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G"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55번째 줄: 55번째 줄:
 
===[[시스템]]===  
 
===[[시스템]]===  
  
 +
시스템적으로 RPG 장르의 게임들은 공통적으로 캐릭터가 성장하기 위한 수치인 '경험치'를 이용하여 성장의 단계인 '레벨'을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
'경험치' 수치는 보통 주인공의 캐릭터가 적대 몬스터와 전투를 하거나 NPC가 주는 퀘스트 등을 클리어함으로서 얻게 되며, '레벨'은 앞으로 주인공이 상대해야할
 +
 +
컨텐츠의 난이도의 척도로 사용된다.
  
  
 
===[[주인공]]===
 
===[[주인공]]===
  
 +
RPG 장르의 게임들은 공통적으로 유저가 조종하는 주인공을 중심으로 풀어나가진다.
  
 +
보통 주인공들의 개별적인 설정은 게임마다 어느정도 다르긴 하나, 전체적으로 주인공을 난세의 구세주 내지는 선택된 용사, 등의 특별한 존재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
 +
 +
정해진 각본의 설정된 인물을 조종하는 RPG의 경우와 다르게 MMORPG는 주인공의 배경에 대해서 정확한 묘사를 하는 일이 거의 없다.
 +
 +
가령, 패키지 RPG에서는 A라는 주인공이 있다면, A의 탄생배경이나 성장과정 등에 대한 명백한 이야기를 들을 확률이 높은 반면, MMORPG는 정말 대략적으로
 +
 +
주인공인 유저의 캐릭터가 속한 세상이나 자신의 입장 등에 대한 아주 간단한 정보만을 제공해주는 경우가 많다.
  
 
===[[직업군]]===  
 
===[[직업군]]===  
  
 +
RPG는 원래 뜻인 Role-Playing Game 처럼 특정한 역할을 수행해내는 게임이기 때문에 보통 직업군(Class)가 나뉘어져 있다.
 +
 +
RPG의 가장 주류이자 정석인 장르가 판타지이다보니 기본적으로 검을 활용하는 검사, 마법을 활용하는 마법사 등은 기본으로 있으며
 +
 +
활을 이용하는 궁병이나 격투가, 연금술사 등 현실에서 있을 법한 능력을 다루는 직업군들도 유저가 몰입이 쉽게 보다 화려하고 역동적이게 구성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
 +
 +
단 이는 어디까지나 정석적인 직업군으로, RPG 장르가 확장되면서 현대병기인 총을 활용하는 직업군들이나 발전된 기계문명을 이용하는
 +
 +
기계공학 등, RPG 게임의 시나리오에 맞춰서 새로운 직업군이 추가되기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2017년 6월 17일 (토) 22:30 기준 최신판

정의

Role-Playing Game의 약자로, 사용자가 'Role', 즉, 하나의 역할을 맡는 것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게임 장르군을 지칭하는 용어

특징

롤플레잉 게임은 주로 게임 마스터의 주관아래 플레이어들이 각각 캐릭터들을 맡아 연기하면서 즐기는 보드 게임, 즉 TRPG에서 출발했다.


게임의 진행은 게임 마스터 독단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닌, 사전에 정해진 게임만의 규칙에 따라 주사위를 굴려 결과를 내는 등 복잡한 게임 룰이 쓰이기도 했으며 , 오락매체인 게임의 주된 무대가 디지털로 넘어온 지금, 실물감은 떨어지게 되었으나, 게임 마스터나 게임의 룰은 시스템 내부에 녹아들어 있어 RPG 자체의 정신은 그대로 남아있다.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를 시작으로 한 판타지 쪽이 시발점이자 메이저인 관계로 RPG 하면 판타지 게임이라는 인상이 강하지만, 스토리나 룰의 완성도만 받쳐준다면 어떤 세계관으로도 즐길 수 있다.

다른 어떤 파티 게임보다도 마스터(=게임 관리자)의 역량이 중시되는 엔터테인먼트로, 멤버들을 적절히 몰입시키는 세계관, 공정한 룰, 섬세함, 적절한 시나리오 등이 받쳐주지 않으면 게임이 성립되기 힘들다.

그래서 RPG는 원래 컴퓨터를 이용하는 CRPG가 아니라 TRPG를 가리키는 말이다. 다만 비디오 게임과 구별하기 위해 Tabletop Role Playing Game을 줄여서 TRPG라고 하고 칭하면서, 한국과 일본 한정으로 TRPG라는 용어가 쓰인다. 컴퓨터 게임이 득세한 오늘날에는 보통 RPG하면 비디오 게임으로 통하는데, TRPG나 비디오 RPG 게임 모두 주인공의 성장이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위 장르

MMORPG

대표작품

마비노기

WOW

블레이드 & 소울

파이널 판타지

동일 장르 내의 클리셰 요소

세계관

보통의 RPG는 유저가 주어진 역할에 쉽게 몰입이 가능하게끔 설득력있는 시나리오와 설정을 가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보통 이런 배경 설정은 가상의 방대한 대륙이나 세계를 묘사하며, 그 안에 있는 다양한 종족과 종족들의 도시 등, 우리가 상식적으로 아는 곳과 다른 문화를 묘사해낸다.

이는 특히 다중접속 유저가 다량으로 존재하는 MMORPG에서도 돋보이는데, 유저의 동기부여를 위해 대부분 평화롭던 세상에 마왕이나 거대한 악의 세력 등의 재림과 그의 저지를 주된 갈등요소로 채택한다.

또, 완결이 없는 MMORPG의 특성상 갈등의 대상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내부의 변절자나 타락, 배신 등의 요소도 빈번히 사용되는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주인공의 성장이라는 것이 RPG 장르의 정체성인만큼, 성장의 척도나 재화를 습득하는 것을 보여주는 인터페이스가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보통 성장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인 '레벨'과 유저의 생명력을 표시하는 'HP', 스킬 등을 사용하기 위한 에너지 수치인 'MP' 등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며,

사용자가 어떤 역할을 맡고 있는를 보여주는 'info', 수행중인 임무인 '퀘스트', 소지품을 보여주는 '인벤토리' 등을 공통적으로 채용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시스템

시스템적으로 RPG 장르의 게임들은 공통적으로 캐릭터가 성장하기 위한 수치인 '경험치'를 이용하여 성장의 단계인 '레벨'을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경험치' 수치는 보통 주인공의 캐릭터가 적대 몬스터와 전투를 하거나 NPC가 주는 퀘스트 등을 클리어함으로서 얻게 되며, '레벨'은 앞으로 주인공이 상대해야할

컨텐츠의 난이도의 척도로 사용된다.


주인공

RPG 장르의 게임들은 공통적으로 유저가 조종하는 주인공을 중심으로 풀어나가진다.

보통 주인공들의 개별적인 설정은 게임마다 어느정도 다르긴 하나, 전체적으로 주인공을 난세의 구세주 내지는 선택된 용사, 등의 특별한 존재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정해진 각본의 설정된 인물을 조종하는 RPG의 경우와 다르게 MMORPG는 주인공의 배경에 대해서 정확한 묘사를 하는 일이 거의 없다.

가령, 패키지 RPG에서는 A라는 주인공이 있다면, A의 탄생배경이나 성장과정 등에 대한 명백한 이야기를 들을 확률이 높은 반면, MMORPG는 정말 대략적으로

주인공인 유저의 캐릭터가 속한 세상이나 자신의 입장 등에 대한 아주 간단한 정보만을 제공해주는 경우가 많다.

직업군

RPG는 원래 뜻인 Role-Playing Game 처럼 특정한 역할을 수행해내는 게임이기 때문에 보통 직업군(Class)가 나뉘어져 있다.

RPG의 가장 주류이자 정석인 장르가 판타지이다보니 기본적으로 검을 활용하는 검사, 마법을 활용하는 마법사 등은 기본으로 있으며

활을 이용하는 궁병이나 격투가, 연금술사 등 현실에서 있을 법한 능력을 다루는 직업군들도 유저가 몰입이 쉽게 보다 화려하고 역동적이게 구성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단 이는 어디까지나 정석적인 직업군으로, RPG 장르가 확장되면서 현대병기인 총을 활용하는 직업군들이나 발전된 기계문명을 이용하는

기계공학 등, RPG 게임의 시나리오에 맞춰서 새로운 직업군이 추가되기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관련문서

각주


기여

  • 이우평 : 최초작성


게임 장르별 세계관 및 그 속의 클리셰

Class

클래스 노드
장르 FPS, RPG, MMORPG, MOBA, 전략게임, RTS, TBS, 밀리터리 FPS, 하이퍼 FPS
게임 타이틀명 오버워치, 퀘이크 시리즈, 콜 오브 듀티 시리즈, 배틀필드 시리즈, 마비노기, WOW, 블레이드 & 소울, 파이널 판타지14,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리그 오브 레전드, 사이퍼즈, 스타크래프트, 임진록,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시드 마이어의 문명, 하이퍼유니버스
제작사 블리자드, 스퀘어 에닉스, 넥슨, NC 소프트, 네오플, 라이엇 게임즈, HQ팀, 뉴 월드 컴퓨팅, 파이락시스 게임즈, 이드 소프트웨어, 액티비전, EA
클리셰 요소 세계관, 시스템, 인터페이스, 주인공, 직업군, 등장인물, 게임의 진행, 유닛 밸런스

Relation

관계어 노드
은 -을 하위장르로 가진다. 전략게임RTS
은 -을 하위장르로 가진다. 전략게임TBS
은 ~을 하위장르로 가진다. FPS밀리터리 FPS
은 ~을 하위장르로 가진다. FPS하이퍼 FPS
은 ~을 하위장르로 가진다. RPGMMORPG
의 대표 게임은 -이다. RTS스타크래프트
의 대표 게임은 -이다. RTS임진록
의 대표 게임은 -이다. TBS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의 대표 게임은 -이다. TBS시드 마이어의 문명
의 대표 게임은 -이다. 밀리터리 FPS콜 오브 듀티 시리즈
의 대표 게임은 -이다. 밀리터리 FPS배틀필드 시리즈
의 대표 게임은 -이다. 하이퍼 FPS오버워치
의 대표 게임은 -이다. 하이퍼 FPS퀘이크 시리즈
의 대표 게임은 -이다. MMORPG마비노기
의 대표 게임은 -이다. MMORPGWOW
의 대표 게임은 -이다. MMORPG블레이드 & 소울
의 대표 게임은 -이다. MMORPG파이널 판타지14
의 대표 게임은 -이다. AOS리그 오브 레전드
의 대표 게임은 -이다. AOS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의 대표 게임은 -이다. AOS사이퍼즈
의 대표 게임은 -이다. AOS하이퍼유니버스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콜 오브 듀티 시리즈액티비전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배틀필드 시리즈EA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퀘이크 시리즈이드 소프트웨어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오버워치블리자드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스타크래프트블리자드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임진록HQ팀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뉴 월드 컴퓨팅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시드 마이어의 문명파이락시스 게임즈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마비노기넥슨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WOW블리자드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블레이드 & 소울NC소프트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파이널 판타지14스퀘어 에닉스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라이엇 게임즈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블리자드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사이퍼즈네오플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하이퍼유니버스넥슨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FPS세계관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FPS인터페이스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FPS시스템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FPS주인공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FPS직업군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RPG세계관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RPG시스템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RPG인터페이스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RPG주인공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RPG직업군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전략게임세계관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전략게임시스템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전략게임인터페이스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전략게임게임의 진행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전략게임유닛 밸런스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AOS세계관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AOS인터페이스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AOS시스템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AOS등장인물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AOS게임의 진행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AOS직업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