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혁 콘텐츠 제작노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6번째 줄: 26번째 줄:
 
==관련 작품==
 
==관련 작품==
 
*'란'과 관련된 작품
 
*'란'과 관련된 작품
1) 통영(統營) 2
+
**통영(統營) 2
 
+
**내가 생각하는 것은
구마산(舊馬山)의 선창에선 좋아하는 사람이 울며 나리는 배에 올라서 오는 물길이 반날
+
갓 나는 고당은 가깝기도 하다
+
 
+
바람맛도 짭짤한 물맛도 짭짤한
+
 
+
전복에 해삼에 도미 가재미의 생선이 좋고
+
파래에 아개미에 호루기의 젓갈이 좋고
+
 
+
새벽녘의 거리엔 쾅쾅 북이 울고
+
밤새껏 바다에선 뿡뿡 배가 울고
+
 
+
자다가도 일어나 바다로 가고 싶은 곳이다
+
 
+
집집이 아이만한 피도 안 간 대구를 말리는 곳
+
황화장사 영감이 일본말을 잘도 하는 곳
+
처녀들은 모두 어장주(漁場主)한테 시집을 가고 싶어한다는 곳
+
 
+
산 너머로 가는 길 돌각담에 갸웃하는 처녀는 금(錦)이라는 이 같고 내가 들은 마산(馬山) 객주(客主)집의 어린 딸은 난(蘭)이라는 이 같고
+
 
+
난(蘭)이라는 이는 명정(明井)골에 산다든데
+
명정(明井)골은 산을 넘어 동백(冬栢)나무 푸르른 감로(甘露)같은 물이 솟는 명정(明井)샘이 있는 마을인데
+
샘터엔 오구작작 물을 긷는 처녀며 새악시들 가운데 내가 좋아하는 그이가 있을 것만 같고
+
내가 좋아하는 그이는 푸른 가지 붉게붉게 동백꽃 피는 철엔 타관 시집을 갈 것만 같은데
+
긴 토시 끼고 큰머리 얹고 오불고불 넘엣거리로 가는 여인은 평안도(平安道)서 오신 듯한데 동백(冬栢)꽃 피는 철이 그 언제요
+
 
+
옛 장수 모신 낡은 사당의 돌층계에 주저앉어서 나는 이 저녁 울 듯 울 듯 한산도(閑山島) 바다에 뱃사공이 되어가며
+
녕 낮은 집 담 낮은 집 마당만 높은 집에서 열나흘 달을 업고 손방아만 찧는 내 사람을 생각한다
+
 
+
2) 내가 생각하는 것은
+
 
+
밖은 봄철날 따디기의 누굿하니 푹석한 밤이다
+
거리에는 사람두 많이 나서 흥성흥성 할 것이다
+
어쩐지 이 사람들과 친하니 싸다니고 싶은 밤이다
+
 
+
그렇건만 나는 하이얀 자리 우에서 마른 팔뚝의
+
샛파란 핏대를 바라보며 나는 가난한 아버지를 가진 것과
+
내가 오래 그려오던 처녀가 시집을 간 것과
+
그렇게도 살틀하든 동무가 나를 버린 일을 생각한다
+
 
+
또 내가 아는 그 몸이 성하고 돈도 있는 사람들이
+
즐거이 술을 먹으려 다닐 것과
+
내 손에는 신간서(新刊書) 하나도 없는 것과
+
그리고 그 '아서라 세상사(世上事)'라도 들을
+
유성기*도 없는 것을 생각한다
+
 
+
그리고 이러한 생각이 내 눈가를 내 가슴가를
+
뜨겁게 하는 것도 생각한다
+
 
+
*유성기: 축음기
+
  
 
==이야기 관계망==
 
==이야기 관계망==

2019년 5월 12일 (일) 17:19 판

주제

  • 백석 시인의 '나타샤'

주요 노드

  • 백석
  • 자야
  • 신현중
  • 허준
  • 통영

(구상중)

인물

  • 백석
  • 란(박경련)
  • 자야(김영한)
  • 신현중
  • 허준

사건

백석의 '나타샤'와 관련된 사건

  • 통영 '란'과 신현중의 결혼
  • 자야의 대원각 시주

관련 작품

  • '란'과 관련된 작품
    • 통영(統營) 2
    • 내가 생각하는 것은

이야기 관계망

version1

참고자료

'백석평전'-안도현 백석평전.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