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여)
 
(2명의 사용자에 의한 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39번째 줄: 39번째 줄:
  
 
사람의 사체는 죽은 후에도 움직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이 성질을 이용한 '도시송시술(跳屍送尸術)'은 사체를 살아 있는 것처럼 만드는 주술이다. 〈영환도사〉의 첫 장면에 등장하는 기술이다. 심평산(沈平山)의 『중국신명개론(中國神明槪論)』에 나와 있는 것을 참고하여 이 주술에 대해 소개한다.
 
사람의 사체는 죽은 후에도 움직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이 성질을 이용한 '도시송시술(跳屍送尸術)'은 사체를 살아 있는 것처럼 만드는 주술이다. 〈영환도사〉의 첫 장면에 등장하는 기술이다. 심평산(沈平山)의 『중국신명개론(中國神明槪論)』에 나와 있는 것을 참고하여 이 주술에 대해 소개한다.
 +
 +
==공간==
 +
운남성
 +
 +
<googlemap lat="25.1706086" lon="99.6191813" zoom="5" type="normal">  25.1706086,99.6191813[운남성]
 +
</googlemap>
  
 
==노드관계 표==
 
==노드관계 표==
60번째 줄: 66번째 줄:
  
  
 
+
{{온톨로지/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출처==
 
==출처==
70번째 줄: 76번째 줄:
  
 
[[김동윤]] : 최초작성
 
[[김동윤]] : 최초작성
 +
 +
[[호영침]] : 공간 추가

2017년 6월 16일 (금) 11:15 기준 최신판

강시.png


특징

이름의 뜻은 죽어서 굳은 시체. 여기서의 굳었다는 말은 사후강직 혹은 미라처럼 썩거나 부패하지 않고 굳었다는 의미이다. 또는 얼어죽은 시체도 강시 또는 '동시(凍屍)'라고 부른다. 동시는 원령이 깃들여져 사람을 해치는 얼어죽은 시체를 말한다. 서양의 좀비와 많은 면에서 비슷한 존재.

객사하여 묻히지 못하고 썩지도 못한 시체가 원혼이 붙은 채 오랜 세월이 지나면 강시가 된다. 시간이 더 지날수록 날아다닌다거나 둔갑한다거나 하는 능력들을 갖추게 된다. 따라서 이런 강시가 생기지 않게 하려면 객사하거나 변사한 시체를 잘 수습하여 염해주어야 한다는 선행을 강조하는 교훈적인 측면도 있다.

강시라는 것은 원래 중국의 도교적 색채가 스며들어 탄생한 것으로, 전쟁터나 객지에서 죽은 시체들을 고향으로 옮겨다 묻어주기 위해 영환술사들이 부적을 붙여 움직일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시체이다. 강시술은 영환술사들이 사망자들을 고향에 전해주기 위해 만들어진 술법이다.

상기했듯, 부적을 붙인 모습으로 나오는 것은 이런 시체들을 고향으로 돌려보내주기 위해 도사들이 술법을 부린 것이라는 표현.

외형

강시도 결국에는 시체이므로, 얼굴이나 몸을 봐도 살아 있는 인간과 구별할 수 없다. 20년 전에 이미 죽은 인간이 생전의 모습으로 살아 있는 인간과 함께 지내기도 하고, 인간을 쫓아와서 들러붙는 것도 있다. 강시는 한밤중에 돌아다니다가 낮에는 관 속으로 돌아가는데, 그 안에서는 비쩍 마른 미라의 모습을 하고 있다가 불태우면 괴성을 지른다고 한다.

강시가 손을 들고있는 이유는 보통 관절이 굳었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도사들이 보통 사람들이 진짜 사람과 강시를 헷갈릴까봐 손을 올려 표시를 한 것이라고 한다.(다리를 굽히지 않고 뛰어다니는 것도 이것과 같은 맥락).

속성

전설속에서 오래된 강시는 가뭄을 일으킬 정도의 신통력을 지니게 되는데, 여기서 시간이 더 지나면 '후'라고 하는 사자와 개를 닮은 짐승으로 변한다.

후는 강한 신통력을 가지고 있어 용과 같이 불과 연기를 내뿜으며 사람 잡아먹는 것을 즐기는 난폭하고 사악한 짐승으로, 부처나 신선들은 후를 붙잡아서 타고 다녀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지 못하게 한다고 한다.

땅속에 묻힌 사체는 사람을 받드는 유시(游尸), 복시(伏尸), 불화골(不化骨)이라는 존재가 되기도 한다. 복시는 1천년의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은 채 대지의 정기를 흡수하여 드디어 움직일 수 있는 사체인 유시가 된다. 바로 이 유시가 강시다. 유시는 더 많은 세월이 경과하면 하늘을 날 수 있게 된다.

불화골은 생전에 그 사람의 신체 중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었던 부분의 뼈가 일부 변화된 것으로, 신체의 육신이 썩은 후에도 정기를 흡수하여 완전히 썩지 않고 검은 구슬처럼 변하여 사람을 받드는 능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강시가 되는 것은 반드시 사람만은 아니다. 사람 이외의 동물 시체가 강시로 변하는 경우도 있다.

관련 지역

중국의 서남부 운남성, 귀주성, 사천성 인근에서 자주 사용되었던 주술중, 죽은 사람의 시체를 움직이게 만드는 주술인'도시송시술(跳屍送尸術)'이 있는데, 이러한 주술은 이들 지방에서는 멀리서 돈을 벌기 위해 왔던 사람이 죽었을 경우에 그 사체를 죽은 이의 집에 운반하는 방법으로 이 주술을 사용했다. 주술을 집행하는 사람은 두 사람으로, 한 사람이 사체를 선도하고 또 한 사람은 물을 바른 부적을 띄운 사발을 들고 사체의 뒤를 따른다. 주술에 걸린 사체는 살아 있는 사람과 겉모습도 똑같고 부패하지도 않는다. 단, 말은 할 수 없다. 그리고 앞으로 전진할 때는 통통 튀면서 나아가기 때문에 이것을 '도시(跳屍)'라고도 한다. 외견이 살아 있는 사람과 차이가 없다고는 하지만 밝은 곳에서 사체가 이리저리 움직이는 것은 기분 좋은 광경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래서 사체를 선도하는 주술자는 도중에 사람들이 놀라지 않도록 밤에 사체를 이동시키고 낮에는 사체 전용 여관에서 묵었다. 이윽고 고향까지 앞으로 하루 정도의 시간이 남게 되면 사체 가족의 꿈속에 장례식을 준비하도록 연락을 취한다. 사체를 집안에 넣으면 사발 안의 물을 지면에 뿌리고 주술로부터 해방시킨다. 사체는 쓰러지고 곧 부패하기 시작한다. 이 주술은 일본과의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까지 사용되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중국 섬서성 봉상(鳳翔)의 서쪽 지방에서는 사체를 매장하지 않고 풍장(風葬)을 하는 풍습이 있다. 이런 풍습이 있게 된 것은 시체가 뼈만 남은 상태가 되기 전에 장례를 치르면 그것이 흉악한 사자(死者)가 되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사체는 대지의 기(생체 에너지)를 얻어 3개월이 경과하면 전신에 털이 자라나는데, 흰털은 '백흉(白凶)', 검은 털은 '흑흉(黑凶)'이라고 한다. 이것은 결국 움직이는 시체, 즉 강시가 되어 사람에게 재앙을 초래한다.

사람의 사체는 죽은 후에도 움직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이 성질을 이용한 '도시송시술(跳屍送尸術)'은 사체를 살아 있는 것처럼 만드는 주술이다. 〈영환도사〉의 첫 장면에 등장하는 기술이다. 심평산(沈平山)의 『중국신명개론(中國神明槪論)』에 나와 있는 것을 참고하여 이 주술에 대해 소개한다.

공간

운남성

노드관계 표

노드 관계 노드
강시 ~는 ~이다. 악귀
강시 ~는 ~이다. 중국 요괴
강시 ~는 ~라고도 불린다. 동시(凍屍)
강시 ~는 ~에 걸린 시체다. 주술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Class

클래스 노드
도깨비 갓파, 구미호, 한국의 도깨비, 오니, 땅거미, 덴구, 여우, 여와, 저승사자, 삼신할매, 염라대왕(2), 걸귀, 놋페라보, 구로보즈, 로쿠로쿠비, 야차
공간 중국의 귀, 일본의 요괴, 도노, 일본(2017), 도쿄,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교토 니조카와라, 오사카 코토나미 정, 도깨비 다리, 김공 선정지비, 김성수 생가, 교토, 안동하회마을, 삼매리, 곡성, 한국, 조선
작품 꼬비꼬비, 신과 함께(2017), 요괴, 별신마을각시,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천년여우여우비, 갓파쿠와여름방학, 곡성, 괴물, 이누야샤, 도깨비, 요괴인간벰, 전설의고향, 차우, 조롱박형제, 금방망이 은방망이
문헌 《서유기》,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김서방 도깨비, 도노 모노가타리, 무지나, 신설백물어, 증여리물어, 유빈호치 신문, 쿠마노의 민화, 금석 이야기, 비형랑 설화, 하세오조시, 구미호 이야기, 삼국유사, 금강설화,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문콘 게임, 드라마, 영화, 웹툰, 애니영화, 애니시리즈
캐릭터 가오나시, 쿠, 여우비, 손오공, 퇴마사
시대 현대, 에도시대

Relation

관계어 노드
은 -의 등장인물이다 가오나시 →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쿠 → 갓파쿠와여름방학, 여우비 → 천년여우여우비
은 -의 캐릭터다 가오나시 → 오니, 가오나시 → 땅거미, 가오나시 -> 놋페라보, 쿠 → 갓파, 여우비 → 구미호, 손오공《서유기》
은 -지역의 요괴이다 갓파도노, 덴구일본(2017), 여우 →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구로보즈 → 도쿄, 우마왕중국, 나찰녀중국,
는 -를 만들었다. 여와인간
는 - 관련 설화이다.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구미호한국의 도깨비,도노 모노가타리덴구 , 도노 모노가타리여우, 도노 모노가타리갓파 , 금석 이야기오니 , 비형랑설화도깨비, 신과 함께(2017)한국의 도깨비,금방망이 은방망이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금석 이야기 → 헤이안 시대,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꼬비꼬비
는 -와 관련된 공간이다. 도깨비 다리한국의 도깨비, 김공 선정지비한국의 도깨비, 김성수 생가한국의 도깨비,

교토금석 이야기 , 교토하세오조시, 안동하회마을 → 별신마을각시,곡성곡성, 한강둔치 → 괴물, 삼매리 → 차우, 한국도깨비,한국곡성, 한국괴물, 한국차우,금석 이야기교토, 금강설화일본, 덴구일본

는 -에 등장한다. 오니하세오조시. 일본의 요괴하세오조시, 저승사자신과 함께(2017),저승사자요괴. 구미호전설의고향, 삼신할매전설의고향 ,염라대왕(2)전설의고향 , 걸귀전설의고향,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땅거미에도시대, 오니에도시대, 여우에도시대, 오니금강설화, 갓파현대, 입이찢어진여자현대, 도깨비꼬비꼬비
는 -에 속한다. 구미호여우, 여우일본의 요괴, 덴구일본의 요괴, 구미호 이야기삼국유사, 구미호일본의 요괴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방이설화, 도깨비드라마, 요괴인간벰드라마, 전설의고향드라마, 신의 이미지가 부여된 뱀, 인간에게 해를 주는 뱀, 인간의 배우자로서의 뱀, 덴구 다오시덴구, 덴구 와라이덴구,덴구 쓰부테덴구, 덴구 유스리덴구, 덴구 다이코덴구, 덴구 가쿠시덴구, 덴구 마쓰덴구, 덴구 노히덴구, 입이찢어진여자야마우바, 입이찢어진여자일본의 요괴, 유키 온나일본의 요괴
은 -를 소재로 했다 곡성오니, 곡성덴구, 괴물오니, 괴물갓파, 차우오니, 차우덴구, 천년여우여우비여우,천년여우여우비구미호,꼬비꼬비한국의 도깨비,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오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땅거미,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놋페라보,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구로보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야마우바,금석 이야기일본의 요괴, 요괴인간벰오니, 도노 모노가타리일본의 요괴, 이누야샤일본의 요괴, 이누야샤야차, 조롱박형제요괴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강시 [僵尸] (환상동물사전, 2001. 7. 10., 도서출판 들녘)
  • [네이버 지식백과] 강시 [僵尸] (중국환상세계, 초판 1쇄 2000., 7쇄 2007., 도서출판 들녘)

기여

김동윤 : 최초작성

호영침 : 공간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