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오버워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61번째 줄: 61번째 줄:
  
  
[[파일:인게임볼스0.jpg]]
+
[[파일:인게임볼스0.png]]
  
 
오버워치 시네마틱 트레일러 첫 장면에 등장하는 러시아 도시는 볼스카야 공장이 있는 상트 페테르부르크도, 자리야의 고향인 크라스노야르스크도 아닌 모스크바입니다.
 
오버워치 시네마틱 트레일러 첫 장면에 등장하는 러시아 도시는 볼스카야 공장이 있는 상트 페테르부르크도, 자리야의 고향인 크라스노야르스크도 아닌 모스크바입니다.

2017년 5월 27일 (토) 14:19 판

지도

러시아땅.png

러시아 - 크라스노야르스크


자연환경과 기후

러시아날씨.jpg


크라스노야르스크의 오늘날씨


한국에서 러시아는 시베리아의 이미지로 대표되는 추운 나라로 알려져 있는데, 대부분 지역이 겨울에 추운 건 사실이지만 세계에서 가장 큰 영토를 가진 나라답게 남부에는 생각만큼 춥지 않은 지역도 많이 있다. 예를 들어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이 개최되었던 흑해 연안 소치의 2월 평균기온은 8.3℃로, 아열대기후에 속하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따뜻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의 7.8℃보다도 높다! 내륙의 모스크바 역시 서울보다는 춥지만 강원도 대관령, 북한 평양과 비슷한 정도의 기온으로,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까지는 아니다. 북아시아(시베리아) 지역도 대부분의 인구가 몰려 사는 시베리아 횡단철도 연선 지역은 그렇게까지 춥지는 않다. 러시아 전체적으로 겨울이 조금 길기는 하지만 1년 내내 추운 것도 아니고 여름에는 충분히 덥다. 2010년 7월 칼미키아의 우타에서는 45.4℃라는 러시아 역사상 최고기온이 기록되었다. 오이먀콘에서 기록된 최저기온이 -71.2℃이니 무려 116.6℃의 차이가 난다. 소련 이전 러시아 제국 시절, 그리고 현재 러시아는 세계적인 곡물 수출국이다. 즉, 못 쓰는 얼음땅만 있는 게 아니라 농사 짓기 좋은 땅도 엄청나게 넓다는 것이다.

물론 북극권에 가까운 시베리아 북쪽으로 올라가면 극단적으로 추운 기후를 자랑한다. 야쿠츠크의 1월 평균 기온은 -40℃, 베르호얀스크는 -45.9℃, 오이먀콘은 -51.3℃다.

Красноярск는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 남부, 예니세이 강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에서 노보시비르스크와 옴스크에 이어서 3번째로 큰 도시이다. 기후는 춥지만 시베리아치고는 그나마 덜 추워서 1월 평균기온은 -15.6℃, 7월 평균기온은 18.5℃이다.

역사

러시아 가운데의 크고 아름다운 크라이. 면적은 2,339,700km²로 남한의 23배에 달하는 엄청나게 큰 크기이며, 같은 러시아의 사하 공화국과 호주의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에 이은 세계에서 3번째로 큰 행정구역이다. 인구는 2010년 기준 2,818,187명. 이렇게 크고 아름다운 이유는 2007년 원래 그렇게 크지 않은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에 에벤키 자치구(Эвенки́йский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와 타이미르 돌간-네네츠 자치구(Таймы́рский Долга́но-Не́нецкий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를 합쳐서 그렇게 되었다. 타이미르 자치구는 면적 862,100km²에 인구 39,786명이었고, 에벤키 자치구는 면적 767,600km²에 인구 17,697명으로 두 자치구 모두 공간낭비급의 인구밀도를 가지고 있었다.

예니세이 강을 따라 있는 모양새로 인구의 98%가 크라이의 남쪽 3분의 1에 거주한다. 남쪽에는 주 이름인 크라스노야르스크라는 대한민국 기준으로도 광역시급은 되는 상당히 큰 도시가 있는만큼 시베리아치고는 개발된 지역이며, 반면 북부 도시들은 외국인의 여행이 금지되어 있다. 노릴스크 참조. 인구의 91%가 러시아인으로 원주민인 케트인이나 에벤키인, 돌간인, 네네츠인, 응가나산인 등은 소수이다.

경제적으론 러시아의 중요한 광산 지역 중 하나이다. 러시아 니켈의 80%가 이 지방에서 나며, 코발트의 75%, 구리의 70%가 이 곳에서 나며, 석유와 천연가스도 생산된다. 또한 이 지역은 러시아의 주요 탄전이기도 하며, 금도 많이 나는 지역 중 하나이다. 또한 공업도 발달해 있다.

세계 5위의 댐 크라스노야르스크 수력발전소가 이 크라이의 중부에 위치한다. (주도인 크라스노야르스크 시로부터 30km 북부) 러시아 루블의 10루블화에 이 댐이 그려져 있고 크라스노야르스크 중앙역에도 커다란 사진이 있다.

퉁구스카 대폭발이 이 지방 중부에서 일어났다. 주요 도시는 크라스노야르스크(2번 항목), 노릴스크, 아친스크 등. 크라스노야르스크 시의 인구가 100만인 것에 비해 2위인 노릴스크는 17만밖에 되지 않는다.

북쪽 타이미르 반도의 첼류스킨 곶은 유라시아대륙의 최북단에 위치하며 지구상 대륙으로서도 최북단이다.(북위 77도 43분)

Красноярск. 인구는 꾸준히 증가해 2013년에 100만을 넘겼다. 1번 항목의 주도.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 남부, 예니세이 강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에서 노보시비르스크와 옴스크에 이어서 3번째로 큰 도시이다. 기후는 춥지만 시베리아치고는 그나마 덜 추워서 1월 평균기온은 -15.6℃, 7월 평균기온은 18.5℃이다. 1628년 세워졌다. 러시아의 시인 안톤 체호프는 그의 시베리아 여행기에서 이곳을 시베리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로 꼽았다.

크라스노다르와는 다르다. 원어민도 혼동할 정도. 크라스노다르와 크라스노야르스크는 같은 러시아의 도시지만, 시차가 4시간이나 난다.

오버워치 속 러시아

캐릭터

인게임볼스카야자리야.jpg

인게임

인게임볼스카야.jpg


볼스카야 인더스트리의 배경인 상트 페테르부르크(Санкт-Петербург)는 한 때 러시아의 수도였습니다. 현재는 모스크바에 이은 러시아 제 2의 도시로 유럽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습니다. 옛 건축물이 많은 도심의 역사 지구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돼 있으며 이 때문에 러시아 제 1의 관광 도시로 불립니다. '세예라자드', '왕벌의 비행' 등의 곡을 쓴 '림스키 코르사코프', '백조의 호수', '호두 깎기 인형' 등을 작곡한 '차이코프스키', 러시아의 대표적 발레리나 '안나 파블로바'와 극작가 '안톤 체호프' 등 예술 분야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인게임볼스0.png

오버워치 시네마틱 트레일러 첫 장면에 등장하는 러시아 도시는 볼스카야 공장이 있는 상트 페테르부르크도, 자리야의 고향인 크라스노야르스크도 아닌 모스크바입니다.


인게임볼스1.jpg

러시아는 옴닉에게 가장 먼저 공격받은 나라입니다. 옴닉 사태 당시의 모습을 담은 시네마틱 트레일러 영상 속 성 바실리 대성당으로 보이는 건물에서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아웃게임

아웃게임볼스0.jpg

아웃게임볼스1.jpg

이 페이지에는 현실 속 지형의 이미지와 간단한 설명 및 해당 문화에 대한 링크를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

360도 파노라마

스토리

문화

인게임러시아1.jpg


볼스카야 인더스트리는 러시아에 위치한 거대 로봇 Svyatogor의 생산시설입니다. 1차 옴닉 사태때 가장 첫 공격을 받은 러시아는 옴닉에 대한 대항책으로 로봇을 선택하게 됩니다. 바로 Svyatogor라는 거대 로봇입니다.


인게임러시아6.jpg


러시아는 Svyatogor의 힘으로 오버워치의 지원을 거의 받지 않고도 옴닉의 공격을 잘 버텨내었고

시베리아에 있는 옴니움을 폐쇄 시키면서 승리하게 됩니다.

전쟁이 끝남에 따라 볼스카야 인더스트리도 Svyatogor 생산량을 줄이게 됩니다.


인게임러시아5.jpg


1차 옴닉 사태가 종결된지 약 30년

시베리아의 옴니움이 재가동을 시작하고 옴닉들이 러시아를 재 공격하면서 2차 옴닉 사태가 발발합니다.

볼스카야 인더스트리의 CEO인 카탸 볼스카야는 옴닉의 새로운 공격 이후 Svyatogor의 생산량을 다시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촉망받는 운동선수였던 자리야는 고향 시베리아의 방위군으로 입대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