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7.오두동(鼇頭洞)"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인물)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7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 + | <big>一村花樹列成'''庄''' (<small>일촌화수열성'''장'''</small>) 꽃나무로 동산 이룬 오두리 마을에선, <br />於讀於耕日月'''長''' (<small>어독어경일월'''장'''</small>) 글 읽기와 농사일로 세월을 보내네.<br />最愛此中丹桂籍 (<small>최애차중단계적</small>) 그중에서 소중한 일은 과거에 급제한 일이니,<br />永承雨露放餘'''光''' (<small>영승우로방여'''광'''</small>) 나라 은혜 길이 이어 큰 빛을 발하리.<br /> | |
− | + | ||
− | + | ||
− | + | </big> | |
− | ○ 오두동(鰲頭洞)에는 제주 고씨(濟州高氏)가 많이 살고 있는데, 나와 같이 영곡공(靈谷公)과 관란재공(觀瀾齋公)의 후손이다. 문중의 조카 고영중(高永中)이 일찍이 과거에 합격하여 승문원(承文院) | + | ○ 오두동(鰲頭洞)에는 제주 고씨(濟州高氏)가 많이 살고 있는데, 나와 같이 영곡공(靈谷公)과 관란재공(觀瀾齋公)의 후손이다. 문중의 조카 고영중(高永中)이 일찍이 과거에 합격하여 승문원(承文院)정자(正字)가 되었으나 크게 쓰이지 못하였다고 한다.<br /> |
+ | ○ 영곡공은 이름이 고득종(高得宗)인데 문학으로 이름을 날렸으며 문과에 합격하여 대종백·대제학까지 이르렀고, 효로써 정려문을 내려받았다. <br /> | ||
+ | ○ 관란재공은 이름이 고회(高晦)인데 은일(隱逸)로 시직(侍直)했고, 학행으로 우암 송시열(宋時烈)·동춘당 송준길(宋浚吉) 선생의 문인이 되었다. 동춘당 선생의 무고함을 변론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되었다. 유배에서 풀려난 후에는 고향으로 돌아와 노년을 보냈다. <br /> | ||
+ | |||
==인물== | ==인물== | ||
+ | * 영곡공(靈谷公)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287&cid=46622&categoryId=46622 고득종](생몰년 미상)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자부(子傅), 호는 영곡(靈谷). 1413년 효행으로 천거받아 관직에 나간 후 예조참의 동지중추원사·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했다.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사후에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 ||
+ | * 관란재공(觀瀾齋公) 고회(高晦)[http://thesaurus.history.go.kr/TermInfo.jsp?term_id=3775519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2582&cid=40942&categoryId=3432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77601&cid=43671&categoryId=43671 ] | ||
+ | * 고영중(高永中)[https://blog.naver.com/msk7613/221380967642 ][https://blog.naver.com/minh61/220299317408 ] | ||
+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0898 우암 송시열(宋時烈)]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1064 동춘당 송준길(宋浚吉)] | ||
==참고== | ==참고== |
2019년 4월 24일 (수) 07:21 기준 최신판
一村花樹列成庄 (일촌화수열성장) 꽃나무로 동산 이룬 오두리 마을에선,
於讀於耕日月長 (어독어경일월장) 글 읽기와 농사일로 세월을 보내네.
最愛此中丹桂籍 (최애차중단계적) 그중에서 소중한 일은 과거에 급제한 일이니,
永承雨露放餘光 (영승우로방여광) 나라 은혜 길이 이어 큰 빛을 발하리.
○ 오두동(鰲頭洞)에는 제주 고씨(濟州高氏)가 많이 살고 있는데, 나와 같이 영곡공(靈谷公)과 관란재공(觀瀾齋公)의 후손이다. 문중의 조카 고영중(高永中)이 일찍이 과거에 합격하여 승문원(承文院)정자(正字)가 되었으나 크게 쓰이지 못하였다고 한다.
○ 영곡공은 이름이 고득종(高得宗)인데 문학으로 이름을 날렸으며 문과에 합격하여 대종백·대제학까지 이르렀고, 효로써 정려문을 내려받았다.
○ 관란재공은 이름이 고회(高晦)인데 은일(隱逸)로 시직(侍直)했고, 학행으로 우암 송시열(宋時烈)·동춘당 송준길(宋浚吉) 선생의 문인이 되었다. 동춘당 선생의 무고함을 변론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되었다. 유배에서 풀려난 후에는 고향으로 돌아와 노년을 보냈다.
인물
- 영곡공(靈谷公) : 고득종(생몰년 미상)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자부(子傅), 호는 영곡(靈谷). 1413년 효행으로 천거받아 관직에 나간 후 예조참의 동지중추원사·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했다.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사후에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 관란재공(觀瀾齋公) 고회(高晦)[1][2][3]
- 고영중(高永中)[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