밭 사이에 쌓여 있다.

○ 지금 장령(長嶺)의 성문현(城門峴)과 선원(仙源)의 대문현(大門峴)과 인정(仁政)의 서문동(西門洞) 그리고 대묘동(大廟洞)·도감동(都監洞)의 지명은 여전히 남아있다.

○ 가정(稼亭) 이곡(李穀)의 시는 다음과 같다.

山海深處一扁 (산해심처일편)     산해의 깊은 곳에 작은 배가 떠있고 
行到華山興未 (행도화산흥미) 화산을 다니는데 흥이 아직 남았구나.
自古金湯能害德 (자고김탕능해덕) 옛날부터 금성탕지는 덕을 펴기에 해가 되니
移都此地是誰 (이도차지시수) 이곳으로 천도한 것은 누구의 계획인가?


○ 고려의 허금(許錦)의 시는 다음과 같다.

漁樵猶說舊天 (어초유설구천)      어부 초동도 옛날의 천경을 말하는데 
玉輦崎嶇幸此 (옥련기구행차) 임금 수레 기구하여 이 성에 행차하였네.
洞雲慘惔疑寒色 (동운참담의한색) 구름이 참담하여 찬 빛인 듯 하는데
宮樹潺湲咽舊 (궁수잔원인구) 궁의 나무 남아서 옛소리를 울리네.


○ 용헌(容軒) 이원(李原)의 시는 다음과 같다.

修程通海島 (수정통해도)     길을 닦아 바다 섬에 통하고
古館倚雲 (고관의운봉) 예전의 관은 구름 봉우리에 기댔구나.
夜靜坐喧息 (야정좌훤식) 고요히 밤 지내니 시끄러움 없어지고
簷虛月色 (첨허월색침) 빈처마에 달빛이 파고 드네.
床風淸細細 (상풍청세세) 침상에는 살랑살랑 맑은 바람 불어오고
庭樹綠陰 (정수록음음) 뜰에 있는 나무에는 녹음이 우거지네.
聽得居民話 (청득거민화) 살고 있는 백성들이 말하는 걸 듣자니
昇平正値 (승평정치금) 태평한 시대가 바로 지금이라네.


○ 함부림(咸傅霖)의 시는 다음과 같다.

“바다는 가까우니 구름은 물기 머금고(海近雲猶濕) 
산으로 둘러싸여 해가 쉽게 지는구나.(山圍日易陰)”


○ 안숭선(安崇善)의 시는 다음과 같다.

“이어진 산에는 비취빛이 떠서 멀고(連崗浮遠翠) 
깍아지른 언덕에는 층층이 구름 이네.(斷壟起層雲)”


○ 권맹손(權孟孫)의 시는 다음과 같다.

“고국은 푸른 바다에 둘러 있고(故國環滄海) 
빈 성은 비취빛 산으로 벌려있네.(空城列翠岑)”


기행지도

인물

  • 이곡1298∼1351) 고려 말엽의 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稼亭).
  • 허금(1340∼1388) 고려의 문신. 본관은 공암(孔巖 : 陽川). 자는 재중(在中), 호는 야당(埜堂).
  • 이원(1368∼1430)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차산(次山), 호는 용헌(容軒). 수문하시중 암(嵒)의 손자이며, 밀직부사 강(岡)의

아들이다.

  • 함부림(1360∼1410)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윤물(潤物), 호는 난계(蘭溪).
  • 안숭선(1392∼1452)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중지(仲止), 호는 옹재(雍齋).
  • 권맹손(1390∼1456)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예천. 자는 효백(孝伯), 호는 송당(松堂).

참고

  • ? 古館倚雲의 峰은 侵韻에 해당하는 岑이 되어야 할 듯한데 고재형의 원문에도 峰으로 되어 있어서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