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갑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이미지)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지정번호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 | |지정번호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 | ||
|지정일 = 1984년 2월 29일 | |지정일 = 1984년 2월 29일 | ||
+ | |지정명칭 = 도갑사 | ||
|한자명칭 = 道岬寺 | |한자명칭 = 道岬寺 | ||
|영문명칭 = Dogapsa Temple | |영문명칭 = Dogapsa Temple |
2016년 10월 12일 (수) 01:05 기준 최신판
도갑사 | |
---|---|
지정 번호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 |
지정일 | 1984년 2월 29일 |
지정 명칭 | 도갑사 |
한자 명칭 | 道岬寺 |
영문 명칭 | Dogapsa Temple |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
건립·제작 | 1090년 이전으로 추정(고려 선종 7년) |
주소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 (도갑리) |
위도 | 34.753675 |
경도 | 126.662289 |
웹사이트 | http://www.dogapsa.org/ |
개요[1]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신라 말 국사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원래 이곳에는 문수사(文殊寺)라는 절이 있었으며 도선이 어린 시절을 보냈던 곳이다.
전설에 의하면, 도선의 어머니 최씨(崔氏)가 빨래를 하다가 물 위에 떠내려 오는 참외를 먹고 도선을 잉태하여 낳았으나 숲속에 버렸다. 그런데 비둘기들이 날아들어 그를 날개로 감싸고 먹이를 물어다 먹여 길렀으므로 최씨가 문수사 주지에게 맡겨 기르도록 하였으며, 장성한 그가 중국을 다녀와서 문수사 터에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 뒤 1456년(세조 2)신미(信眉)와 수미(守眉)가 중건하여 전부 966칸에 달하는 당우가 들어섰으며, 부속암자로 상동암(上東庵)·하동암·남암(南庵)·서부도암(西浮屠庵)·동부도암·미륵암(彌勒庵)·비전암(碑殿庵)·봉선암(鳳仙庵)·대적암(大寂癌)·상견암(上見庵)·중견암·하견암 등이 있었다.
최근에는 1977년 명부전과 해탈문을 제외한 전 당우가 소실되었으나, 1981년 대웅보전 복원을 시작으로 점차 옛 전각에 대한 복원불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보전(大雄寶殿)·명부전(冥府殿)·미륵전(彌勒殿)·국사전(國師殿)·해탈문(解脫門)·일주문 및 요사인 세진당(洗塵堂)이 있다.
이 중 국보 제50호로 지정된 도갑사 해탈문은 1473년(성종 4)에 중건하였으며, 좌우에 금강역사상이 안치되어 있다. 또, 미륵전 안에는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보물 제89호인 석조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보물 제1134호로 지정된 도갑사소장 동자상이 있다.
이밖에도 대웅보전 앞과 뒤에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1호인 오층석탑 및 삼층석탑 등 고려시대의 석탑 2기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된 도선·수미의 비가 있다. 이 중 도선·수미비는 비문에 의하면 1636년(인조 14)에 건립을 시작하여 1653년(효종 4)에 완성한 것으로, 조각의 솜씨와 비문의 필치가 섬세하고 우수하여 주목을 끈다.
또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로 지정된 수미왕사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0호로 지정된 석조(石槽)가 있다. 이 절의 주위에는 국보 제144호로 지정된 월출산마애여래좌상을 비롯하여, 도선이 디딜방아를 찧어 도술조화를 부렸다는 구정봉(九井峰)의 9개 우물, 박사 왕인(王仁)이 일본에 건너간 것을 슬퍼한 제자들이 왕인이 공부하던 동굴입구에 새겼다는 왕인박사상 등이 있다. 절일원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로 지정되어 있다.
위치
관련 문화재
- 국보 제50호, 도갑사 해탈문(道岬寺解脫門)
- 보물 제89호, 도갑사 석조여래좌상(道岬寺石造如來坐像)
- 보물 제1134호,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道岬寺木造文殊普賢童子像)
- 보물 제1395호, 도갑사 도선수미비(道岬寺道詵守眉碑)
- 보물 제1433호, 도갑사 오층석탑(道岬寺五層石塔)
-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50호, 도갑사 석조(道岬寺石槽)
-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52호, 도갑사 수미왕사비(道岬寺守眉王師碑)
-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76호, 도갑사 도선국사진영(道岬寺道詵國師眞影)
-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77호, 도갑사 수미왕사진영(道岬寺守眉王師眞影)
- 일본 쿄토(京都) 지온원(知恩院) 소장, 도갑사 삼십이관음응신도(道岬寺三十二觀音應身圖)
이미지
주석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조