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H2018 금산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새 문서: {{NetworkGraph | title=VH2018_금산사reference.lst}} 분류:VH2018) |
|||
(한 명의 사용자에 의한 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기여 | ||
+ | |기여자=[[김광우]] | ||
+ | |기여내용= | ||
+ | }} | ||
+ | =='''개요'''== | ||
+ | |||
+ | 백제시대에 창건한 사찰로 전해지고 있는 김제 금산사는 통일신라시대 진표율사의 중창불사 이후 14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미륵신앙의 본산으로 법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후백제 견훤의 유배지로도 알려진 사찰이다. | ||
+ | |||
+ | 미륵신앙은 후삼국시대를 연 궁예, 왕건, 견훤의 정치이념의 근간이 됐고 근세에는 증산교와 용화교를 비롯한 신종교의 이념이 됐다. | ||
+ | |||
+ | 고려시대에는 혜덕왕사가 법상종 관련 불서의 간행 및 유포에 힘쓰는 한편 금산사를 중창하였으며, 임진왜란 당시에는 호국사찰로서의 역할을 다하였다. | ||
+ | |||
+ | 국보 제62호인 미륵전을 비롯하여 고려시대 석조문화재 및 조선후기의 목조건축 등 11개의 국가지정문화재가 보존되어 있는 호국사찰로 역사적·문화사적 의의 등 학술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
+ | |||
+ | =='''지식관계망'''== | ||
+ | |||
{{NetworkGraph | title=VH2018_금산사reference.lst}} | {{NetworkGraph | title=VH2018_금산사reference.lst}} | ||
+ | |||
+ | =='''참고자원 목록'''== | ||
+ | |||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한국학중앙연구원_대학원_2018_봄_학술답사 2018 춘계 학술답사]",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 2018 봄 학술답사 | ||
+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3,04960000,35&pageNo=5_2_1_0 금산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7797 금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2600642 금산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9927 미륵신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5743 후삼국시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6789 궁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9032 왕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2178 견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2617 신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3382 신종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1363 강증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7753 서백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00307&cid=42856&categoryId=42856 금산사]", 『대한민국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 ||
+ | * "[https://blog.naver.com/ok3kch/221347442342 금산사 탐방]", 『오리알터』, 알터 | ||
[[분류:VH2018]] | [[분류:VH2018]] |
2018년 12월 19일 (수) 15:22 기준 최신판
기여자: 김광우
개요
백제시대에 창건한 사찰로 전해지고 있는 김제 금산사는 통일신라시대 진표율사의 중창불사 이후 14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미륵신앙의 본산으로 법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후백제 견훤의 유배지로도 알려진 사찰이다.
미륵신앙은 후삼국시대를 연 궁예, 왕건, 견훤의 정치이념의 근간이 됐고 근세에는 증산교와 용화교를 비롯한 신종교의 이념이 됐다.
고려시대에는 혜덕왕사가 법상종 관련 불서의 간행 및 유포에 힘쓰는 한편 금산사를 중창하였으며, 임진왜란 당시에는 호국사찰로서의 역할을 다하였다.
국보 제62호인 미륵전을 비롯하여 고려시대 석조문화재 및 조선후기의 목조건축 등 11개의 국가지정문화재가 보존되어 있는 호국사찰로 역사적·문화사적 의의 등 학술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지식관계망
참고자원 목록
- "2018 춘계 학술답사",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 2018 봄 학술답사
- "금산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금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금산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미륵신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후삼국시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궁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왕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견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종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증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서백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금산사", 『대한민국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 "금산사 탐방", 『오리알터』, 알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