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About Projects)
(About Projects)
44번째 줄: 44번째 줄:
 
* 강화도 백범길···역사 탐방지로 만든다 [[http://www.ktv.go.kr/news/latest/view?content_id=564200&unit=265]]
 
* 강화도 백범길···역사 탐방지로 만든다 [[http://www.ktv.go.kr/news/latest/view?content_id=564200&unit=265]]
 
* 1946년 11월 18일 김구선생 강화방문 사진 발견 [[http://www.gangh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00]]
 
* 1946년 11월 18일 김구선생 강화방문 사진 발견 [[http://www.gangh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00]]
 +
* 뼛 속까지 유교 숭배자, 예수 따르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101045]]
 +
* 강화군에서 현(근)대 정치는 1900년대 초 강화양명학계열과 기독교 계열의 독립애국운동, 교육운동, 청년운동 등에서 연원이 시작된 것으로 봐야 할 것
 +
[[http://www.gangh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113]]
 +
* 만주로 집단 망명한 양명학자들 [[http://peoplesculture.or.kr/laboratory/laboratory03.php?ptype=view&code=laboratory03&idx=5150]]
 +
* 강화도에 '유배' 간 양명학 시대 뛰어넘은 개혁성 조명 [[https://news.joins.com/article/1710983]]
 +
* 만주로 떠난 사람들과 조선귀족(朝鮮貴族)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18/2017101800063.html]]
 +
* 일본 근대 학술사조와 양명학- 신현승 [[http://www.asiaticresearch.org/front/board/view.do?board_master_seq=3740&board_seq=46639]]
 +
* 강화학파 이건승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8688556&memberNo=24167781]]
 +
* 하곡학과 실학 [[http://www.isi.or.kr/data/monthly_main/h.pdf]]
 +
* 개신교 감리교의 강화도 전래와 문화변동 [[http://www.kgeography.or.kr/homepage/kgeography/www/old/publishing/journal/49/05/05.pdf]]
 +
* 주종 복종은 유학이 아니다[[http://well.hani.co.kr/469656]]
 +
* 장로교와 감리교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ixmania&logNo=60013571688&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 [[강화도교회.lst]]
 
* [[강화도교회.lst]]
 
* [[성경.lst]]
 
* [[성경.lst]]
 
* [[조선왕조중농주의.lst]]
 
* [[조선왕조중농주의.lst]]
* [[서예]]
+
* [[서예]]==About Projects==
  
 
==강화중앙교회==
 
==강화중앙교회==

2019년 4월 16일 (화) 23:35 판

About Me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육학 박사과정.

경력

학력

기타 관심분야

About Projects

  • Scholars of Ganghwa Island
  • 하곡학파 [1]
  • 강화학파 [2]
  • 정제두 [3]
  • 강화도성지순례 [[4]]
  • 한국 기독 교회사 [[5]]
  • 한국교회 문화유산 답사기 ⑫ ] 강화도 [[6]]
  • "개신교 성장, 하곡학과 관련있다" [[7]]
  • [202호 기독교 유적지 답사⑥] 이야기 섬, 강화 가는 길 [[8]]
  • 강화도 기독교 역사 이야기 8회 [[9]]
  • 토착화의 상징 성공회 강화읍성당 [[10]]
  • 이 시대, 우리의 교회건축을 생각한다 [[11]]
  • [교회건축을 말한다] (25)제5화 한국 교회건축의 반성과 대안 [[12]]
  • 한국 교회건축의 상징적 의미와 특성에 관한 연구 [[13]]
  • 개신교 교회건축의 변천과정과 한국개신교 교회건축의 특징 [[14]]
  • 한국 현대 교회 건축물 순례 [[15]]
  • 교회건축의 새 개념들과 실천적 유형 [[16]]
  • 이야기 한국교회사(1) 조선의 바울 김창식 목사 [[17]]
  • 한국교회사 [[18]]
  • 강화 기독교인들, 3.18 만세운동 주도 [[19]]
  • 스무 살 청년 마음속'애국애족의 횃불'타오르다 [[20]]
  • 丁未의병서 만세운동까지.. 항일투쟁 맥 이은 '결사대장 유봉진'[[21]]
  • 강화도 백범길···역사 탐방지로 만든다 [[22]]
  • 1946년 11월 18일 김구선생 강화방문 사진 발견 [[23]]
  • 뼛 속까지 유교 숭배자, 예수 따르다 [[24]]
  • 강화군에서 현(근)대 정치는 1900년대 초 강화양명학계열과 기독교 계열의 독립애국운동, 교육운동, 청년운동 등에서 연원이 시작된 것으로 봐야 할 것

[[25]]

  • 만주로 집단 망명한 양명학자들 [[26]]
  • 강화도에 '유배' 간 양명학 시대 뛰어넘은 개혁성 조명 [[27]]
  • 만주로 떠난 사람들과 조선귀족(朝鮮貴族) [[28]]
  • 일본 근대 학술사조와 양명학- 신현승 [[29]]
  • 강화학파 이건승 [[30]]
  • 하곡학과 실학 [[31]]
  • 개신교 감리교의 강화도 전래와 문화변동 [[32]]
  • 주종 복종은 유학이 아니다[[33]]
  • 장로교와 감리교 [[34]]
  • 강화도교회.lst
  • 성경.lst
  • 조선왕조중농주의.lst
  • 서예==About Projects==

강화중앙교회

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